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적은"(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 독립운동의 비밀 병기, 암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그런데 이게 어떤 문서냐고? 이건 비밀 암호를 해석하는 방법이 담긴 암호부야. 암호부가있어야 암호가 적힌 편지의 내용을 해석할 수 있지. 이 문서가 일본 경찰의 손에 넘어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해! 암호ㅣ독립운동의 비밀 병기, 암호를 이용하라! △1919년 3월, 중국 하얼빈 역에서 발견된 암호 ... ...
- [섭섭박사 메이커 스쿨] 아크릴 램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매일 밤, 섭섭박사님 집에선 이상한 일이 일어나요. 섭섭박사님이 램프의 전원을 켜면 신비한 그림이 램프 위에서 반짝반짝 빛을 내지요. 섭섭박사님이 메이커의 경지를 넘어 마법사가 되기라도 하신 걸까요? 함께 신비한 마법 램프를 만들어 봐요!알아보자! 140만 년의 역사를 순식간에 바꾼 전구? ... ...
- [혀의 진화] 400개 근육의 최종 지휘자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래퍼부터 성악가까지 모든 가수는 관객에게 노랫말을 전달한다. 성대가 만든 소리를 노랫말로 바꾸려면 복부부터 얼굴까지 400여 개의 근육을 움직여 소리의 공명을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이들 근육의 움직임을 최종적으로 조율해 발음을 만들어내는 기관이 바로 혀다. 혀가 만든 길을 따라 공기가 ... ...
- [수학미술관] 디즈니 애니메이션 만드는 마법 수학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접속해버리는 상상을 해본 적이 있나요? 한 번의 손놀림으로 마법을 부리는 꿈을 꿔 본 적은요? 커다란 귀로 하늘을 나는 코끼리와 친구가 되는 생각은요? 상상 속에서만 가능한 게 아닙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우리가 상상하는 모든 것이 현실이 됩니다! 애니메이션의 거장 월트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중국 최초 우주인 과학선생님 '왕야핑'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중국의 두 번째 여성 우주인 왕야핑, 중국국가항천국(CNSA) 소속으로 2012년 선저우 9호의 예비 우주인이었고, 이듬해 선저우 10호에 탑승해 우주인의 꿈을 이뤘다. 우주인에 대한 이야기를 매달 연재하기로 했을 때 가장 먼저 든 생각은, 최대한 다양한 우주인을 소개해서 독자가 우주인에 대한 선 ... ...
- [영국유학일기] 한 번에 최대 40권 대여, 임페리얼칼리지 도서관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대여 기간이 자동으로 연장된다. 유기화학 기본서(Clayden Organic Chemistry) 같은 필수 전공 서적은 70권 이상 비치돼 있고, 다른 서적들도 5권 이상 구비돼 있는 편이다. 그래서 1학기 초에 빌린 책을 3학기 시험이 끝날 때까지 반납하지 않을 수도 있다.일주일 내내 도서관에서 지내면서 과제를 끝낸 ... ...
- [JOB터뷰] 과학책방 '갈다' 이명현 대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서울 삼청동 끝자락, 갈색 벽돌로 둘러싸인 주택가 사이에 새하얀 건물 하나가 있어요. 바로 작년 5월에 문을 연 과학책방 ‘갈다’지요. 문을 연 이후 과학자와 과학 저술가 등 과학을 사랑하는 사람들은 물론, 학생들도 즐겨 찾는 곳으로 자리잡았답니다. 이곳에 과학을 좋아하는 ...
- [통합과학] 40인의 도둑이 살아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 스토리 따라잡기도둑들의 초대 “누가 이렇게 남의 집 앞에서 떠드나 했더니 당신이었군요, 알리바바.”묵직한 돌 문이 열리며 동굴 안에서 40인의 도둑 중 대장이 나타났어요. 대장은 21세기에 ‘열려라, 참깨’가 웬 말이냐며, 또 누가 보물을 훔쳐갈까 봐 전자식 도어락으로 바꾼지 오래됐다 ... ...
- 라돈침대 1년...국가대표 '라돈헌터' 라돈아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라돈에 대한 인식이 미미한 국내 시장에서 라돈 검출기는 먹히지 않았다. 국내 판매 실적은 저조했고 덩달아 수출길도 막막했다. 지난해 4월 고 대표는 결국 라돈 사업을 접기로 결정했다. 그런데, 국내에서 라돈 침대 사태가 불거졌고, 여기저기서 라돈아이를 찾기 시작했다. ▲ 라돈아이 ... ...
- [정수론 어벤져스] 열정과 노력으로 골드바흐의 추측에 도전!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원래 제가 오랫동안 풀고 싶었던 문제는 ‘차이가 2인 소수쌍은 무한히 많다’는 쌍둥이 소수 추측이었어요(수학동아 3월호 참고). 하지만 제 박사학위 과정을 지도한 장 마르크 데슐리에 교수는 골드바흐의 추측에 도전하라고 권했죠. 1982년에 로버트 찰스 보건이라는 미국 수학자가 4 이상의 모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