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배아는 정상적으로 발달했고, 태어난 쥐에서는 흰색과 검은색 털이 둘 다 자랐습니다(그림).과학 연구에 많이 쓰이는 돌연변이 쥐 역시도 어린 배아의 놀라운 적응력을 이용해 만들어집니다. 돌연변이 쥐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배아줄기세포에서 연구 주제인 유전자를 변형시킨 뒤, 이것을 수정 ... ...
- [Career] 전극에 심은 나무, 수소에너지를 만들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장호원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의 사무실 한쪽 벽면을 차지하고 있는 TV에는 희한한 그림이 띄워져 있었다. 편평한 금속판 위에 작은 나뭇가지 같기도 하고 솔잎 같기도 한 것이 박혀 있었다. 호기심을 참지 못하고 물었다. “수소에너지 연구를 하신다고 들었는데요. 저 나무들은 뭔가요?” 장 ... ...
- Part 4. 극한 실험실에 산다, 기묘한 양자물질 삼형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서로 다른 종류의 솔리톤이 만들어지는데, 이를 카이럴 솔리톤이라고 부른다(82쪽 위 그림 참고). 두 개의 인접한 원자선에서는 총 세 가지의 위상전하 값(-1, 1, -2 또는 2)을 갖는 카이럴 솔리톤이 나온다.김 교수는 같은 학과의 염한웅 교수(기초과학연구원 원자제어저차원전자계 연구단장)와 ... ...
- Part 1. 새로운 세계, 양자 물질의 서막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양자물리학의 최전선 양자물질Part 1. 새로운 세계, 양자 물질의 서막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Part 3. 물질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Bridge. ‘물질 디자이너’ 꿈꾸는 양자물질 헌터들Part 4. 극한 실험실에 산다, 기묘한 양자물질 삼형제 ...
- ‘고딩 힙스터’의 인디 쏭 발굴기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댄스를 좋아하는지 이유를 맞히는 거지. 그러면 컴퓨터는 더 정교해질 수 있어. 아래 그림처럼 나랑 같은 곡을 좋아하는 사람이 트와이스를 좋아 해도 나에겐 추천하지 않는거지. 나는 댄스가 아니라 남자 아이돌을 좋아하니까!‘좋아요’의 이유를 찾는 방법 중 하나는 조건부 확률을 활용하는 ... ...
- 뇌 속 내비게이션의 길 찾기 전략 4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측두엽 안쪽에 깊숙이 자리한 해마는 CA1에서 CA4까지 네 가지 부위로 이뤄져 있다(125쪽 그림).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존 오키프 교수는 1971년, 우리의 위치가 달라질 때마다 A1에 있는 피라미드 세포가 활성화된다는 것을 확인해 ‘장소세포(Place cell)’라고 명명했다. 피라미드 세포(왼쪽 ... ...
- 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어떻게 될까. 비상대론적 입자가 자리 잡을 수 있는 에너지 구조는 위의 오른쪽 2번 그림처럼 바뀐다. 모든 전자는 아래로 휘어진 ‘에너지 띠’를 차지하고, 위로 휘어진 에너지 상태에는 전자가 하나도 없다. 앞서 말한 모든 아파트 가구에 남자 한명, 여자 한 명씩 들어가 있는 상태, 전기가 통하지 ... ...
- Part 2. 주사위로 즐기는 마방진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이렇게 만든 주사위에서 B 주사위의 3과 C 주사위의 4를 몽땅서로 바꿔도 비이행적 주사위(그림❷)가 돼요. A가 B′를, C′가 A를 5/9의 확률로 이기고, B′가 C′를 6/9의 확률로 이겨요.이 사실은 1997년 미국 플로리다주에 사는 조지 트레팔이라는 평범한 회사원이 알아냈어요. 영국 수학자 이언 ... ...
- [수학뉴스] 수학의 모든 것 지도 한 장에 담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할 수 있는 수 세기와 수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0의 발견 등 수학의 기원을 간단한 그림과 함께 보여줍니다.이 원을 기준으로 왼쪽 붉은색 부분은 정수와 실수, 사칙연산 기호 같은 수학의 기본 요소와 위상수학, 대수학, 기하학 같은 순수수학 분야를 소개합니다. 오른쪽 푸른색부분은 알파고로 ... ...
- 선을 넘은 사랑, 혜성을 만들고 죽이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이번 혜성과 같은지 어찌 확신하냐고 따질 수도 있겠지만, 영화적 설정이니 넘어가자.그림 속 혜성처럼 실제 혜성도 예쁘다. 꼬리는 길 땐 하늘의 절반을 덮고 몸통은 별보다 크다. 어느 날 갑자기 못 보던 것이 반짝이며 꼬리를 달고 하늘에 떠 있다고 생각해보라. 타고 있던 버스에서 내려 “와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