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저
이용자
사용인
수요
수용자
수요자
상용자
d라이브러리
"
사용자
"(으)로 총 1,55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절전기능 앞세운 '그린PC' 대거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얼마인지에 대한 정확한 통계자료는 없다.국내 한 업체의 조사에 따르면 기업체의
사용자
는 하루 8시간을 켜두고 있으며 그 중 실제 사용시간은 1시간 45분이다. 따라서 공휴일을 제외한 실제 업무일수를 2백60일로 잡고 여기에 8시간을 곱하면 PC사용시간은 총 2천80시간이다. 그중 컴퓨터를 실제 ... ...
VGA 카드 고르는 요령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CPU의 속도가 빠를수록 좋은 효과를 볼 것이다. 그리고 도스와 원도우를 같이 이용하는
사용자
라면 도스와 원도우 프로그램에서 호환성이 좋은 ET4000/W32칩을 사용한 VESA VGA CARD를 권하고 싶다.끝으로 (표2)는 VESA LOCAL VGA 카드의 종류다. 색상수는 기본으로 제공되는 비디오램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 ...
이동식 선글라스형 TV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가능한 TV를 통해 관전의 즐거움을 배가시키고 있다.제작사측은 앞으로 캠코더
사용자
들을 TV 글라스의 가장 커다란 수요층으로 예견하고 있는데, 캠코더와 연결한 TV글라스를 통해 촬영 내용을 현장에서 즉시 천연색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킬 것으로 보인다 ... ...
PART 1. 문답으로 알아보는 그래픽 상식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만들어진 색상은 처음의 것과 똑같지는 않다. 반면 컴퓨터가 제공하는 팔레트는 다르다.
사용자
는 자신만의 색깔을 만들어 저장해둘 수 있고 색깔의 명도와 채도도 조절할 수 있다. 더구나 컴퓨터의 화면은 어느 지우개보다도 강력한 힘으로 구성이나 색상 선택의 시행착오를 몇 백번이라도 ... ...
PART 2. 그래픽 소프트웨어 4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있다.프린터는 앱슨 호환의 9핀과 24핀 HP데스크젯 HP레이저젯 프린터를 지원하며, 출력시
사용자
가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어 편리하다. 스캐너로는 로지텍의 흑백 스캐너가 이용 가능하다 ... ...
사용하긴 쉬워도 이해하긴 어려운 멀티태스킹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접근하지 못하도록 메모리의 교체 영역(이를 스왑파일이라고 한다)으로 규정하면 비록
사용자
의 메모리가 작아도 메모리 부족을 겪지는 않을 것이다.교체파일에는 영구와 임시 두 가지가 있는데 영구는 하드디스크의 일정영역을 항상 스왑파일로 사용하기 위해 윈도우가 종료된 후에도 일반적 ... ...
PART 2 PIMS 소프트웨어 7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자명종, 타이머 등을 팝업 메뉴 형태로 제공한다.입력된 일정은 주·월 단위로 화면 또는
사용자
가 지정한 형식으로 인쇄가 가능하며, 각 일정별로 간단한 메모를 남길 수 있는 메모장도 제공된다. 특이한 기능으로 일정을 시간 순으로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알파벳 순으로도 볼 수 있다. 그리고 ... ...
PART 1 PC 이용해 '정보마인드' 키우자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용량을 걱정하는 노트북
사용자
들에게도 호평을 얻고 있다.주소관리 프로그램의 경우
사용자
들은 검색 항목중 이름이나 회사명 등 한정된 조건만을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나이 주소 주민등록번호 등의 조건들도 검색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사람마다 관리해야 할 분야와 할 일이 ... ...
당신을 '컴퓨터 도사'로 만드는 OLE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프로그래밍의 새로운 차원으로 환영받고 있는 개체지향바람을 프로그래머 수준에서
사용자
수준으로까지 대중화시켰다.더블클릭만으로 개체 수정 끝OLE는 개체의 연결과 포함이라는 두가지 상이한 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개체연결'이란 DDE에서 발전한 개념으로서 서버 프로그램과 ... ...
인공생명 탄생 멀지 않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간추릴 수 있다.자기복제 프로그램의 대표적인 본보기는 컴퓨터 바이러스다. 컴퓨터
사용자
를 괴롭히는 골칫덩어리임에는 틀림없지만 컴퓨터 바이러스가 생명체의 주요한 특성을 대부분 충족시키고 있기 때문에 인공생명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생물학적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