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d라이브러리
"
DNA
"(으)로 총 1,511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약 태초에 우주 팽창 속도가 느렸다면
과학동아
l
200011
후에 지구에서 최초의 생명이 태어났을 때부터 지금까지 모든 원소의 원조인 수소는
DNA
의 이중나선 구조에서, 또 세포막의 구조에서 어느 누구도 대신할 수 없는 독보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세포 옆에서하나의 세포를 만들기 위해 푸른 행성지구는 그렇게 진화했나보다.
DNA
이중나선을 붙들기 ... ...
뱀·거미·탱크로 변신하는 전천후 로봇
과학동아
l
200010
이는 마치 우리 몸을 이루는 수많은 세포들이 같은
DNA
를 갖고 있지만, 각 세포들은
DNA
에서 필요한 정보만 뽑아 쓰는 것과 같다.임박사는 “여러 개의 모듈을 붙여서 만든 로봇의 장점은 주위 환경에 가장 적합한 모습으로 쉽게 변할 수 있다는 점”이라고 말한다. 실제로 이 로봇은 평지에서는 ... ...
④ 미시세계에서 우주까지 설명하는 만물박사
과학동아
l
200010
따라서 에너지의 변화는 불연속적으로 일어나는데 이를 양자도약(quantum jump)이라고 한다.
DNA
와 같은 유전자분자들은 일반적으로 가장 낮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이 분자가 안정한 구조를 유지하는 이유는 주위에서 얻는 열에너지 등이 다음 에너지값으로 도약하기에는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 ...
DNA
로 만든 바이오센서 개발 임박
과학동아
l
200010
변화를 측정하면 샘플
DNA
의 이상여부를 알아낼 수 있다.화학과 교수인 크라츠박사는 "M-
DNA
를 바이오센서에 응용하는 것은 시작에 불과하다"며 연구결과가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음을 자신했다 ... ...
게놈기능제어연구단
과학동아
l
200010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생명정보학은 도전해볼만한 첨단 분야김영준 교수는"
DNA
와 세포의 수가 어마어마하기 때문에 이를 분석하는 생명정보학이 앞으로 매우 중요해진다"고 전망했다."하지만 이 분야가 생물학과 의학등의 생명공학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고급 인력이 필요하다.특히 생명공학도 ... ...
만약 30억개 염기쌍이 흩어져 있다면
과학동아
l
200009
해도 과언이 아니다.질소와 인 사이에서 나타나는 허함의 차이,이것이 인으로 하여금
DNA
의 당-인산 골격을 가능하게 했고,오늘도 모든 생명체가 그를 바탕으로 생명의 정보를 기록하고 대물림을 하고 있는 것이다.인간의 30억개 염기쌍이 흩어지지 않고 제자리를 지킬 수 있는 것은 여유를 아는 인의 ... ...
3. 정보의 홍수로부터 해방 인간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009
유전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유전자 기능연구를 위해 다른 종간의 염기서열을 비교,
DNA
염기서열의 공통점을 찾거나 개인차를 나타내는 부분(단염기다형성)을 검색하기 위해서는 연산속도가 빠른 슈퍼컴퓨터와 해당 소프트웨어 기술이 필수적이다.단백질 암호화 부위(유전자)와 비암호화 부위의 ... ...
생명의 기원은 바다가 아닌 대기?
과학동아
l
200008
작은 물방울의 구성물질 절반 이상이 유기물이라는 사실에 착안해 이 물방울들이
DNA
나 단백질과 같은 고분자를 형성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연구팀은 그 이유를 2단계로 나누어 설명한다. 먼저 물방울이 파도에 의해 공기중에 떠오를 때 수면 위에 있는 얇은 유기분자층으로 1차 코팅된 뒤 ... ...
미국인의 과학지식 수준 기대 이하
과학동아
l
200008
대한 일반인의 이해가 수년 전에 비해 그다지 나아진 바가 없다고 전한다. 특히 분자나
DNA
등의 기초적인 용어나 개념에 대해서는 2/3 이상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일반인의 과학지식 수준이 심각한 것으로 밝혀졌다.하지만 미국인들은 대부분 과학적 발견과 진보에 대해서는 ... ...
제임스 왓슨의 이중나선
과학동아
l
200008
형태의
DNA
구조 모형은 기존의 모든 관찰사실들과 의문점을 한꺼번에 해결해줬다.왓슨은
DNA
의 이중나선 구조에 대한 발견의 공로로 1962년 공동연구자 크릭 그리고 킹스 칼리지의 윌킨스와 함께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결국 과학 발견의 우선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였던 두 연구집단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