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계"(으)로 총 4,80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미사일이 아니죠~ 발사체라고요!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두 주먹을 불끈 쥐고’ 개성공단을 폐쇄했고, 한반도 사드 배치는 급기야 실무협의 단계로 들어섰습니다.그런데 뭔가 이상합니다. 9일 언론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광명성 4호가 위성궤도에 진입한 것으로 국방부가 확인했다”고 전했습니다. 장거리 미사일이 지구 주위 우주 공간을 돌고 ... ...
- [Career] 에너지계의 ‘홀드왕’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안 교수는 핵연료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 후 핵연료를 재사용하며, 핵 비확산 등 세 단계의 ‘핵주기’ 완성을 자신의 최종 목표로 삼았다. 원자력에너지 분야는 국가 간에 핵심기술을 공유하기가 쉽지 않아, 다른 나라의 도움 없이 우리나라가 직접 개발해야 한다. 안 교수가 국내로 다시 ... ...
- [지식] 엄상일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넓어지기 어려워요. 특히 자기가 연구하는 분야에 대해서만 생각하기 쉽지요. 결국 어느 단계를 넘어가면 더 이상 풀기가 어려워져요. 이때 저와 다른 분야를 연구하는 동료와 대화하면 해결 방법에 대한 영감을 얻을 수 있어요. 혼자서는 어렵게 푸는 문제도 훨씬 간단하게 풀 수 있지요.수학자들이 ... ...
- [News & Issue] 사드, 북 미사일 위협 막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파괴하는 미국의 미사일 방어체계다. 탄도미사일이 목표물로 떨어지기 시작하는 종말단계의 상층(40~150km)에서 요격한다. 우리 군이 가진 패트리엇 요격미사일은 이보다 낮은 고도(15~30km)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사드를 추가로 배치하면 더 안전한 방어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는 게 한․미 당국의 ...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탐색 공간을 몬테카를로 방식보다 훨씬 더 효과적으로 줄여나간다. 특히 초반 포석 단계에서는 수읽기보다는 감각 위주로 수를 결정한다. 알파고는 대체로 나쁘지 않은 감각을 갖췄으나 종종 모양에 지나치게 치중해 더 큰 것을 놓치기도 했다. 사활이 걸렸을 때는 모양을 무시할 줄 알아야 하고, ... ...
- [News & Issue] 혈액 생성 과정, 교과서가 틀렸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따라서도 다르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연구팀은 태아에서부터 신생아, 성인까지 발달 단계별로 11개씩 총 33개의 혈액 샘플을 실험했다. 이들로부터 3000여 개의 혈액세포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분석한 결과 조혈모세포의 각 부분이 거의 동시에 다양한 혈액세포로 분화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우점종이 달라지는 모습을 관찰해보려 했지만, 플랑크톤의 속 단위(분류상 종의 상위단계)까지밖에 알 수 없어서 한계가 있었다”고 말했다. 속밖에 알 수 없는 이유가 바로 플랑크톤을 검출할 때 강산을 쓴다는 점이다. 김윤신 조선대 의학전문대학원 법의학교실 교수는 강산 대신 단백질 ... ...
- [Knowledge] 과학으로 밝힌 ‘슈퍼푸드’ 커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만들지 않는 ‘유전자조작 커피나무’를 만들려는 시도도 있지만 아직까지는 걸음마 단계다(커피는 실험실에서 조직 배양이 어렵기로 악명 높은 식물이다). 최근에 각광받는 유전자 가위 기술이 발전하면 언젠가는 맛있는 디카페인 커피를 마실 수 있는 날이 올지도 모르겠다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레시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다음은 수업에서 학생들이 만든 스트링아트 작품의 예다. 원과 현의 성질을 배우기 전 단계 혹은 원과 비례 단원을 모두 마치고 학생들과 함께 하면 좋은 활동이다. 원과 현의 성질은 그 내용은 쉽지만 응용하기 어려웠는데, 스트링아트 만들기 활동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원의 중심과 현의 길이를 ... ...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증폭형(boosted) 핵분열탄”이라고 추측했다. 증폭형 핵분열탄은 핵분열과 핵융합의 중간 단계다. 짧은 시간 안에 큰 에너지를 내놓는 핵융합을 기폭제로 써서 주위의 우라늄을 핵분열시켜 커다란 폭발을 만든다. 핵분열 방식보다 폭발력은 3~4배나 크고, 핵융합 방식보다 설계는 쉽다.북한의 입장에서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