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이 준비한 첫 인터넷 전쟁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이 입자들에 질량을 부여한다전자기력과 약력을 통합하는 비가환(순서를 바꾸면
결과
가 달라지는) 게이지 대칭성약력이나 전자기력은 그 힘을 표현하는 결합상수가 충분히 작아서 이 값을 중심으로 급수전개(섭동론)가 가능하지만 강력의 경우 그 결합상수가 아주 커서 섭동론을 적용할 수 ... ...
가가린은 세계 최초 우주인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역사를 파헤쳐 왔다. 오버그는 여러 경로를 통해 유령 우주비행사들을 추적했는데, 그
결과
대부분이 단순한 루머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일루신은 우주비행을 한 적도 없으며 비슷한 시기에 자동차 사고로 부상을 입었던 일이 와전된 것이라 한다. 하지만 옛소련의 몰락으로 우주개발과 관련된 ... ...
1 세상에서 가장 정교한 설계도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결과
들, 그리고 DNA의 네가지 염기 성분이 일정한 비율로 구성돼 있다는 샤가프의 실험
결과
가 결정적 힌트가 됐다. 물론 최종적으로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가장 먼저 밝힌 사람은 왓슨과 크릭이었다.왓슨과 크릭의 이중나선 연구는 공동연구와 팀워크의 중요성을 극명하게 보여준 최초의 사례다. ... ...
4 생명의 기원과 유전자 비밀 밝혀줄 핵심분자RNA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및 동물 모델 내에서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많은
결과
가 발표되고 있으며, 이
결과
들은 곧 특정 유전자의 세포 내 기능 규명과 바이러스나 종양과 같은 인체 질환의 치료제로서 간섭RNA의 응용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특히 최근 발표된 더욱 놀라운 발견은 효모에서 간섭RNA가 유전자가 ... ...
또다른 내가 무한개 우주에 살고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설명한다. 그런데 1919년 폴란드의 수학자 테오도르 칼루자는 빛이 5차원 시공간의 진동
결과
라는 이론을 제시했다. 즉 4차원 공간에서의 진동이 3차원 공간에 사는 우리에게는 빛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3차원의 공간에서 내리는 비가 2차원의 평면에 살고 있는 금붕어에게 물결로 느껴지는 것처럼 ... ...
압축프로그램이 찾아낸 오디세이아의 진짜 저자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작품을 덧붙이면 엔트로피가 커졌습니다. 저자뿐 아니라 언어가 달라질 때도 마찬가지
결과
가 나왔습니다. 그러므로 이 방법을 이용해 셰익스피어의 작품들과 원저자로 추정되는 사람들의 작품들을 분석해보면 동일 저자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다는 것입니다. 연구팀은 20글자만으로도 같은 ... ...
광고 속 공기청정기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호흡기 질환이나 암을 유발할 수 있다. 미국 암학회의 보고에 따르면 1982-1989년까지 조사
결과
대기오염이 최악인 지역주민의 사망률이 최저지역의 주민 사망률보다 15%나 높았다.이런 까닭에 최근에는 공기청정기의 성능 평가 기준을 입자 수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소비자가 ... ...
주름살은 골과 마루의 물리적 파동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고려한
결과
, 이론에 따라 주름의 파장이 1.5-2.5mm이라고 예측했다. 이는 실제 관찰
결과
와 별 차이가 없었다.연구팀은 일단 주름의 위치, 높이, 파장이 예측 가능해지면 다음에는 주름 생성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눈가의 주름살은 주름이 생기는 중요 위치의 피부를 잡아당겨주면 ... ...
NASA '아기우주' 사진 공개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우주는 반중력의 역할을 하는 암흑 에너지로 인해 영원히 팽창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번
결과
에 대해 미국 프린스턴 고등연구원의 존 바콜 박사는“우주가 어떻게 형성되고 진화했는지를 이해하는 혁명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 ...
에이즈 범인 잡은 계통유전학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있다. 현대 생명과학의 대표 주자인 게놈 해독과 생물정보학이 한데 모인 셈이다. 그
결과
수많은 생물들이 새롭게 분류되고 있으며 이제까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종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과학 외적으로는 법정에서 뿐 아니라 국가 방역체계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최근에는 서울대 김선영 ... ...
이전
1177
1178
1179
1180
1181
1182
1183
1184
1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