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DNA"(으)로 총 1,5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과학동아 l199912
- 고릴라는 아시아에서 살고 있는 유인원인 오랑우탄보다 인류에 더 가깝다(침팬지는 DNA의 98.6%가 사람과 닮았음). 이는 침팬지와 고릴라는 인류와 함께 인류과로 분류되어야함을 의미한다(그림2). 그러나 많은 학자들은 절멸됐거나 살아있는 인류만을 인류과로 분류하는 전통을 따르고 있다 ... ...
- 국내 신약 1호 항암제 선플라 개발 주역과학동아 l199911
- 풀렸을 때 그 사이에 끼어들어가 붙어버린다. 이때 암세포의 DNA는 더이상 풀어지지 않아 DNA의 복제가 일어날 수 없다. 그 결과 암세포의 분열이 진행될 수 없다.백금을 이용한 약들이 이미 개발돼 있다고 하는데, 이들과의 차이는?76년에 시스플라틴, 86년에 카보플라틴이 개발됐다. 그런데 ... ...
- 과학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의 만남과학동아 l199911
- 10분의 1정도인데, 그 이유는 DNA전부가 하나의 구로 뭉쳐져 있지도 않을뿐더러, 산성인 DNA는 히스톤(histone)이라고 하는 염기성 단백질들을 감싸고 있는 특이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이다 ... ...
- 복제양 돌리 어미와 똑같지 않아과학동아 l199910
- 매우 크다고 덧붙였다. 대부분의 유전병은 핵에 있는 DNA의 결함으로 인한 것이지만 mtDNA의 결함은 희귀하고 치명적인 질병의 원인이 되며 시각, 청각, 정신 이상을 유발한다 ... ...
- 의학혁명 일으킨 방사선과학동아 l199910
- 하는 셈이다. 그러나 이 정도는 사람에게 큰 해가 되지 않는다. 사람 몸속에 손상된 DNA를 고쳐주는 효소가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 효소가 감당할 수 없을 만큼 방사선을 많이 쬐는 경우다.방사선을 많이 쬐게 될 가능성이 높은 곳은 병원, 원자력연구소, 원자력발전소와 같은 방사성물질을 다루는 ... ...
- 인간게놈프로젝트과학동아 l199910
- 만큼 사공도 많았다(특히 이를 상업화하려는 기업들이 많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1988년 DNA 이중나선구조를 발견한 제임스 왓슨이 미국 국립보건원의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책임자가 되면서 겨우 가닥이 잡혔다. 그리고 1990년 10월 1일 국립보건원은 30억달러를 들여 2005년까지 인간 유전자지도를 ... ...
- 불임 해방과 아기산업의 두 얼굴 시험관아기과학동아 l199909
- 대표적인 집단이 “시험관아기는 신을 놀리는 행위”라고 주장하는 종교계였다. 심지어 DNA를 발견한 제임스 왓슨(1928-)은 “신성해야 할 출산의 과정을 조잡한 기술로 농락했다”고 말했다.그러나 정작 간과했던 것은 불임부부의 희망이어야 할 시험관아기가 아기제조산업을 만들었다는 사실이다. ... ...
- DNA에 암호를 담는다과학동아 l199907
- 것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암호를 찾아내는 것이 복잡해서 보안에 유리하고 많은 양의 DNA로 정보를 한꺼번에 전달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세계의 정보기관에서 눈독들이고 있다 ... ...
- ② 변신의 명수 바이러스 퇴치 최전선과학동아 l199907
- 아시클로버다. 아시클로버는 헤르페스 바이러스의 유전자 복제 과정을 억제한다. 즉 DNA를 만드는 효소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효과를 발휘한다.그렇다면 이 약제는 바이러스뿐 아니라 인체 세포의 유전자 복제 과정도 억제할 수 있다. 하지만 비교적 이런 부작용이 적어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다. ... ...
- 생명의 비밀 밝힌 로제타 스톤, DNA 이중나선과학동아 l199907
- 유전자는 DNA라는 목걸이에 진주처럼 박혀 있었다.왓슨과 크릭, 그리고 윌킨스는 DNA 이중나선구조를 밝힌 공로로 1962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그러나 이 연구를 위해 X선회절사진이란 결정적이 자료를 제공했던 프랭클린은 노벨상을 받지 못했다. 백혈병으로 일찍 죽었기 때문이다. 한편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