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측"(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외계행성이나 위성의 대기 성분은 물 론, 위성이 행성을 가리는 모습까지 정밀하게 관측할 날 이 올 것이다. 밝기 변화를 통해 표면 구조도 알아낼 것 이다. 외계 위성은 태양계 밖 생명체 탐색에 점점 더 중 요해질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위성 요리사를 위한 7가지 레시피Part 1 - 난 ... ...
- 백년 묵은 시계를 꺼내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중요한 일이었기 때문이다. 동양에서도 새 왕조가 문을 열면 가장 먼저 천문을 관측하고 달력과 시계를 만들었다. 조선의 황금기였던 세종대에 수많은 천문의기들과 함께 자격루와 앙부일구 등을 만들었던 것이 좋은 예다.대한의원은 1885년 제중원에서 이어지는 국립병원의 명맥을 계승해 왕실 ... ...
- 인텔 ISEF2014 한국대표 동행기 “도전정신은 우리가 세계 최고”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높은 오픈소스 기반 보드 컨트롤러다. 송 군은 실외대기관측장비는 많지만 실내대기를 관측하는 장비는 거의 전무하다는 현실에 착안해 믿음이를 개발했다. 개발 기간만 5년으로, 송 군은 엔지니어링 부분 부문별 3등상의 영예를 안았다.한국과학영재학교 3학년 이형근 군, 윤상진 군은 파킨슨병을 ... ...
- 달과 충돌한 400kg짜리 소행성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스페인 과학자들은 달과 소행성이 충돌했던 장면을 찍은 영상을 공개했어요. 과학자들이 관측한 이래로 달에 부딪혔던 소행성 중 가장 큰 것이었지요.스페인 휴엘바대학교 호세 마리아 메디에도 교수 연구팀은 지난해 9월, 달충돌모니터링 프로젝트용 망원경으로 이 모습을 촬영했어요. 이 소행성은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수학 산책 마이클 아티야의 수학 세계수학동아 l2014년 06호
- 근본적으로 기하와 대수, 그리고 물리학의 상관관계가 주제였다. 지금까지 우리가 관측한 상호 작용이 미래에는 어떻게 진화해 나갈지에 대한 공상이 많이 있었는데, 물리학에서의 역할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학 구조를 수록할 때 내 연구 분야인 산술기하학도 포함시킨 것이 당연하면서도 ... ...
- 팔방미인 삼각비 삼총사, sin, cos, tan!수학동아 l2014년 06호
- 기원전 150년 전,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인 히파르코스다. 그는 천체를 관측하고 그 운동을 수학적으로 풀어낸 사람으로, 지구와 달의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 구면 위의 두 점 사이의 거리와 각의 크기를 재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삼각법을 연구했다.그 결과 천문학에서 필요한 삼각법의 ... ...
- 태초에 빅뱅이 없었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전제조건으로 합니다. 급팽창은 일종의 막처럼 작용해, 사실상 그 이전의 시간들을 관측하기 어렵게 하지요.” 빅뱅이론은 여전히 우주의 탄생을 가장 잘 설명하는 이론이다. 그러나 빅뱅이론도 완전하지는 않고 끊임없이 새로운 주장이 나온다. 우주의 진리에 도달하려는 물리학자들의 노력은 끝이 ... ...
- 4개의 쿼크+반쿼크 ‘Z-입자’ 첫 확인과학동아 l2014년 05호
- 4월 9일, 기존의 이론을 만족시키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강입자(하드론)를 높은 정밀도로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강입자는 물질을 이루는 기본입자(쿼크)가 서로 결합해 만들어진 입자로, 쿼크 세 개가 결합해 만들어지는 ‘바리온(양성자나 중성자 등)’과 쿼크와 반(反)쿼크가 결합해 ... ...
- [Knowledge] 태양계 최대의 화산 ‘올림푸스몬즈’에 가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것보다 빨리 공전한다(지구의 저궤도위성과 정지위성을 생각하면 쉽다!). 화성에서 관측하는 사람이 보기에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보인다. 데이모스는 화성의 자전과 자신의 공전으로 인해 2.7일을 주기로 동쪽에서 떴다가 서서히 서쪽 지평선으로 지는 것처럼 보인다. 두 위성의 ... ...
- 우주 급팽창 첫 증거 발견, 그 이후 - 초끈이론이 흔들린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그 이론은 늘 실험을 통해 검증돼야 하는 운명이다. 모든 실험도 가능한 이론을 토대로 관측값을 다시 검증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다시 말하자면, 완전히 독립적일 것 같은 실험과 이론은 이렇게 한쪽 다리를 묶고 함께 가야 하는 숙명의 2인3각 경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운이 좋아 지금보다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