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너지"(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완벽 정리 8] 인류의 역사를 바꾼 화학반응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이들 화합물이 산소와 반응하면서 이산화탄소와 물이 발생한다. 이때 나오는 열에너지를 우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해 왔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지구와 인류의 역사를 바꾼 세 번째 화학반응은 금속의 제련, 특히 철의 제련과 관련된 반응이다. 제련은 광석을 용광로에서 녹인 뒤 광석에 ... ...
- Part 4. 블랙홀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빨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일부 내보낼 수도 있다는 것을 뜻하지요. 이는 결국 블랙홀이 에너지를 방출해 언젠가 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의미하기도 한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스티븐 호킹의 위대한 질문Part 1. 장애는 연구에 방해가 될까?Part 2. 우주는 어떻게 ... ...
- Part 3. 피라미드 속 비밀의 방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때 만들어지는 입자예요. 물질을 잘 통과하지만, 통과하는 물질의 밀도에 따라 입자 수와 에너지의 양이 달라지는 성질이 있지요. 연구팀은 뮤온의 이런 특성을 이용해 피라미드 내부와 외부에 뮤온 검출기를 세 대 설치했어요. 만약 벽으로 막혀 있는 곳이라면 벽돌이 뮤온을 흡수할 거예요. 반면 ... ...
- [Career] ‘하버드 공대 공부벌레들’과의 2주일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서 교수는 해수배터리를 태양전지와 연결하는 미션도 줬다. 이렇게 하면 태양전지로 에너지를 만들면서 동시에 해수배터리에 저장할 수 있다. 하지만 태양전지와 해수배터리를 연결하는 작업은 간단치가 않다. 태양전지는 전압이 매우 낮고 전류가 높은 반면, 해수배터리는 전압이 높고 전류가 ... ...
- [피부, 머리카락 붙이기] 당신 머리카락을 쓸어 주고파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실제로 피부가 자극을 감지하는 방식이다. 피부감각수용체는 이 같은 원리를 이용해 에너지를 거의 들이지 않고 감각을 정확하게 감지한다. 현재 맥박을 전원 없이 정확히 측정하는 데 성공한 상태다. 한편 전자피부에 통신 기능이 탑재되기도 한다. 장경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 ...
- [Issue] AI는 인간의 ‘후배’인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것으로, 이들의 연구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다량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소모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AI 분야 연구자로서 필자는 AI가 아직은 사람들이 두려워할 수준에 이르지는 못했다고 평가한다. 의료, 법률 분야에서 시범적으로 AI를 적용하고 있지만, 아직은 ... ...
- [과학뉴스] 그리기만 해도 빛이? 연필로 그리는 배터리 발명!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산화하는 현상을 이용해요. 이 반응을 통해 만들어진 전자가 회로를 따라 흐르며 전기에너지가 발생하지요. 연구진은 종이에 마이크로미터(μm, 100만 분의 1m) 단위의 구멍이 있다는 점에 주목했어요. 이 구멍으로 공기가 통하기 때문에 금속-공기 배터리를 만들 수 있었던 거예요. 이 배터리는 얇고 ... ...
- [통합과학 교과서] 토끼 찬스 발동!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에너지를 받아요. 그 양은 위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극지방보다 적도에 더 많은 에너지가 도달 하지요. 즉, 적도의 대기는 상대적으로 뜨거워지고, 극지방의 대기는 차가워져요. 그 결과, 대기가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대기 대순환’이 일어나요. 적도 부근의 따뜻하고 습한 대기는 위로 ... ...
- 하나를 가르치면 '0’을 아는 벌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보상이 높은 꽃으로 향하고(두 번째 실험), 먹이의 가치보다 날아가는 데 드는 에너지가 더 많이 들면 보상이 높은 꽃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어도 최단 경로를 선택해 이동했습니다(세 번째 실험). 정말로 외판원 문제를 해결하고 있었던 거죠. 첨단 미래로 가는 열쇠=벌벌의 뇌에는 뉴런이 100만 ... ...
- [Culture] 화성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전략 3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로버는 태양전지를 동력으로 사용하는데, 화성에 거대한 모래 폭풍이 불어 닥치면서 태양에너지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이 되자 NASA가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오퍼튜니티를 저전력모드로 전환했다. 현재 가장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로버는 ‘큐리오시티’다. 큐리오시티는 태양전지 대신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