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마인크래프트에 생태계 피라미드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실행’ 아래의 ‘블록 채우기’ 명령블록들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 복사한 뒤 ‘이면 실행’에 연결되도록 붙이세요.➑ ‘블록 채우기’의 ‘공기블록’을 ‘잔디블록’으로 바꾸세요. Index가 10, 20, 30일 때는 잔디블록을 채워 바닥면을 만들고 아닌 경우에는 공기블록을 채워 빈 공간을 ... ...
- [2022 필즈상 예측]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 허준이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1호
- 그리고 독자 5명. 박사과정 때 만든 수학 무기로 난제 줄줄이 해결 3년 뒤 허 교수는 카림 아디프라지토 이스라엘 예루살렘 히브리대학교 교수, 에릭 카츠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교수와 함께 ‘로타 추측’도 해결했습니다. 로타 추측은 리드 추측에서 확장된 문제로, 리드 추측을 ... ...
- [폴리매스 미궁] 알에서 발견된 소녀수학동아 l2022년 01호
- 곳이라 군데군데 알 수 없는 문자와 기호가 적혀 있다. 소녀는 멍하니 앉아만 있다. 얼마 뒤 부족장이 내려와 티티르를 심문한다. “저 여자애는 누구지? 무슨 연유로 네 천막이 있었던 거냐?”티티르가 간밤에 일어난 일을 설명하려는 순간 소녀가 나직한 목소리로 중얼거린다. “뭐? 뭐라고 ... ...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미래를 예측하는 원리입니다. ‘대수의 법칙’을 적용해 과거의 데이터로 확률을 구한 뒤, 결과를 예측하는 모형으로 쓰입니다. 이때 어떤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화하는 것을 ‘전이’라고 부르며, 상태 전이를 나타낸 그림을 ‘상태 전이도’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과거의 데이터를 통해 맑은 ... ...
- [특집] 꼭꼭 숨어라~ 규칙 다 보인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이틀이 지나면 일요일이에요. 1년 뒤 같은 날짜의 요일은 어떻게 알아낼까요? 365일 뒤의 요일을 구한다고 생각하면 돼요. 365를 7로 나누면 몫이 52고 나머지가 1이에요. 금요일에서 하루가 지난 토요일이겠네요! 더 먼 날짜를 구할 때도 마찬가지 방법을 쓰면 돼요. 윤년이 끼어있으면 1년을 366일로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17화. 샤롱가 납치 사건의 대 반전!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쓸쓸히 가버렸습니다. 딱지도 어쩔 줄 몰라 하다가 황급히 용용을 따라갔습니다.얼마 뒤 딱지는 매니저를 통해 샤롱가가 공연장으로 돌아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갤럭시 틴즈 멤버들이 샤롱가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감싸주었다고도 했습니다. 샤롱가는 마지막 힘을 얻어서 공연을 ... ...
- [과학뉴스] 공기 속 DNA로 곤충의 생태를 연구한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유래한 ʻ환경DNA(eDNA)’가 있다. 이렇게 수집한 eDNA에서 곤충 유래 DNA를 모두 증폭한 뒤 분석해 총 85종의 곤충을 확인했다. eDNA에서 나방은 9종이 확인됐는데, 이 중 5 종은 전통적인 연구방법으로는 채집되지 않았다. 채집과 eDNA 분석을 상호보완적으로 활용 할 수 있다는 의미다. 로저 연구원은 “eDNA ... ...
- [그래픽뉴스] 1인당 플라스틱 최대 배출국 1위 미국… 한국은 3위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미국국립과학원(NAS)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1인당 플라스틱 쓰레기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국가이며, 그 다음으로 영국, 한국이 뒤를 잇고 있다. 배출 상위 국가들은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 전략이 필요하다. ...
- 과학자가 만든 일품요리 집에서 즐기세요과학동아 l2022년 01호
- 그 결과 고주파 해동기(HFD)로 냉동 고등어를 해동하고 181℃의 온도로 9분간 증숙한 뒤 급속냉동한 경우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높았고, 영양성분도 잘 보존된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doi: 10.3390/foods10051135물론 이런 조건에서는 입맛을 돋우는 풍미도 떨어질 수 있습니다. 식품에서 긍정적인 풍미를 ... ...
- [작심삼일의 심리학] 보인다… 미래가!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나타낸 걸 보면 더 확실합니다. 10여 년 전부터 매년 1월 초에 검색횟수가 훅 늘었다가, 그 뒤로 점차 감소하는 패턴이 반복됐거든요. 역시 사람들은 시대와 국가를 막론하고 다 똑같다는 사실이 위안이 되면서도 씁쓸합니다. 다 알고 있습니다. 목표를 이루는 건 지루하고, 고통스러운 과정이라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