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법률
법령
법칙
규칙
법규범
법규
법체계
d라이브러리
"
법
"(으)로 총 2,164건 검색되었습니다.
삼척동자와 도량형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시대에 따라 자주 변했기 때문에 예를 들어 1자(尺)가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미터
법
으로 정확히 얼마라고 말하기는 힘들다. 그럼에도 여러 자료를 근거로 오늘날과 비교하면 1치는 3.0303cm이고 1자는 30.303cm이다. 또 넓이 단위인 1보(=1평)는 약 3.3m2이며 들이 단위인 1홉은 180.39c㎥이고, 무게 ... ...
3. 교통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급해져 차도로 미끄러지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교통약자의 이동편의증진
법
’에 따르면 인도의 기울기는 1/18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이것은 1m 높이를 내려가기 위해 18m를 움직여야 하는 기울기다. 마찬가지로 20cm 높이의 경계석을 안전하게 내려 오려면 인도 폭이 3.6m가 필요하다는 ... ...
2014년 국제수학자대회 유치의 기적을 일구어 낸 수학자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뭔가 특별한 이유가 있어야 하는데, 그런 게 있겠냐는 반응이 었습니다. 의욕이 꺾일
법
도 한 상황이었지만 반대로 그게 더 열심히 뛰게 된 계기가 되었어요. ‘특별한 게 없다면 특별한 걸 만들어 주마!’라는 식이었죠.”2014년 국제수학자대회 유치를 놓고 우리나라와 경쟁한 나라는 캐나다, ... ...
가위바위보 필승전략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알래 스테어 데이비슨 박사는 가위바위보를 이용해 손의 다친부위를 진단할 수 있는 방
법
을 2003년 의학저널 ‘인저리’에 소개했다. 가위는 척골신경이, 바위는 주먹을 쥐고 내미는 정중신경, 보는 손과 손목을 펴는 데 관여하는 요골신경의 움직임이 필요하다. 환자에게 각 손모양을 취하라고 한 뒤 ... ...
국내 하나뿐인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멸균한 물도 넣어 줘야죠. 그런데 이 놈 입이 짧아서 걱정이에요. 지노는 사료를 남기는
법
이 없는데, 지노2는 먹는 양도 적은 편이거든요.”지노2의 출생 당시 몸무게는 428g. 지노보다 더 약골로 태어난 데다 6주가 지난 지금2.48kg으로 지노에 비해 성장 속도가 좀 느리다. 아무래도 먹는 양 때문인 것 ... ...
얼굴 없는 범인 잡는 심리수사기
법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않겠다는 의지로 강간이나 살인 등 강력범죄를 저지른 범죄자들을 면담해 프로파일링 기
법
을 연마한 순수 토종 프로파일러다.2004년 연쇄살인범 유영철이 붙잡힌 뒤 경찰청에서는 심리학이나 사회학 학사 이상의 학위 소지자를 특채해 체계적으로 프로파일러로 양성하고 있다. ... ...
깨처럼 고소한 물고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전어가 고소하게 익어 맛이 된다사람의 몸에서도 가을은 슬그머니 빠져나가는
법
이니그 빈자리에 가을 전어의 탄력 있는 속살을 채우자맑은 소주 몇 잔으로 우리의 저녁은 도도해질 수 있으니밤이 깊어지면 연탄 피워 석쇠 발갛게 달구어 전어를 굽자생소금 뿌리며 구수한 가을 바다를 통째로 ... ...
Why Are Flu Viruses Seasonal?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많이 이뤄지는 곳이라 위험하다. 과거 바이러스들과 마찬가지로 H1N1과 그에 대항하는
법
을 계획 중인 공중보건 관계자들에게 진정한 시험대는 다가올 가을과 겨울이 될 것이다. 과학적인 설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단 8개의 유전자만으로 이뤄져 있다. 이것은 인간이 소유하고 있을 것으로 ... ...
수학, 보안에 날개를 달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보안전문가의 미래는 밝다.삼성 SDS를 시작으로 보안일을 시작한지 15년. 보안에 통달했을
법
한데 안 부사장은 “매일 매일이 새롭다”라며 뜻밖의 반응을 보였다. 보안은 컴퓨터나 휴대폰 등 통신 장비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있기 때문이란다. 새롭게 등장하는 보안문제를 해결하는 일은 15년 ... ...
맛있는 세계 면류 총집합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않은 쌀에는 점성이 없다. 밀가루 반죽처럼 쌀가루에 물을 넣고 여러 번 치대는 방
법
으로는 쌀가루 덩어리를 만들 수 없다. 대신 쌀은 찔 때 점성이 생긴다. 쌀의 주된 성분은 전분. 전분 입자는 60℃ 이하에서는 물에 녹지 않지만 그 이상이 되면 물을 흡수해 팽창한다. 이 현상을 호화라고 한다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