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능"(으)로 총 2,29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세기의 대결! 인공지능 vs 바둑 최강자 이세돌 9단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매 수를 둘 때마다 경우의 수를 계산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알파고에는 딥 러닝 인공지능 기술이 들어가 있습니다. 딥 러닝은 사람의 뇌 속에서 일어나는 활동을 모방해 컴퓨터가 사람처럼 생각하고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이를 통해 알파고는 지금까지 있었던 프로 바둑 기사들의 대결을 ... ...
- [Editor’s Note] 우주의 주름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귀한 시간을 내서 ‘과학동아’를 읽는 이유도 그 때문일 것이다. 이번 호에도 인공지능 바둑, 지카 바이러스와 소두증, 사드(THAAD) 등 다양한 현안을 긴급히 다뤘으니, ‘사회를 보는 과학의 눈’을 벼릴 수 있으면 좋겠다.2월은 과학계의 뉴스가 전세계인을 사로잡은 한 달이기도 했다. 정확히 100년 ...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것이기 때문이다. 사람은 이런 식으로 바둑을 ‘학습’할 수는 없다.누군가는 인공지능의 반대편에 베팅하지 말라고 했지만 필자는 이세돌의 승리를 바란다. 좀더 중립적으로 이번 대결을 즐길 독자들에겐 딥블루 개발팀의 이 말이 적절한 관전법이 될 것 같다. “체스판 위에서 인간과 컴퓨터가 ... ...
- [수학뉴스] 방향에 속지 않는 컴퓨터의 눈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입력받은 사진과 비교해 사물이 어느 방향을 보이고 있는지 맞힐 수 있었습니다. 인공지능을 위해 사진 속 사물의 방향을 일일이 표시하는 수고를 들일 필요도 없습니다.이 알고리즘은 차의 종류가 다양한 도로에서 주변차의 움직임을 예측해야 하는 자율주행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연구에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통해 실시간으로 상황을 관찰할 수 없다는 게 갑갑하고, 불안했다.물론 기지의 인공지능은 내가 육체에 들어와 있는 동안 대부분의 임무를 문제 없이 수행할 것이다. 그리고 조사관은, 수많은 항성 국가의 주민들은, 기계 몸체에 살고 있는 인류는 거의 실시간에 가깝게 이 광경을 지켜보고 있을 ...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추정돼요. 그래서 공룡의 진화를 꿈꾸는 과학자들은 이들이 멸종하지 않았다면, 지능이나 행동이 거의 인류 수준까지 발전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답니다.캐나다 국립자연사박물관 연구원이었던 데일 러셀은 1982년, 아예 ‘공룡형인간(Dinosauroid)’을 제안했어요. 트로오돈이 인간형으로 진화했을 ... ...
- [소프트웨어]앱으로 나를 소개하자!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보여 주고,버튼을 누르면 여러분이 누구인지 말을 해 주는 거예요. 영화 속에 나오는 인공지능 비서처럼 말이지요!❶ 디자인 노트 만들기새로운 친구를 만나 자신을 소개할 때 아쉬웠던 점은 무엇인가요? 아래 예제를 보고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담아 디자인을 해 보세요. 버튼의 종류와 개수를 ... ...
- [News & Issue]1986년 대전, 그때 그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30년 전인 1986년 1월 과학동아가 처음 세상에 나왔다. 같은 해, 과학자로 첫 발걸음을 뗀 이들도 있었다. 카이스트의 전신인 한국과학기술대(KIT)는 1986년 첫 번째 학부생을 모 ... 과학동아도창간호(1986년 1월호)에서 ‘생각하는컴퓨터, 가능한가?’라는 기사로인공지능의 가능성을 짚었다 ... ...
- [Tech & Fun] 본격 과학 학술 만화, 재미는 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깜짝 놀랐다. 웬만한 과학책 저리 가라다. 정확한 지식 전달을 위해 학계에서 쓰는 어려운 단어를 거침없이 소개한다. 불친절하다는 얘기가 아니다. 쉬운 설명과 자세한 그림이 따라붙는다. 오히려 몹시 친절하다.한겨레의 과학 웹진 사이언스 온에 인기리에 연재됐던 김명호 작가의 ‘만화가의 ... ...
- [News & Issue]디웨이브, 진실을 말해줘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논란에도 불구하고 NASA, 구글, 미국 대학우주연구협회(USRA)가 공동으로 속해있는 양자인공지능연구실(QuAIL)은 디웨이브2X가 양자컴퓨터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배 교수는 “디웨이브2X가 양자컴퓨터 연구를 촉진하는 자극제가 되고, 기존 컴퓨터에 비해 월등한 연산 속도를 달성했다는 점에서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