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d라이브러리
"
은하
"(으)로 총 1,32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는 영원히 팽창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요동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제 이 요동은 물질의 자체 중력이 어떻게 현재의 별
은하
등 거대한 구조를 형성시켰는지를 설명해 줄 것이다.우주는 정말 빅뱅에서 시작되었는가? 우주는 영원히 팽창할 것인가, 아니면 블랙홀로 수축할 것인가? 이러한 질문들은 우주배경복사 발견에 즈음에 진지하게 ... ...
각양각색인 별들의 진화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나선팔에 분포하는데 반해 구상성단은 주로
은하
핵과 그 주위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어
은하
의 진화에 관해 여러 사실을 암시해주고 있다. 별의 종말앞에서 압력과 중력이 평형을 이룰 때만이 별들은 안정된 모습을 이룬다고 기술한 바 있다. 즉 (중력)=(압력)의 등식이 성립할 때 별은 팽창하거나 ... ...
인플레이션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통해) 발생된 물질의 미세한 섭동이 지난 1백~2백억년간 어떻게 현재의
은하
, 또는 대
은하
군으로 진화되었는가에 대한 연구활동이다.이에 버금가는 또다른 연구 줄기는 망원경을 통해 관측된 물질(빛을 발하는 물질) 또는 빛을 발하지 않는 암흑물질(dark matter)들의 공간적 분포가 얼마만큼 ... ...
지중해를 지배하는 물의 별자리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있다. 1960년 6월에는 지름 26m짜리 전파망원경을 사용하여 파장 21cm의 전파(1천4백20MHz,
은하
계내의 수소원자가 발하고 있는 파장)를 직접 이 항성들에 보냈으나 반응은 없었다.현재는 이 계획은 진전되지 않고 있으나, 올 10월부터 콜럼부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5백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새로운 ... ...
우리
은하
는 얼음덩어리에서 출발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견딜 수 있었다"고 했다.이 거대한
은하
헤일로는 우주배경복사에도 영향을 미친다. 먼저
은하
들에 있는 그 얼음 덩어리들은 시선방향으로 멀리 떨어진 물체에 대해 빛을 차단시킨다. 이로부터 왜 적색편이가 5 이상인 퀘이사를 볼 수 없는가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둘째로 수소 덩어리는 ... ...
블랙 홀 탱고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둘이서 춤추는 별들의 무대나 많은 별들과 춤추는 엄청난
은하
계의 핵 세계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든 간에 천문학자들이나 천체물리학자들은 진실을 찾아내고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도 이 칼럼에선 간간히 블랙홀에 관한 새로운 정보나 이론을 논하게 ...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8월3일은 특히 날씨가 좋아 궁수자리 별들이 초롱초롱 빛났으며
은하
수가 뭉게뭉게 남북으로 뻗어 있었다고 관측일지에 기록했다. 운량은 0/10. 사진 결과는 광주 근교의 담양과 우열을 다루기 어려울 정도로 새까만 밤 하늘에 별들이 많이 찍혔다.부산은 환경처가 발표한 ... ...
은하
수를 건너는 배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독수리 남쪽에 있는 방패자리가 바로 그들이다.워낙 어두운 별들로 이루어진 별자리여서
은하
수 속에서 이들을 찾기는 매우 힘든 일이다. 또한 화살자리를 제외하고는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졌고 그 이름과는 무관한 모양을 하고 있어 특별한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하고 있다.독수리자리 위쪽에 ... ...
우주의 나이 의외로 젊다?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비교하여 거리를 결정했다. 가까운
은하
에서 생기는 초신성 관측을 통해 처녀자리
은하
단의 초신성까지의 거리를 측정했다. 이 방법에 따르면 우주의 나이는 1백20억년은 넘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왔다.카네기 천문대의 프리드만과 칼텍의 마도어는 새로운 케페우스 변광성의 관측을 정밀하게 실시해 ... ...
별은 어떻게 탄생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줄거리를 갖는 우주론이다. 따라서 시간이 제 방향으로 흐른다면 이 우주론에서는
은하
가 하나씩 생겨야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 우주론을 '연속 창생'(Continuous Creation)우주론이라고 부른다."BB(Big Bang)가 맞느냐, CC(Continuous Creation)가 맞느냐"하는 역사적인 논쟁은 사실 미국과 영국의 대결이기도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