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뉴스
"
관측
"(으)로 총 3,908건 검색되었습니다.
허블 우주망원경, 우주 나이 9억년때 별빛
관측
…역대 가장 먼 별
동아사이언스
l
2022.04.02
미국 존스홉킨스대를 비롯한 9개국 공동연구팀이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우주 탄생 9억 년 뒤 한 항성(화살표)이 발한 빛을
관측
했다. 이 항성과 지 ... 제임스웹우주망원경(왼쪽)이 멀리 있는 천체(오른쪽)를 중력렌즈 효과를 통해
관측
하는 모습을 그린 모식도다.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 제공 ... ...
감마선으로 바라본 초신성
과학동아
l
2022.04.01
방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감마선은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초단파이다. 연구팀은 “이번
관측
으로 신성의 발달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우주 입자 가속을 상세히 연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3월 10일자에 실렸다. doi: 10.1126/science.abn0567 ... ...
안테나 전개한 한국 최초 달 궤도선...전자파 시험 등 담금질
동아사이언스
l
2022.04.01
항우연은 이날 KPLO 관제실도 공개했다. 한국 첫 달탐사선의 발사부터 달 도착후
관측
임부까지 모든 운용이 이뤄지는 핵심 시설이다. 관제실 안 대형 스크린에는 달의 모습과 달 궤도 관련 데이터들이 빼곡했다. 김동규 항우연 선임연구원은 “KPLO 발사 때 관제부터 시작해 탑재체를 제공한 ... ...
정부 거리두기 수위 놓고 고심…영업시간 제한 폐지도 검토(종합)
연합뉴스
l
2022.03.31
완화 가능성을 시사해왔다. 이에 일각에서는 '10명-밤 12시' 등으로 완화될 수 있다는
관측
이 나왔지만 인수위 요청에 따라 이번주 중반 이후 확산 상황을 지켜본 뒤 영업시간 제한 해제 가능성까지 두루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서울 마포구의 한 카페에서 시민들이 시간을 보내고 있는 ... ...
통가 대규모 화산 폭발 원인은 바닷물 급격한 기화 작용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2.03.30
화산재와 화산가스가 만든 기둥 모양의 구름 높이가 당시 19.2㎞까지 솟구친 것으로
관측
됐다. 분화 직후 쓰나미가 발생해 1만㎞나 떨어진 남미 대륙에도 피해를 입혔다. 이 화산은 인도 호주판에 위치한 토푸아 화산대에 있는 많은 화산 중 하나다. 하지만 평소 활동이 활발한 편은 아니었다. ... ...
명왕성에는 얼음입자를 분출하는 화산이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30
중앙 좌측 일부인 스푸트니크 평원을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했다. 뉴호라이즌스에 달린
관측
장비는 1km 크기의 지형도 식별이 가능하다. 스푸트니크 평원 중에서도 남서쪽에 위치한 약 1000km2의 지역을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높이가 최대 7km, 너비가 최소 10km에서 최대 150km까지 이르는 얼음화산들이 ... ...
천리안위성 2호 환경·기상·해양 통합감시체계 강화한다
연합뉴스
l
2022.03.29
업무협약 확대 '천리안위성 2호' 에어로졸
관측
영상 [국립환경과학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29일 오전 부산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기상청, 국립해양조사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천리안위성 2호 융복합 활용 협력에 관한 업무협약'을 확대 체결했다. ... ...
한미, 북 ICBM '화성-15형'으로 결론…공개영상도 '짜깁기' 판단
연합뉴스
l
2022.03.28
TEL에서 운용·발사할 경우 이를 탐지하고 무력화시키는 군사작전이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
이 나온다. 터널이나 은폐된 곳에 있다가 갑자기 나와 기습 발사하기 때문에 사전 탐지 및 격파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북한은 2020년 10월 열병식 때 공개한 TEL을 이용해 이번에 발사했는데 이는 대북제재 ... ...
중력파 검출 그후 6년, 우주 비밀 향해 달려가는 중력파 천문학
동아사이언스
l
2022.03.28
단장은 “우주에 중력파 검출기를 띄우면 블랙홀이나 중성자별 쌍성계의 움직임 전반을
관측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암흑물질 연구나 천체와의 거리에 대한 정확한 측정으로 허블 상수의 정확도를 높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남극서 로마시 넓이 빙붕 붕괴…전문가들 "남극의 미래 보여준 사례 씁쓸"
동아사이언스
l
2022.03.27
전제조건이 됐다”고 분석했다. 이번 붕괴 영상은 유럽우주국(ESA)이 운영하는 지구
관측
프로젝트인 코페르니쿠스의 센티넬-1호가 포착했다. 센티넬 1호는 지난해 6월 미국 워싱턴대와 영국 남극연구소(BAS) 공동 연구팀이 유럽우주국(ESA)의 연구에도 활용됐다. 연구팀은 위성 촬영사진을 분석해 201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