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학교"(으)로 총 3,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대한민국이 키우는 문제 해결사, 산업수학!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수학은 학교를 졸업하면 쓸모가 없다는 편견이 곧 수그러들 전망입니다. 지난 4월 27일 경기도 과천시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제20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에서 정부가 수학으로 세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발표했습니다.수학적 이론과 분석방법을 이용해 산업현장의 문제를 해 ... ...
- [재미] 마왕의 탑 제 6화 세상을 바꾼 사과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열 개의 점 중에서 홀수점은 두 개뿐이니까, 두 홀수점 중 한 홀수점에서 한붓그리기를 시작해 다른 홀수점에서 끝나겠군.”한붓그리기에 성공하자, 쾨니히베르크에 있는 가장 큰 건물의 문이 열렸다.세상을 바꾼 사과서둘러 들어가자 긴 통로가 나왔다. 등 뒤에서 문이 닫혀 버렸지만, 저 앞에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따라 웃음이 날지 화가 날지 다릅니다. 도대체 간지럼의 정체는 뭘까요.올해 초등학교에 입학한 딸이 아침부터 심통이 났습니다. 어린이날 아침에 눈을 뜨니 비가 주룩주룩 내리고 있었거든요. 엄마, 아빠와 동물원에 가자고 했던 약속은 산산이 깨졌습니다. 아침도 안 먹고 침대 위에 웅크리고 ... ...
- [Career] 계산과학·공학을 쉽고 빠르게, 에디슨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문제를 풀어본 경험이 앞으로 진로를 선택할 때도 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고등학교에서 대학원 수준의 연구까지 가능디지털 카메라 사용에 익숙해지면 자동 대신 수동 모드로 원하는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에디슨도 마찬가지다. 실제 상황에 맞게 매개변수를 조절해 높은 수준의 연구를 ... ...
- [Career] 사람이 만드는 도시, 도시가 만드는 사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권영상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의 사무실에는 큰 도면과 함께 도시 모형이 있었다. 자세히 보니 세종특별자치시의 도면이었다. 그런데 도시의 모양이 기존의 도시와는 조금 달랐다. 도시설계를 담당했던 권 교수는 “미래의 모습을 그리며 구상했다”고 말했다. 어떤 영문인지 자세히 들어봤 ... ...
- PART 1.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 입니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생명과학을 전공한 S박사는 수 년 전 서울 명문대 병원의 한 교수 연구실에 전일제로 취직했다. 교수는 월급을 200만 원씩 주겠다고 약속했다. 계약서를 쓰진 않았지만, S박사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거라고 봤다. 빨리 좋은 논문을 써서 더 좋은 연구실로 자리를 옮기면 그만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 ...
- Interview. 합성생물 디자인대회 ‘아이젬(iGEM)’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학교 주변에서 아주 작은 테러 사건이 벌어져 하루 동안 경찰들의 검문이 진행된다. 검문은 문제가 없다면 2분만에 끝나지만 P%의 확률로 D분간 지연될 수 있다. 학교에 가기까지 얼만큼의 시간이 걸릴까?’기자가 컴퓨터공학 학부 시절 기말 고사 시험에는 종종 이런 문제를 직접 프로그래밍하는 ...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요가 수업을 받았다. 양옆에는 못난 몸짓을 기록할 카메라 두 대가 서 있었다. 요가는 초등학교 때 배웠던 웅변 같았다. 초반에는 잔잔하게 시작해, 후반으로 갈수록 격해지더니 마지막에는 탈진상태로 끝났다. 서툴다보니 정확히 어디서 얼마만큼 동작을 해야 될지 잘 몰라 헤매기도 했다. 잘 하려는 ...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어휴! 어두운 데서 책을 읽지 않나, 스마트폰만 한참 들여다보질 않나….”“얘 때문에 정말 피곤해서 못살겠어!”신학기가 시작돼 피곤한 경태가 책상에서 졸다가 눈을 떴어요. 그러자 믿기지 않는 광경이 펼쳐졌어요. 바로 성난 눈알들이 자신을 노려보며 원망하는 게 아니겠어요?“야, 안경태! ... ...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장면도 수식으로 나타내기 때문에 어쩌면 너무 당연하다.하지만 여기에 필요한 수학은 고등학교 이과 수학과 공대에서 배우는 공업수학 정도다. 수학과 전공자가 배우는 수학까지 필요하지는 않다. 그런데 최근 ‘정수론★’을 꼭 배워야 하는 IT 분야가 등장했다. 바로 암호다.정수론★정수와 소수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