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타이탄의 대기 아지랑이, 형성 실마리 풀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섞었다. 그 결과 새로운 PAHs인 ‘페난트렌’과 ‘안트라켄’이 생성됐다. 또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 과정에 고온의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 과정이 타이탄 대기를 만드는 방아쇠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팀은 향후 이렇게 만들어진 유기물 ...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기술을 사용했다. 밀 게놈을 평균 길이가 76개 염기쌍인 긴 DNA 조각으로 절단하고 이것을 컴퓨터에 입력해 재조합하는 ‘샷건 시퀀싱(shotgun sequencing)’ 기술이 쓰였다. IWGSC에 한국 대표로 참여하고 있는 서용원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는 “덕분에 밀의 중요 특징을 결정짓는 유전자들이 어디에 ... ...
- [팩트체크] 리만 가설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수학동아 l2018년 11호
- 건 비공개 개인 키를 가진 사람만 할 수 있습니다. 엄청 큰 수를 소인수분해하는 건 슈퍼컴퓨터를 이용해도 몇 년이 걸리므로 비공개 개인 키를 알아내는 건 거의 불가능하지요.그렇다면 리만 가설이 증명되면 RSA 암호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정답은 ‘큰 영향은 없다’입니다. 앞서 이야기했지만, ... ...
- [이달의 사물] 컴퓨터용 사인펜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줄만 나타납니다. 혹시 수능 당일 컴퓨터용 사인펜을 못 챙겼더라도 당황하지 마세요. 컴퓨터용 사인펜과 샤프 모두 고사장에서 나눠준답니다. 모든 수험생의 수능 대박을 기원합니다. 파이팅 ... ...
- 2019 한국정보올림피아드 이렇게 바뀐다!수학동아 l2018년 11호
- 가운데서 국제정보올림피아드에 출전할 국가대표 네 명을 뽑는 등용문이 될 예정입니다.컴퓨터공학의 다양한 분야 중에서 알고리즘 분야에 한정해 영재를 선발하는 이유는 알고리즘 분야가 여러 분야의 밑바탕을 이룰 뿐 아니라 학생들의 창의력과 문제해결능력을 빠르고 명확하게 가려내는 데 ... ...
- ‘찰리와 초콜릿 공장’으로 보는 P대 NP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있습니다만, 수학적으로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이 문제가 풀리면 수학계뿐만 아니라 컴퓨터과학, 암호학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우리 실생활에도 덩달아 많은 변화가 일어나겠죠. 게다가 100만 달러(약 11억 3350만 원)의 현상금도 걸려있으니, 수학을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이 문제를 푸는 ... ...
- [과학뉴스] 짜잔! 2D 영상이 3D 모션 조각으로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파악하기 어려웠다.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컴퓨터과학인공지능연구소 연구팀은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해 이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프로그램에 영상을 입력하면 영상 속 피사체의 골반이나 무릎, 발목 등의 위치를 2차원 좌표로 변환한 뒤 이 점들을 이어 3D 골격을 만든다. 이어서 3D 골격이 ... ...
-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충전 기술이 대거 선보였다. 에너저스는 왓업으로 주변 1m 반경에 놓인 마우스, 키보드 등 컴퓨터 주변기기 충전을 시연했다. 미국의 파워캐스트도 최대 3피트(약 91cm) 떨어진 거리에서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파워스팟’을 시연했고, 오시아는 자사의 무선전력송신 장치인 ‘코타’와 ... ...
- 국제우주정거장(ISS) 아찔했던 사고 5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위. 발사 순간부터 손상 입은 스카이랩1973년 5월 14일 ISS는 우주 쓰레기와의 충돌 위험, 컴퓨터 오작동 등 작은 사고가 종종 일어난다. 하지만 기체가 크게 손상되거나 실제로 충돌할 만큼의 큰 사고는 발생하지 않았다. 우주정거장의 큰 사고는 ISS 이전에 운영되던 우주정거장에서 발생했다.1973년 ... ...
- 완성된 웡카 초콜릿, 어떻게 담을까?수학동아 l2018년 11호
- 밀집될수록 더 빽빽하게 서로를 밀쳐서 빈 곳을 채웠기 때문입니다.채킨 교수는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MRI 스캔을 통해 납작한 초코볼이 동그란 초코볼보다 훨씬 더 빽빽하게 공간을 채운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무작위 쌓기가 구 쌓기에 가까운 최대 밀도를 보인 것은 처음이여서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