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박테리아가 말하는 익사체의 비밀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깨달은 히카루는 현장의 토질표본을 채취해 과학수사연구소에 조사를 의뢰한다. 검사
결과
토질에서 수산화나트륨이 발견된다. 이는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와 결합해 비누를 만드는 성분이다. 폐기물 불법 투기장에서 흘러나온 화학물질이 토질을 오염시켰고, 이로 인해 시체의 시랍화가 빠르게 ... ...
사람 얼굴처럼 자동차를 구별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내렸다.가우티어는 “이번 실험은 자동차 전문가가 의식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반응한
결과
”라면서 “같은 신경회로 부분이 얼굴을 구별하고 극단적으로 관심있어 하는 대상을 구별하는데 둘다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 ...
설사 걱정 없는 우유 특허 획득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없는 사람이 많아 이들이 우유를 많이 먹으면 설사를 하거나 복통을 일으킨다. 여러 조사
결과
성인 한국인의 80% 이상이 유당분해효소가 없으며, 세계 인구의 2/3가 유당을 소화하는데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곽 교수는 “유당분해효소를 1-2㎛ 크기의 미세캡슐에 담아 우유 속에 넣는데 ... ...
1 세상에서 가장 정교한 설계도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결과
들, 그리고 DNA의 네가지 염기 성분이 일정한 비율로 구성돼 있다는 샤가프의 실험
결과
가 결정적 힌트가 됐다. 물론 최종적으로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가장 먼저 밝힌 사람은 왓슨과 크릭이었다.왓슨과 크릭의 이중나선 연구는 공동연구와 팀워크의 중요성을 극명하게 보여준 최초의 사례다. ... ...
4 생명의 기원과 유전자 비밀 밝혀줄 핵심분자RNA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및 동물 모델 내에서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많은
결과
가 발표되고 있으며, 이
결과
들은 곧 특정 유전자의 세포 내 기능 규명과 바이러스나 종양과 같은 인체 질환의 치료제로서 간섭RNA의 응용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특히 최근 발표된 더욱 놀라운 발견은 효모에서 간섭RNA가 유전자가 ... ...
또다른 내가 무한개 우주에 살고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설명한다. 그런데 1919년 폴란드의 수학자 테오도르 칼루자는 빛이 5차원 시공간의 진동
결과
라는 이론을 제시했다. 즉 4차원 공간에서의 진동이 3차원 공간에 사는 우리에게는 빛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3차원의 공간에서 내리는 비가 2차원의 평면에 살고 있는 금붕어에게 물결로 느껴지는 것처럼 ... ...
먼 지인 통해야 직장 구하기 쉽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익숙한 배우들도 있다. 국민 배우로 불리는 안성기가 8등을 차지했다. 이러한 조사
결과
를 바탕으로 충무로의 박용팔 게임 또는 안성기 게임을 만들어보는 것은 어떨까.할리우드 잇는 약한 연결연구를 진행하면서 밝혀진또 한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최근 국내 배우들의 할리우드 진출로 말미암아 ... ...
씨없는 수박의 개발자는 우장춘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않는 성질을 활용해 우수한 1대 잡종을 만드는 육종방법을 확립·보급했던 것이다. 그
결과
한국은 일찍이 1대 잡종 시대로 접어들며 우수한 채소종자의 생산과 자급을 이룰 수 있었다. 또한 강원도 감자와 제주도 감귤도 그에 의해 재배법이 마련돼 오늘날처럼 대표적인 지역 특산물로 부상하게 됐다 ... ...
생체시계 바늘역할 효소 찾았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전달한다”고 설명했다.연구팀은 쥐의 세포에서 이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를 고장낸
결과
생체시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을 발견했다. 정상 쥐는 빛이 없어도 12시간 주기로 밤낮을 구분하는데 이 효소가 고장난 쥐는 밤낮을 구별하지 못했다.신 박사는 “이번에 기능을 밝혀낸 효소는 ... ...
가장 멀리 있는 블랙홀 무게 밝혀져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사실은 이 거대한 블랙홀이 우주 나이의 6%에 불과했을 때 존재했다는 점이었다.이번 연구
결과
는 우주의 역사 동안 블랙홀과 은하 사이의 진화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에딘버러 천문연구원의 로스 맥루어는 “퀘이사는 우주에서 형성된 첫번째 육중한 천체”라며 “거대한 블랙홀이 ... ...
이전
1175
1176
1177
1178
1179
1180
1181
1182
1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