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적은"(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국유학일기] 국적은 달라도 K팝 댄스로 통한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한류 컨퍼런스 ‘K콘(KCON)’에 참석하기 위해 XTRM 친구들과 LA까지 자동차 여행을 떠난 적은 있다. 두 번 모두 K팝 댄스 배틀에 참여하겠다는 목적이었지만, 친구들과 2박3일을 함께 보내면서 쌓은 추억이 대회에서 받은 상보다 더 값졌다.스탠퍼드대에서 LA까지는 자동차로 6~7시간 걸리는 길이다. ... ...
- 고정환|'발사체 독립'의 꿈, 대한민국에 희망을 주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발사체 독립'의 꿈, 대한민국에 희망을 주다_고정환(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 2018년 11월 28일은 대한민국 발사체 개발사에 한 획을 그은 날이었다. 한국이 독자적으로 개발하는 첫 우주발사체인 ‘누리호’의 시험발사체가 성공적으로 날아오르면서, 우리 발사체로 우 ... ...
- [SW 진로체험] 답을 찾는 시간이 즐거운 SW 개발자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웹 서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문제가 일어난 지점과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큰 서버일수록 초 단위로 엄청난 양의 정보가 쏟아져 이를 알아내기란 무척 어렵다. 방대한 데이터 속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실마리를 제공하는 ‘응답시간 분포도’를 고안한 김 ... ...
- '주노'가 보내온 목성 클로즈업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지름은 지구의 약 11배, 질량은 지구의 약 317배, 부피는 지구의 약 1300배인 태양계의 거인 행성 목성. 목성이 신들의 왕 제우스의 상징이 된 건 썩 잘 어울리는 일이다. 신화 속 제우스는 어떠한가. 구름 속에 몸을 감추며 자신의 아내 헤라의 시선을 피해 호시탐탐 기회를 엿보는 바람둥이지 않았나.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영화 ‘그래비티’의 모티브가 된 인물, 케이디 콜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영화 ‘그래비티’에 등장하는 모든 위험 요소가 사실이지만, 그것이 우리가 우주에 가지 않아야 할 만큼 대처하기 힘든 걸까요? (영화에서 주인공을 위기에 빠뜨린) 우주쓰레기는 분명 큰 문제이지만 충분히 대비할 수 있는 것이기도 합니다. 저는 우리가 이런 위험 속에서도 우리의 임무를 마치 ... ...
- 쇼 미더 매스! 수학과 랩의 만남수학동아 l2019년 03호
- 본격적으로 수학 랩을 만들기 시작했다.카지타니는 랩을 좋아했지만, 직접 만들어 본 적은 없었다. 그래서 실제 래퍼처럼 랩을 만들기 보다는 조금 엉성해도 수학 개념을 쉽고 재밌게 배울 수 있는 데 초점을 맞췄다. 카지타니가 유튜브에 올린 수학 랩들은 높은 조회수를 기록했다.카지타니는 ... ...
- [본격 게임 채널] 클래시 오브 클랜, 피타고라스 정리로 마법 잘 쓰기수학동아 l2019년 03호
- 가능한 많은 건물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지점에 마법을 써야 하고, 수비할 때는 되도록 적은 건물이 피해를 입도록 방어 건물을 배치해야 하니까요. 매일 새로운 게임이 나오는 모바일 게임 시장에서 클래시 오브 클랜은 꾸준한 업데이트를 통해 출시 이후 지금까지 계속 새로운 콘텐츠를 제공하고 ... ...
- [화보] 신비한 생명이 가득! 2018 야생 사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영국 런던에 위치한 자연사 박물관에서는 매년 말 다양한 자연을 담은 사진들 중 가장 의미 있는 작품들을 뽑아 사진전을 열어요. 95개 나라 4만 5천 장의 사진 중 2018년의 주인공이 된 사진들은 무엇일까요? 황금빛 커플 | 황금들창코원숭이 커플이 조용히 먼 곳을 응시하고 있어요. 황금들창코원 ... ...
- 청소년 자해, 스스로를 벌주는 아이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아이들이 날카로운 도구로 자신을 찌른다. 긁고 때리고 기어이 피를 낸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소위 ‘자해러’의 사진이 끊임없이 올라온다. 유튜브에는 ‘OOO 박고 자살하자’는 노래가 유행가처럼 올라온다. 전문가들은 자해로 감정을 표현하는 이유가 말로 하기 어렵거나 소용없다고 ... ...
- [과학뉴스] 로봇으로 환생한 오로베이츠 팝스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의미하지요. 존 교수는 “이제까지 오로베이츠 팝스티가 걷는 형태와 기능을 연구한 적은 없었다”며 “이번 연구로 고생물의 형태와 움직임을 정밀하게 복원했다”고 연구 의의를 설명했어요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