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뉴스
"
옆
"(으)로 총 1,296건 검색되었습니다.
내년에 ‘자기부상 엘리베이터’ 나온다
2015.02.27
문제는 안전성이다. 기존 엘리베이터는 케이블이 혹여 끊어지더라도 엘리베이터
옆
에 붙어있는 비상정지장치(세이프티 기어)가 엘리베이터를 잡아줘 바닥에 충돌하지 않는다. 하지만 자기부상 엘리베이터의 경우 정전 등 비상시에는 바닥으로 자유낙하 할 위험이 있다. 김 센터장은 ... ...
차가 막히는 이유?
옆
차로에 끼어든 당신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5.02.17
유령체증을 없애기 위해서는 운전자들이 차로 변경을 자제하는 수밖에 없다. 사실
옆
차로가 더 빠르다는 것은 ‘착각’이다. 캐나다 토론토대 도널드 레델마이어 교수와 미국 스탠퍼드대 로버트 팁시라니 교수는 추월당할 때 걸리는 시간이 추월할 때 걸리는 시간보다 짧기 때문에 자신의 차로가 ... ...
양자를 훔친 악동들
2015.02.15
원리를 처음 소개했다. 그때 좌중에 앉아 있던 유진 위그너(1963년 노벨물리학상)는
옆
사람에게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대체 무슨 소린지 한마디도 모르겠네. 이 강연을 듣고 양자역학에 대한 관점을 바꿀 사람은 하나도 없을 걸?” 이런 모호함 때문만은 아니었겠지만, 알버트 아인슈타인(1921년 ... ...
1990년 밸런타인데이, ‘보이저 1호’가 준 선물
2015.02.12
받아들인 NASA 리처드 트룰리 신임 국장 - 위키피디아 제공 당시 보이저 1호는 명왕성
옆
을 통과, 태양계의 끝을 향해 가고 있었는데요. 1990년 2월 14일, 보이저 1호는 드디어 칼 세이건의 제안대로 지구를 향해 카메라를 돌립니다. 1990년 밸런타인데이, 명왕성 근처에 있던 보이저 1호는 지구가 있는 ... ...
막대기를 움직인 건 수맥인가 내 마음인가?
과학동아
l
2015.02.10
자기장을 만들어 금속 막대기를 움직인다는 주장도 있지만, 어림없는 소리입니다. 폭포
옆
에 나침반을 가져가면 바늘이 핑핑 돌기라도 한단 겁니까? 현재로서는 무의식적으로, 혹은 암시에 의해 손을 움직이고 그에 따라 막대기가 회전한다는 설이 가장 유력합니다. 요즘에는 정체를 알 수 없는 ... ...
테크노마트 진동과 인간의 본능
2015.02.08
이를 바탕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밀레니엄 다리 진동 사건을 재구성한 결과 양
옆
으로 움직이는 트레드밀에서는 앞으로 나아가는 동작을 할 때 사람의 몸이 위아래로 덜 움직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사람이 걸을 때 몸이 위아래로 움직이는 이유는 발로 지면을 누르면서 이동하기 ... ...
혼자보다 둘이 할 때 더 좋은 건? 금연과 다이어트
2015.01.25
함께 시도했을 때 절반가량의 참가자가 성공했다. 하지만 흡연자인 배우자나 연인이
옆
에서 계속 담배를 피울 경우 흡연자 중 8% 정도만 담배를 끊었다. 운동을 할 때도 커플이 함께하는 경우가 오래 운동을 즐길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플이 함께 하는 경우에는 60% 이상이 실험기간 동안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
2015.01.25
이상한 일이 벌어진다. 스크린에 도달한 빛이 오히려 커지는 거다. 밀가루 반죽을
옆
에서 강하게 누르면 아래위로 튀어나오는 거랑 비슷하다. 이것을 빛의 회절이라 부른다. 빛은 광자라는 입자이기도 하다. 구멍이 작아진다는 것은 광자가 지나가는 위치를 점점 정확히 알게 된다는 뜻이다. ... ...
'머리 큰 아기' 엄마는 괴로워
2015.01.21
것입니다. ● 진정한 인류의 시작은? 이렇듯 지극히 사회적인 출산, 즉 누군가가 꼭
옆
에 있어서 도와 주어야만 하는 힘든 출산은 인류 진화 역사 중언제부터 시작됐을까요. 여자의 골반 화석과 신생아 화석을 보면 알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신생아는 거의 화석으로 ... ...
바오밥나무와 사랑에 빠진 식물학자
2015.01.18
이미지 가운데 하나다. 기자에게는 작은 행성 위에 우뚝 솟은 거대한 나무와 그
옆
에 외롭게 서 있는 어린왕자의 모습이 인상적으로 남아 있다. 어린시절 기자는 바오밥나무가 상상 속 나무일 거라고 생각했다. 그러다 텔레비전 화면에 잡힌 바오밥나무에 매료돼 무작정 서식지인 아프리카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