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학
유전
유전자공학
뉴스
"
유전공학
"(으)로 총 1,381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체 데이터도 ‘구글링’해서 설계한다
2016.05.23
Pixabay 제공 국내 연구진이 빅데이터 기술을 적용한 유전체 데이터 설계 기술을 개발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김민수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교수와 구재형 뇌·인지과학전공 교수 공동연구팀은 구글 검색에서 이용하는 빅데이터 기술을 적용해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빠르고 정확하게 설 ... ...
빅데이터 이용해 암 유발 유전자 찾는다
2016.05.10
G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빅데이터 기술을 이용해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유전자 후보를 선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현주 광주과학기술원(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사진)팀은 암세포에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적용해서 얻은 빅데이터로 암을 발생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유전자 영역을 ... ...
천연물 신약, 이렇게 하면 쉽고 정확하게 개발
2016.05.10
주목나무에서 추출한 천연 항암제 ‘택솔’. - 동아일보DB 제공 국내 연구진이 천연물에서 추출한 화합물 가운데 신약 후보물질을 쉽고 정확하게 찾는 방법을 새롭게 개발했다. 권호정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팀은 천연물을 정제한 화합물을 만났을 때 생리 활동이 직접적으로 조절되는 생체 ... ...
‘캡틴 아메리카: 시빌워’ 속 슈퍼영웅, 과학적으로 가능할까
2016.05.08
※이 기사는 최근 개봉한 영화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에 대한 스포일러를 일부 포함하고 있습니다. 영화 ‘캡틴 아메리카: 시빌워’의 공식 포스터 -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모션 픽처스 제공 영화 ‘캡틴 아메리카’ 시리즈의 세 번째 개봉작인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이하 시빌워)’가 ... ...
검사가 수학을 공부하는 이유: 디지털 증거, 수학으로 찾는다!
수학동아
l
2016.05.05
※ 편집자주: 수학자도 수학 교사도 수학 전공자도 아니다. 그런데 수학을 공부하는 어른이 있다. 이들이 수학을 공부하는 이유를 소개한다. 매주 토요일마다 서울대 129동 강의실에서는 대학생이라고 하기에는 나이가 많이 보이는 어른이 수학 수업을 듣는다. 그것도 정수론, 대수학, 암호학 등 ... ...
DNA ‘스위치’ 찾았다…유전자 질환 치료 청신호
2016.05.03
연구결과가 게재된 국제학술지 표지사진 - KAIST 제공 유전자 이상으로 생기는 각종 난치병을 손쉽게 치료할 수 있는 길을 국내 연구진이 열었다. 박현규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은 ‘핵산중합효소’의 활성을 가역적으로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핵산중합효소는 DNA 내부에 존재 ... ...
세포 속 ‘발전소’에서 신경암 해법 찾았다
2016.04.27
세포 속 ‘발전소’ 역할을 하는 미토콘드리아에서 신경암과 신경퇴행성질환에 대한 해법이 발견됐다. 이규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과 이성수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와 공동으로 수행한 연구에서 미토콘드리아 내 특정 단백질에 변화가 생기면 신 ... ...
RNA 간섭 이용해 약물 쉽게 전달하는 나노 구조체 개발
2016.04.25
앙게반테케미 제공 국내 연구진이 의약품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새로운 약물 전달 기술을 개발했다. 각종 약품을 환부에 정확하게 보낼 수 있어 치료의 효과를 큰 폭으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노영훈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팀은 ‘RNA 간섭(RNAi)’이라는 효과를 이용해 새로운 약 ... ...
염색체 움직임으로 유전질환 有無 확인
2016.04.25
세포에서 염색체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기술을 나타낸 개념도. - 충남대 제공 다운증후군, 터너증후군 등은 정자나 난자와 같은 생식세포가 감수분열을 통해 그 숫자를 늘릴 때 염색체가 제대로 분리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유전질환이다. 이창수 충남대 화학공학과 교수팀은 생식세포 ... ...
‘뚜벅뚜벅’ 빛 따라 걷는 바이오로봇
과학동아
l
2016.04.24
Ritu Raman, University of Illinois 제공 빛이 인도하는 방향으로 걷는 초소형 바이오로봇이 개발됐다. 미국 일리노이대 생명공학과 라시드 바시르 교수팀은 빛을 비추는 방식으로 조종하는 바이오로봇을 3D프린터와 근육세포를 이용해 만들고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3월 1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