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흔들림
격동
동요
떨림
바이브레이션
비브라토
전율
d라이브러리
"
진동
"(으)로 총 1,750건 검색되었습니다.
호킹 박사, “내 블랙홀 이론 틀렸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오하이오주립대 사미르 마튜르 교수팀이 ‘끈이론’에 따라 블랙홀이 입자가 아니라
진동
하는 작은 끈으로 구성됐다고 가정하면 블랙홀에서 나오는 빛에 내부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했기 때문.호킹 박사는 이번 발표 끝에 자신이 틀렸다는 의미에서 프레스킬 교수에게 크리켓 ... ...
토성궤도에 진입하는 카시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대칭성 자발파괴가 일어나는 경우, 계에 원거리력이 들어 있지 않으면 운동량 k→0일 때
진동
수 v→0이 되는 운동방식이 존재한다는 것이 이론적으로 증명되는데, 이것을 남부골드스톤정리라고 한다보통의 화학조성(化學組成)을 가진 암석에 남섬석을 생성하는 변성작용 남섬석은 각섬석(角閃石)의 ... ...
발사에서 도착까지 7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기계적 작업에 의해 원래의 액체로 돌아간다기계
진동
계에 작용하는
진동
적인 힘과 그
진동
속도의 힘 · 방향 · 성분의 비 복소수이다 기계적 변형이나 변화가 자극의 원인이 되어 생기는 감각의 총칭 촉각 · 압각(壓覺) · 평형감각 · 청각 및 운동 · 위치 그리고 힘의 감각 등이 포함된다 물질을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여진이 울진 동북쪽 55km 해역에서 발생했다. 2번째와 3번째 여진의 경우 울진 지역에서
진동
이 감지됐다.미 지질조사국 지진재해연구팀 로스 스타인 박사는 20년이 넘게 지진발생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다. 스타인 박사는 미국 서부, 일본, 터키 등지에서 일어나는 지진을 분석해 여진이 일어나는 ... ...
04. 눈과 귀 창조하는 인공시청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있다. 외이나 중이에 있는 기관에 문제가 생겨 청각을 상실한 경우는 대개 소리의
진동
을 증폭해주는 보청기로 어느 정도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시각을 상실하는 절반 가량의 원인이 시각의 핵심 기관인 망막 손상 때문이듯이, 청각 상실도 핵심 기관인 달팽이관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는 경우가 ... ...
우주로 향한 로켓기의 여정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생체는 격렬한 활동상태를 나타낸다 적외선 흡수와 라만 효과 중 한쪽에서 관측되는
진동
이 다른 쪽에서는 관측 불능인 것을 교대금지법칙이라고 하며 분자가 대칭중심을 가지는지, 가지지 않는지를 알기 위한 유력한 실마리가 된다 짝을 이루는 불포화탄화수소 중 분자 내의 탄소원자에 엇갈리게 ... ...
대한해협 터널구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있다. 하지만 해저에서는 어류 등 해저 생물의 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설사 발파에 의한
진동
이 있더라도 이를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채널터널 공사 당시에도 생태계 피해 사례는 없었다고 한다. 북한 개방 여부가 터널 성공의 관건다시 처음의 질문으로 돌아와보자. 한국과 일본의 바닷길은 ... ...
세계 최대 여객기 에어버스 A380 생산 시작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공기역학과 탄성학을 이용하는 항공학 분야이다 라만효과에서 사용되는 입사광의
진동
수가 물질의 전자흡수띠에 접근 또는 일치했을 때 라만선 강도가 현저하게 커지는 현상 양자역학적 입자의 충돌에서 공명이 일어날 때의 입사 입자의 에너지 분자가 공명에 의해 안정화될 때에 쓰일 때는 공명 ... ...
물리학이 밝혀낸 편경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ation)파형의 형태를 띤 함수는 아무리 복잡해 보여도 여러가지
진동
수와 진폭을 갖는 사인(sin)함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 과정이 푸리에 변환이다. 여기에는 복잡한 계산 과정이 필요하지만 오늘날에는 푸리에 변환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순식간에 분석결과를 ... ...
문자 메시지 촉감으로 이해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아니면 @라는 답을 얻을 수 있었다.사람의 손가락 끝에는 1cm2당 1백개의 촉각세포가 있어
진동
이 0.01mm만 벗어나도 알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에크밀러 교수는 “눈과 경쟁하려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관심있는 것은 ‘한시간 이내에’ 와 같이 몇개의 단어로 된 짧은 글을 하나의 감각 단위로 빠르게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