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학교"(으)로 총 3,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슈퍼컴과 친해진 일주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참가한 학생 가운데 슈퍼컴퓨터를 직접 다뤄 본 학생은 없었다. 대부분 일반 고등학교에서 컴퓨터를 좋아하는 학생들이 모였다. 슈퍼컴퓨터에는 문외한이었다.KISTI 소속 연구원들이 슈퍼컴퓨터의 하드웨어부터 운영체제를 작동하는 방식까지 하나씩 차근차근 가르쳐 줬다. 학생들은 명령어 ... ...
- C 에코브릭, 환경을 지키는 블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정말 레고로는 못 만드는 게 없지? 그런데 장난감 말고도 블록의 원리는 곳곳에서 활용되고 있어.특히 과학에 많이 사용되는데, 주로 ‘브릭’이란 단어를 붙여 표현하지. 우선 장난감 블록처럼 차곡차곡 쌓아 환경을 지키는 에코 브릭을 소개할게.쓰레기로 만든 블록, 학교가 되다!미국의 비영리단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신풍초, 폭발 위기에 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크…, 큰일이다! 모두들 학교 뒤뜰로 오거라!”사감 선생님은 잔뜩 당황한 나머지 얼굴이 붉게 달아오른 채로 헐레벌떡 뛰어오셨어요. 그리고는 학생들에게 뒤뜰로 오라는 말을 남기고 다시 뛰어가셨어요. 시원이는 친구들과 함께 뒤뜰로 달려가며 앞서 가는 사감 선생님께 물었어요.“선생님~! ... ...
- B 블록, 장난감을 뛰어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레고로 자동차를 만들다!2012년, 호주에 특별한 자동차가 등장했어요. 바로 가로 3.2cm, 세로 1.6cm, 높이 1cm 크기의 작은 레고로 이루어진 자동차였지요. 이 자동차는 루마니아에 살던 20살 청년 ‘라울오아이다’와 호주에 사는 사업가 ‘스티브 샘마르티노’의 단순한 호기심에서 만들어지게 됐어요. ...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질문은 수업 시간에 반 전체에 설명하고, 개별 질문에 대해서는 일대일로 알려준다. 고등학교에 가서도 쓸 수 있는 지속가능한 지식을 얻기 위해서는 학생 스스로 정보를 구하고 고민한 다음 질문을 만들어 낼 수 있어야 한다.들어봤니? ‘함수쏭’함수쏭은 5년 전에 직접 만들어 매년 함수 단원 ... ...
- [Tech & Fun] ‘헬조선’의 불행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2010년 미국 일리노이주립대 심리학자 에드 디너 교수 연구팀이 실시한 행복도 조사에서 우리나라는 전체 130개국 중 뒤에서 15번째로 행복한 나라였다. 한국 사람들이 불행하다고 느낀 이유 중 하나는 ‘경제적 문제’였다. 하지만 알다시피 한국이 경제적으로 115번째로 밀릴 만큼 빈곤한 나라가 아 ... ...
- [Career] 손으로 만지고 즐기는 이노베이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대부분의 참가자가 빠짐없이 자리를 메웠다.오전 10시가 되자 남매는 생이별을 했다. 초등학교 고학년인 누나는 고학년 반으로, 저학년인 동생은 저학년 반으로 나뉘어 처음에는 이론 수업을 진행했다. 오늘의 주제는 디스플레이. 저학년 반은 이노베이션뮤지엄의 전시시설을 이용해 직접 만지고 ... ...
- [Career] “기계 없는 현대는 상상할 수 없죠”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목적이 뚜렷하기 때문에 똑똑한 사람이 무조건 높은 평가를 받게 돼있습니다. 고등학교는 더 하겠죠. 하지만 사회에 진출하면 그렇지가 않습니다. 똑똑한 것도 중요하지만 조직 안에서 다른 사람과 얼마나 소통을 잘 하느냐, 얼마나 성실하게 임하느냐가 정말 중요하거든요. 그래서 학생들이 이런 ... ...
- [소프트웨어] 클래스팅으로 하나 되는 우리 반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제 성격 탓인지 이런 일을 하는 데 아무 거리낌이 없었어요.”조 대표는 4년 동안 초등학교 선생님으로 교실에서 학생들을 가르쳤기 때문에 우리의 교육 현장을 잘 안다. 여기서 몸소 체험하고 느낀 한계는 선생님의 수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조 대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데 소프트웨어가 ... ...
- [News & Issue] 브렉시트, 한국 과학계엔 나비 효과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6월 24일, 유럽연합(EU)에서 영국이 탈퇴하는 이른바 ‘브렉시트(Brexit)’에 대한 찬성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 결과가 발표됐다. 결과는 52%대 48%, 탈퇴파의 승리였다. 당연히 잔류할 것이라는 많은 이들의 예측을 벗어난 결과였다. 투표 결과가 발표된 뒤 주식시장은 출렁였고, 경제학자를 시작으로 많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