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위해 김 교수는 분석 툴도 자체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김 교수는 “생물학 연구와 컴퓨터 데이터 처리 연구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우리 연구실의 강점”이라며 “단일 세포 연구에 좋은 성과가 나오면 암 환자별 맞춤 치료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 ...
- [수학뉴스] 목적지가 어디세요? 가장 ‘안전한’ 경로 찾아드려요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의한 실제 보행자 사상자 수를 정확하게 예측했습니다. 연구를 이끈 퍼드래그 코코런 컴퓨터과학 및 정보학부 교수는 “구글맵은 하루에만 수백만 번 경로 검색을 제공하지만, 경로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간과하고 있다”면서, “이번에 개발된 알고리듬을 상용화해 사람들이 가장 안전한 경로를 ... ...
- part 4. 무한히 많은 도시 여행하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여기서 문득 방문하고 싶은 도시가 10만 개라면 어떻게 해야 할 지 궁금해졌습니다. 지금까지 최고 기록은 8만 5900개 도시를 방문하는 거였으니까요. n개의 도시를 여행하는 외판원 문제는 ‘NP-완전’이에요. 어쩌면 n의 다항식 꼴로 표현되는 특정 횟수(다항 시간) 안에 풀 수 있는 방법이 없을 수 ... ...
- [매스미디어] 수학 잘하는 법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공학에서도 활발하게 쓰이며, 실제보다도 더 생동감 넘치는 파도나 불길을 표현하는 컴퓨터 그래픽에도 활용된다. 하지만 아직까지 3차원에서 정확한 해를 구할 수 없어 수학계 대표 난제로 꼽힌다. 과학계와 산업계에서는 해의 근삿값을 구해 활용하고 있다. 도함수★ : 어떤 함수를 미분해 얻은 ... ...
- 코딩으로 수학 배우고 R&E까지 폴수학학교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해외 학회에서 결과물을 발표하는 학생들도 있다. 학교에서 만난 김민석(고1) 군은 한창 컴퓨터로 무언가를 하고 있는 중이었다. 어떤 연구를 했는지 묻자 김 군은 “1차 남북정상회담 당시 트위터에 올라온 문재인 대통령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글을 수집해 각 대통령이 어떤 평가를 ... ...
- 튜링의 마지막 유산 수리생물학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컴퓨터과학의 아버지, 암호 해독으로 2차 세계대전 승리를 이끈 주역. 눈치 채신 분들도 많을 겁니다. 영국의 수학자 앨런 튜링을 수식하는 말이지요. 전산학, 암호학, 논리학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뛰어났던 튜링은 인공지능의 초석을 닦은 인물입니다. 여기까지는 모두 다 아는 내용이라고요 ... ...
- [TECH]스마트폰 카메라 전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영상 처리, 음성 인식 등에서 딥러닝을 구현하려면 수많은 데이터와 알고리즘으로 컴퓨터를 학습시켜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CPU(중앙처리장치)나 GPU(그래픽연산장치)로는 전력이 너무 많이 소모되고 비효율적이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NPU(신경망처리장치)’다. NPU는 CPU와 GPU처럼 정보 처리와 ...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기술은 빛을 광자 단위로 측정할 수 있는 검출기의 효율을 측정하는 기술이다. 양자컴퓨터, 양자암호체계, 의료 분야 등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인만큼 국제적인 표준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2년 전부터 양자칸델라팀을 새롭게 꾸리고 연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 ...
- [서울대 공대|산업공학과] ‘불확실성의 시대’ 이끄는 학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문제 해결 능력을 배울 수 있도록 교과 과정이 구성돼 있다. 그래서 확률, 통계 등 수학과 컴퓨터를 다루는 수업들이 많다. 진로 지원 기업과 공동 연구 기회 제공 산업공학과는 수시모집에서 20명, 정시모집에서 12명을 선발해 한 학년 정원이 32명인 소수정예학과다. 소수정예학과인 만큼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1] 진로를 탐색하는 이유와 의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기술을 합쳐 스마 트기기에 이식한 것에 불과하다. 스마트폰이라는 발상은 휴대전화와 컴퓨터를 섞은 것에 불과하지만, 그 자체로 현대 사회를 대표하는 기술이다. 즉 이 사회가 융합형 인재를 강조하는 것은 한 분야의 전문가가 이전만큼 파급력을 갖기 어려운 시대이기 때문이 다. 새로운 것을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