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뉴스
"
옆
"(으)로 총 1,296건 검색되었습니다.
메이드인 코리아 ‘사이보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
2014.11.10
인정받지 못했다. 연구진은 이들 부품을 하나로 합쳐 작게 만든 뒤 안구 바깥쪽 바로
옆
에 붙여 수술 부담을 줄였다. 정흠 교수는 “토끼에게 인공 눈을 이식한 뒤 뇌파를 측정해 빛의 반응 여부를 확인했는데 그 결과가 상당히 좋았다”면서 “조만간 임상 시험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팔뚝에 특수 밴드 찼더니 아바타가 똭!
2014.10.24
수 있도록 개발했다”고 말했다. 이번엔 한 연구원이 밴드를 끼고 팔과 손을 움직이자
옆
에 있던 로봇 팔이 그를 따라했다. 멀리 떨어져 있는 물건도 손가락 하나만 까딱해 로봇 팔이 대신 옮겼다. 김 연구원은 “로봇 팔이 물건을 잡았을 때 전달되는 압력이나 촉감도 사용자가 느낄 수 있도록 ... ...
국산 ‘아이언맨’ 슈트 입으니 “50㎏ 배낭이 솜털같네!”
2014.10.22
물었다. 현재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입는 로봇은 다리가 앞뒤로만 움직이는데 렉소는
옆
으로도 움직인 것이다. 유재관 LIG넥스원 수석연구원은 “렉소는 하체 관절을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게 특징”이라며 “엉치와 발목이 상하 좌우 회전 등 세 방향으로 움직인다”고 설명했다. 렉소를 믿고 여러 ... ...
유럽 생명과학연구소 허브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
2014.10.17
했다. 케임브리지대처럼 구내식당을 400석 규모로 일부러 작게 만들어 과학자들이 바로
옆
자리에 앉아 대화할 수밖에 없도록 만드는 작전도 썼다. 1층에는 지역 주민을 위한 대중강연장과 스포츠센터도 들어선다. 케이티 매슈스 홍보실장은 “도심에 새로운 연구소가 들어서는 만큼 지역 주민과의 ... ...
“노벨상 수상자의 공통점은 ‘유쾌함’”
2014.10.14
노벨박물관과 처음 인연을 맺은 뒤 2010년부터 관장을 맡고 있다. 그는 “오랫동안
옆
에서 노벨상 선정 과정을 지켜보니 심사위원들의 세부 전공에 따라 수상자가 결정되는 경향이 있더라”면서 “물리학상의 경우 심사위원에 이론물리학자가 많으면 이론물리학 분야가, 응용물리학자가 많으면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노르웨이과기대로 갔고 고생고생해 실험실을 꾸미고 드디어 2005년 ‘네이처’에 해마
옆
내후각피질에서 발견한 격자세포에 대한 논문을 싣게 된다. 기사를 보면 남편 에드바르드는 계산과 이론에 능하고 아내 마이브리트 모세르는 실험과 실험실 운영을 주로 맡았다고 한다. 서로의 장점을 ... ...
[채널A]입 벌리고 자는 습관…불면증 부른다
채널A
l
2014.10.08
조사됐습니다. [인터뷰 : 한진규/신경과 전문의] 소리가 안 나기 때문에 본인도 모르고
옆
에 사람도 체크를 못할 수가 있죠. 자고나서 2번 이상 깨고 항상 자고 나서 입이 마르고 항상 피곤해하고.. 건조한 환절기엔 코가 막히면서 증상이 심해져 근육통이나 어지럼증, 손 발 저림 등이 나타나기도 ... ...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미끄러지는 이유
2014.09.29
아니라 접촉하는 두 면의 재질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상자를 빙판 위에 두고
옆
에서 밀면 약간만 힘을 줘도 움직이지만(마찰계수가 작아 마찰력이 작다), 그냥 땅 바닥에 두면 더 큰 힘을 줘야 움직인다. 연구자들은 리놀륨 재질의 바닥에 놓인 바나나 껍질을 구두를 신은 발로 밟는 상황에서 ... ...
아프리카 원주민 같나요? 모기 발바닥 끝이랍니다
과학동아
l
2014.09.26
있는 모습이 씩씩하면서도 귀엽다. 원주민은 귀걸이 치장을 많이 하는데, 이 사람은 볼
옆
에 뾰족한 뿔 모양의 치장으로 한껏 멋을 냈다. 국가지정 의과학연구정보센터 제공 ▲두 마리의 사슴(김도현·중고등부 대상·보건복지부 장관상) 태어날 때부터 몸이 붙어 태어나는 샴쌍둥이. ... ...
음속 20배 우주쓰레기 2만3000개 피하는 법
2014.09.19
관제센터를 찾았다. ●73m, 99m, 114m까지 접근, 충돌 위기 여러 차례 모면 관제센터 바로
옆
에는 ‘카리스마(KARISMA)’ 팀 전용 분석실이 생겼다. 카리스마는 항우연이 자체 개발한 우주 파편 분석 프로그램. 김해동 IT융합기술팀장과 관제요원 2명이 카리스마를 전담하고 있다. 김 팀장은 “우주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