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지도분쟁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지역의 중심을 지나는 자오선을 기준으로 경도를 잰다. 올버스는 베스타를 처음 발견한
천문
학자의 이름이다.그런데 지난해 7월 베스타에 도착한 탐사선 던은 당시 허블우주망원경이 관측한 자전축이 실제보다 10° 정도 기울어져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자전축을 수정한 ... ...
안드로메다와 아스트랄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19세기만 해도 안드로메다 은하가 우리 은하계 안에 있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미국
천문
학자인 허블이 안드로메다 은하는 우리은하 밖의 천체라고 규명했죠. 특히 우리은하와 매우 유사한 은하계로도 유명하죠.신화 속 안드로메다가 현실에서는 존재하지 않을 정도로 예뻐서였을까요. 안드로메다 ... ...
일곱 번째 슈퍼지구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9호
적색왜성 글리제(Gliese)163을 중심으로 돌고 있는 행성 ‘글리제 163c’예요. 유럽남부
천문
대에서 행성추적용 고감도 분광계 HARPS로 발견했지요. 글리제163c 는 황새치자리라는 별자리에 있는데, 지구에서 49광년 떨어져 있어요. 지구보다 6.9배나 무겁고 반지름도 1.8~2.4배나 크답니다. 글리제163c는 ... ...
별이 빛나는 사량도
천문
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4호
있는 학교 안으로 들어와 적당한 돌 밑에서 지내기도 하더라고.섬이라서 색다른 사량도
천문
대가 궁금한 친구들은 7월 중순부터 열리는 다양한 캠프 프로그램을 참고하렴. 무더운 여름에도 별이 빛나는사량도의 밤하늘은 무척 시원하고 멋질 거야 ... ...
Part 1 . 2013년, 태양은 과연?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변화를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다면 인공위성이나 우주선, 우주인의 안전에 도움이 된다.
천문
연은 RBSP의 자료를 받기 위해 지름 7m의 안테나를 새로 설치했으며, 이 자료를 분석해 태양활동 극대기에 아리랑이나 천리안 같은 우리나라 인공위성을 보호할 계획이다.이해해야 예측한다일반인 차원에서 ... ...
백색왜성 짝이 만든 우주 표준 촛불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부른다. 우주가 가속팽창한다는 사실도 이 초신성을 이용해 알아냈다.대부분의
천문
학자들은 이중성을 이루고 있는 백색왜성으로부터 1a형 초신성이 생긴다는 데 동의한다. 백색왜성은 질량이 작아 폭발을 일으키지 못하고 최후를 맞은 별의 잔해다. 만약 한 백색왜성이 짝을 이루고 있는 다른 별 ... ...
Part 4. 검은 태양이 유혹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있는 레이번에 도착했다. 이곳에는 남반구
천문
학회(Southern Astronomical Society)에서 운용하는
천문
대가 있다. 첫 이틀간의 일정은 단순하면서도 우주적이었다. 해질 무렵 천체망원경을 설치하고 밤을 새워 별을 관찰했다. 새벽잠을 청하고 정오쯤 일어나서 점심을 먹고 관측 기록을 정리했다. 그리고 ... ...
별빛이 폭포수가 되어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밤하늘에는 국경이 없다. 오리온자리에서 황소자리로, 별자리를 옮겨 다닌다고 여권을 꺼낼 필요가 없다. 덕분에 천체사진가는 밤하늘을 마음껏 누비는 호사를 누리고 우리는 세계 곳곳의 시선으로 밤하늘을 감상할 수 있다. 영국이 주최하는 국제 천체사진공모전 ‘올해의 천체사진가’의 2012년 ... ...
“대학 교수와 함께 연구해요”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학생은 1학년 때 싸이드림반(영재반) 활동으로 얻은 것이 많다. 하계 과학캠프를 비롯해
천문
탐구, 과학체험으로 간 제주 리더십 캠프 등 프로그램이 다양했다. 아쉽게도 영재반은 1학년을 대상으로만 운영된다. 하지만 명호 학생은 함께 영재반을 했던 친구들과 ‘과학우수실험반’ 동아리를 결성해 ... ...
Part 2 . 새끼흑점의 서바이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Fast Imaging Solar Spectrograph)다. 이 분광기는 2010년부터 세계 최대 태양망원경인 미국 빅베어
천문
대의 신태양망원경(NST)에 달려 있으며 새끼흑점을 포함한 태양의 미세 구조를 관측하고 있다.관측 결과, 예상 밖의 성과를 얻었다. 새끼흑점의 상공을 보면 대기에서 태양 표면으로 물질이 내려가는 것이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