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우주 도시 특명 또 하나의 지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에너지가 큰 우주 방사선은 분열 후 지상으로 비처럼 쏟아져 내리기도 하지만(위 그림),대부분은 지구 대기에서 흡수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다와 우주에 둥둥~! 미래 도시가 온다Part 1. 도시 역사와 함께 흐른다Part 2. 지하 도시 도시 아래에 산다Part 3. 지하 도시 만드는 두 가지 비밀 ... ...
- Part 3. 수학으로 만든 보드게임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실제 도블은 카드 1장에 그려진 그림이 8개인, 차수가 7인 사영 평면이다. 차수는 그림의 개수 빼기 1로 결정된다. 따라서 카드가 72+7+1=57장 필요하다. 하지만 도블의 카드는 55장이다. 도블 제작자가 일부러 2장을 뺐다.전공 살려 만든 보드게임김 교수는 수학적 원리로 만들어진 도블이 인기가 있는 걸 ... ...
- [Photo] 우주는 사랑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초현실적인 느낌에 빠져볼 수 있다.▲위 (지구와 우주 / 그림 부문 은상) 우주가 그린 그림 조강욱, 오클랜드의 초하루 달살면서 쉽게 볼 수 없는 초하루 달.오클랜드는 한국의 도시와 달리 높은 건물이 많지 않아서 서쪽 지평선 근처 낮게 걸린 아름다운초승달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그 ... ...
- [Origin] 모든 선택을 설명하는 이상한 수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변화하는 모습에 주목한다. 부모 개체군이 다섯 사람으로 이뤄졌다고 하자(140쪽 그림). 이들의 평균 키는 170cm이다. 한 세대가 지난 뒤, 각자 낳은 자식들을 모두 데려와서 자식 개체군을 만든다(편의상 무성생식을 가정한다). 자식 개체군의 평균 키는 어떻게 될까?부모 개체군은 5명, 자식 개체군은 1 ... ...
- 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역할까지 밝혀냈다4).세포의 복제가 여러 번 진행되면 DNA의 말단은 일부 손실된다(왼쪽 그림). 만약 DNA 전체가 유전정보를 담고 있다면 복제를 할 때마다 우리가 가진 유전정보가 조금씩 사라지게 된다. 텔로미어는 이를 막기 위한 완충제 같은 존재다. 텔로미어의 길이가 길면 그만큼 여러 번 세포를 ... ...
- [Issue] 공중화장실이 두려운 그대… 뇌에 새겨진 스트레스, 강박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사용한다.하지만 증상이 심한 사람은 이것만으로는 고쳐지지 않는다. 뇌의 선조체(90쪽 그림)가 기능이 떨어져 불안한 생각이 자꾸 떠오르는 경우다. 이 경우는 우울증과 마찬가지로 ‘긍정의 힘’을 내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과 관련 있다. 뇌에서 세로토닌 분비가 현저히 줄어들면서 과도하게 ...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남세균은 광합성 유전자를 이용해 훗날 서로 다른 용도를 가진 광계1과 광계2(131쪽 그림 참조)를 분화시켰을 것이다. 또한 산소호흡 유전자를 이용해 광계2와 함께 작동할 수 있는 산소 발생 복합체를 진화시켰을 것이다. 3. 산소호흡, 독자적으로 진화 한편 산소를 이용하는 세포호흡은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배아는 정상적으로 발달했고, 태어난 쥐에서는 흰색과 검은색 털이 둘 다 자랐습니다(그림).과학 연구에 많이 쓰이는 돌연변이 쥐 역시도 어린 배아의 놀라운 적응력을 이용해 만들어집니다. 돌연변이 쥐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배아줄기세포에서 연구 주제인 유전자를 변형시킨 뒤, 이것을 수정 ... ...
- Part 4. 극한 실험실에 산다, 기묘한 양자물질 삼형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서로 다른 종류의 솔리톤이 만들어지는데, 이를 카이럴 솔리톤이라고 부른다(82쪽 위 그림 참고). 두 개의 인접한 원자선에서는 총 세 가지의 위상전하 값(-1, 1, -2 또는 2)을 갖는 카이럴 솔리톤이 나온다.김 교수는 같은 학과의 염한웅 교수(기초과학연구원 원자제어저차원전자계 연구단장)와 ... ...
- 수학은 외계어!수학동아 l2017년 04호
- 23×73으로 직사각형을 만들면 불규칙한 그림이 나오지만, 73×23으로 만들면 의미 있는 그림이 나온다. 이것은 가장 기본적인 암호로, 과학자들은 지적 생명체라면 이를 풀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 드넓은 우주에 우리밖에 없다면 그건 엄청난 공간의 낭비 아니겠니?" 1997년 개봉한 영화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