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신소개"(으)로 총 2,12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열혈독자의 즐거운 도전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제10차 생물다양성 협약 총회에 참석해주신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저는 이번 총회 의장을 맡은 유진곤입니다. 생물자원의 활용이 다양한 방면으로 급속히 증가됨에 따라, 좀 더 많은 이익을 공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서로간의 의견을 좁혀보고자 이 자리에 모였습니다.” 제9회 전국학생·산업 ... ...
- 세계 무대 누비는 KAIST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입학사정관제로 100% 뽑는다 서울에서 경부고속도로를 타고 회덕인터체인지를 통과해 동쪽으로 달리자 대전시에 위치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 서남표) 캠퍼스가 나온다. 탁 트인 캠퍼스와 잔디밭, 단정한 건물. 과학을 좋아하는 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다녀보고 싶은 학교다. KAIST 진학을꿈꾸는 ... ...
- 이공계 중점대학 진학의 길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이공계 진학을 희망하는 많은 중고생들은 입시의 길목에서 일반대학과 이공계 중점대학의 갈래길을 두고 고민에 빠진다. 특히 과학고가 아닌 일반고 학생들에게는 이공계 중점대학에 대한 정보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게 사실이다. 이 글에서는 이공계 중점대학에 진학할 경우 어떤 혜택이 있으며, ... ...
- 자신의 모든 것을 신나게 펼쳐라과학동아 l2010년 08호
- GIST는 입학사정관제로 이공계 우수 인재를 선발하고 있다. 입학사정관들은 모든 수험생의 가능성과 잠재력을 살펴보기 위해 심도 있는 심사를 하며 더욱 체계적인 전형을 연구하고 있다. GIST를 비롯해 입학사정관제를 준비하는 많은 수험생들에게 몇 가지 조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평가를 두려워 ... ...
- part3, 즐겁게 글쓰기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일상에서 과학을 흥미롭게 녹여내는 글을 쓰기란, 작고 단순한 작업에서부터 시작될 수 있다. 다만 그것이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무언가 약간의 지속성을 보장해줄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과학퀴즈 만들기나 과학잡지 만들기처럼 ‘나만의 프로젝트’를 해보는 건 어떨까. 우리는 일 ... ...
- 국내 과학글쓰기의 현주소를 진단한다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이공계 출신인데, 수식만 제대로 알면 되지”라고 말하던 시대는 지났다. 요즘은 누구나 과학글쓰기가 ‘선택이 아닌 필수’란 점에 동의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요한것과는 별개로 과학글쓰기의 현실은 그다지 밝지 않다. 서울대에서 과학글쓰기 강의를 하고 있는 김훈기 교수, 블랙홀과 천문 ... ...
- 진화론은 정말 ‘최종 이론’일까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영국 런던의 출판사 ‘존 머리’는 지금으로부터 약 150년 전인 1859년 11월, 전문이 14장(章) 502쪽에 이르는 책 한 권을 출간했다. 한 권의 책이 한 사람의 가치를 얼마나 절대화할 수 있는지 전형을 보여준 이 책은 바로 그 유명한 ‘종의 기원(On the Origin of Species)’이다. 주목받지 못한 생물학자이던 ... ...
- part2, 목적에 따른 글쓰기과학동아 l2010년 07호
- ① 글씨는 되도록 단정하게 적어라. ② 문제가 무엇을 요구하는지 꼼꼼히 파악하라. ③ 신문 스크랩으로 읽기 연습을 하라. 우리 집 막내는 초등학교 1학년인데 고기만 좋아하고 야채는 싫어한다. 어느 날 아이가 문제지를 풀다가 올바른 식습관에 대한 답으로 ‘나물, 김치 등 반찬을 골고루 먹어야 ... ...
- part2, 목적에 따른 글쓰기과학동아 l2010년 07호
- ① 책 제목, 출판사, 저자, 분야, 만족도를 꼼꼼히 기록한다. ② 독서감상문 형식은 책 내용에 따라 독창적으로 접근한다. ③ 자신의 배경지식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독서기록장을 관리한다. 자기주도학습에서 꼭 필요한 것이 독서활동이다. 독서를 통해 얻은 지식은 학교 공부에 도움될뿐더러 다앙 ... ...
- 수학 퍼즐에 빠진 철학자, 마틴 가드너의 삶과학동아 l2010년 07호
- 흔히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의 시기를 벨 에포크(Belle Epoque)라 부른다. 이성에 대한 낙관적인 사고가 지배했던 이 시기는 인기 매체마다 늘 수학퍼즐이 등장하고, 이를 푸는 것이 하나의 유행처럼 번지던 때였다. 수많은 퍼즐 작가들이 탄생했으며 이 가운데에 특히 미국의 샘 로이드와 영국의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