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학
유전
유전자공학
뉴스
"
유전공학
"(으)로 총 1,381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약탐지견 행동조절 원인, 유전자에서 찾았다
2016.04.24
마약탐지견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되는 특수목적견의 남다른 학습 능력이 타고난 유전자 때문이라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농촌진흥청 산하 국립축산과학원 연구진은 부산대 연구진과 공동으로 특수목적견의 학습능력이나 행동조절과 관련성이 있는 ‘MAOA(Monoamine oxidase A)’ ... ...
오줌의 대변신…자기 복제하고 맞춤형 화장품까지
2016.04.15
건강한 성인은 하루에 평균 2L 안팎의 소변을 배출한다. 소변은 매일 꾸준히 나오는 데다 주사처럼 인위적인 채취 과정도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 때문에 최근 생명의료와 에너지 분야에서 새로운 소재로 떠오르고 있다. pixabay 제공 ● 자기 복제하고 맞춤형 화장품 생산 몸속에서 소변이 배 ... ...
일산화탄소 먹고 수소 뱉어내는 심해 고세균
2016.04.11
고온의 심해 해양열수구에서 서식하는 고세균 NA1은 일산화탄소를 먹고 수소를 뱉어낸다. - 해양과학기술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심해에 사는 고세균의 진화 현상을 이용해 수소 연료를 생산할 수 있는 균주를 처음으로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강성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생명공학연 ... ...
[토요판 커버스토리]실리콘밸리 입성한 ‘토익 315점’
동아일보
l
2016.04.02
[동아일보] [창간 96주년]청년이 희망이다 [1부 글로벌 챌린지의 현장]美실리콘밸리 진출한 청년들 정보기술(IT) 세계적 기업인 트위터의 미국 본사에서 근무하는 김창옥 씨(31), 샌프란시스코에서 세무 전문가로 활약 중인 이종덕 씨(37), 실리콘밸리에 인접한 대표 관광지 ‘하프문베이’에 위치한 ... ...
빛과 열로 신경세포 활성 조절
2016.03.30
신경세포는 전기, 빛, 열 등의 자극으로 활성을 조절할 수 있다. - 미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제공 국내 연구진이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간편하게 신경세포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신경세포 자극 칩을 내놨다. 남윤기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팀은 박지호 KAIST ... ...
암 혈관세포만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항암제 개발
2016.03.30
김인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원(왼쪽)과 변영로 서울대 교수.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암 혈관세포에만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단백질을 발견하고 이를 타깃으로 하는 항암치료제 후보물질을 개발했다. 김인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의공학연구소 테라그노시스연 ... ...
유전자 473개, 실험실에서 합성한 인공생명체 탄생
2016.03.25
미국 크레이그벤터연구소 연구진이 최근 합성한 인공생명체 ‘JCVI-syn3.0’. - 사이언스 제공 “1984년, 생명체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한 세포인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를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세계적인 과학저널 ‘사이언스’ 25일자에는 이렇 ... ...
근육 키우고 줄이는 유전자 발견
2016.03.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근육 성장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를 발견하고 성장 과정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김인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의공학연구소 책임연구원(사진) 팀은 박승윤 동국대 의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근육을 구성하는 근육세포의 융합과정을 규명하는 데 성 ... ...
지카 바이러스 막을 ‘유전자 변형 모기’ 야생 방출 예정
포커스뉴스
l
2016.03.22
지카 바이러스의 원인으로 일컬어지는 ‘이집트 숲 모기’의 개체 수를 줄일 유전자 변형 모기가 야생에 방출될 예정이다. 이 모기가 교미해 낳은 새끼는 성체가 되기 전에 죽는다. 영국 텔레그래프는 14일(현지시간) 스타트업 기업 옥시텍(Oxitec)이 곧 유전자 조작된 “불임” 모기를 야생에 풀어 ... ...
“광컴퓨터 등장땐 ‘알파고’ 수읽기 더 빨라져”
동아일보
l
2016.03.15
[동아일보] “전기 대신 빛을 신호 수단으로 써 연산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인 컴퓨터가 등장하면 ‘알파고’의 수읽기는 더 빨라질 수 있습니다.” 차세대 컴퓨터로 각광받는 광(光)컴퓨터 실현에 필요한 핵심 기술인 게르마늄 광소자 개발에 성공한 남동욱 인하대 전자공학과 교수(33·사진)는 이세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