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계"(으)로 총 4,80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하나씩 없애는 방식으로는 최소유전자를 확인할 수 없다. 반대로, 생명체의 설계단계부터 다시 시작하는 게 낫다. 이런 배경에서 나온 것이 합성생물학이다.합성생물학에서는 유전자를 하나의 부품으로 본다. 마치 레고의 블록처럼. 만약 합성생물학의 관점대로 유전자가 레고의 블록 같은 ...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돼 형광단백질을 발현시키게끔 유전자 회로를 설계한다.바이오센서는 효소를 찾는 두 단계에 모두 유용하다. ‘메탄 분해’를 예로 들어보자. 기후변화의 주원인으로 손꼽히는 메탄은 비활성 기체만큼이나 안정적인 기체로, 물리적으로 매우 ‘단단’하다. 때문에 메탄을 온난화를 유발하지 않는 ...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시체의 부패 과정을 적게는 4단계, 많게는 20여 단계로 구분한 후 각 단계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 얼마나 되는지에 관심을 가졌다. 보통 사후 72시간 정도까지는 체온의 하강 정도나 근육의 굳은 정도, 위장의 음식물 상태 등을 바탕으로 비교적 정확하게 사후경과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시체의 ... ...
- [Tech & Fun] ‘고독한 미식가’, 독될까 득될까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이른바 ‘단독 은밀 음주’ 형태로 알코올중독이 시작됐다. 이런 습관은 중독 중기단계까지 계속되다가 말기에 이르러서 주변의 가족들에게 발견됐다. 혼밥혼술 문화는 한국이나 일본같이 유교주의와 집단주의 문화가 강한 사회에서 더 문제시되고 있다. 개인 간 유대가 끊어진 증거라는 주장 ... ...
- 인공지능, 인간을 뛰어넘은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증명하게 하는 분야가 있다”며, “아직 사람의 손에 의해 증명된 문제를 시켜보는 단계에 지나지 않지만, 미래에는 사람처럼 새로운 것을 증명해내는 인공지능이 나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엄상일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는 “컴퓨터가 사람이 한 증명을 보고 맞는지 틀린지를 판단하는 ... ...
- Intro. 알파고 쇼크, 그 후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이론이다. 알파고를 보면서 느꼈던 불쾌감은 인공지능이 기초 단계를 넘어 중간 단계로 넘어갔다는 신호인 셈이다. 이 알싸한 감정 뒤에 어떤 일이 벌어질까. 과학동아와 함께 답을 찾아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알파고 쇼크, 그 후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Part2.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녹거나 샐 염려가 없다(유리 물질을 녹이는 일은 열플라스마로만 할 수 있다). 아직 연구단계지만 수년 내 실제로 적용될 전망이다. ● 공기·물 정화기플라스마는 공기 중의 바이러스나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데도 쓸 수 있다(흔히 말하는 음이온 공기 정화기도 여기에 해당된다). ... ...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전세계적으로 문제를 일으키는 것과 비슷하다.2000년대 초반 인간 게놈 분석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섰을 때 과학계는 물론, 전세계인이 축배를 들었다. 그 여파로 지금도 DNA 연구가 유행이다. 모든 질병은 물론, 성격과 행동까지도 DNA의 영향으로 분석하려는 연구가 치열하다. 그러나 저자는 “인간 ...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생각하지 않는다. 알파고는 이제 겨우 ‘인공지능 연구를 시작한다’고 말할 수 있는 단계다.하지만 인간이 태어나자마자 처음부터 추상화를 잘 하는 것은 아니다. 인간도 어렸을 때는 보고, 느끼고, 만지며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정보를 습득하고, 여기에서 얻은 원리로 인간 지능의 정수라는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여겼다. 이제 현대의 과학자들은 시간이 양자 얽힘에서 비롯됐다고 주장한다. 한 단계 상위 개념으로 환원된 것이다. 그리고 양자 얽힘을 만들어 내는 더 근본적인 실체가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그게 무엇인지는, 여전히 연구 중이다. 끈이나 고리, 또는 추상적인 비가환 공간(행렬)이 후보로 꼽힌다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