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탄생 150주년]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지금까지 이런 주기율표는 없었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멋진 아이디어를 담은 나만의 주기율표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곽소희 양은 “주기율표를 직접 만드니 자연스럽게 원소와 그 성질을 익힐 수 있었다”며 “특히 기존에 알고 있던 원소뿐만 아니라 평소에 잘 외워지지 않았던 다른 원소들도 쉽게 머릿속에 들어왔다”고 말했다 ... ...
- 수학 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진실 혹은 거짓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논리적인 규칙이 됩니다. 음수 -3은 ‘사과 1개에서 4개를 빼고 남은 양’이 아니라 ‘양수 3을 더했을 때 0이 되게 하는 수’로 정의되고, 무리수 는 ‘제곱해서 2가 되는 수’로 정의되는 식이죠. 경험으로 수학을 배우는 초등학교, 경험을 넘어선 논리로 수학을 배우는 중학교 이후 교과서에서 수를 ... ...
- 수식으로 읽는 하드 사이언스, 메타물질 도장깨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에너지를 얻어내는 효과도 낼 수 있을 것이다. 메타물질은 지난 수십 년 간 매우 다양한 형태로 연구가 이뤄져왔다. 많은 연구자들이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것에 비해 실용화가 늦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는 기존 물질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신 반대급부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한계점이 ... ...
- 소행성 탐사 전성시대, 류구부터 파에톤까지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 책임연구원으로 있다. 태양계 소천체 연구와 함께 소행성 탐사에 관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유엔의 평화적우주이용위원회(COPUOS) 근지구천체분야 한국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fullmoon@kasi.re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빅뱅의 산물, 수소와 헬륨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별과 은하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형성됐는지, 그들이 어떤 진화 과정을 거쳤는지, 태양계의 생성 과정은 어땠는지에 대해서는 모릅니다. 필자가 속한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캐스케이드(CASCADE) 연구실은 지금보다 훨씬 젊었던 초기 우주의 가스 구름에서 성단이라고 하는 별의 집단이 형성되는 ... ...
- [SW 진로체험] 답을 찾는 시간이 즐거운 SW 개발자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분포도에 대한 아이디어는 어떻게 냈나요?APM은 초단위로 쏟아지는 엄청난 양의 정보를 빠르게 처리하면서 그 속에서 문제를 정확히 파악해서 조율해야 해는 기술이에요. 큰 규모의 데이터를 처리할 때 주로 ‘평균’이란 개념을 사용하는데 평균으로는 어디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정확히 알기 ... ...
- Part 1. 90.5가 의미하는 것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본격적으로 플라스틱의 대량생산이 시작됐어요. 이후 어마어마한 양의 플라스틱이 만들어지고 있지요. 플라스틱은 얼마나 생산되었을까요? 그리고 얼마나 많은 플라스틱 쓰레기가 나왔을까요? 매년 12월, 영국의 왕립통계학회에서는 ‘올해의 통계’라는 제목으로 한 해 동안 ... ...
- 3D프린팅, 나노세계로 줄이거나 조각하거나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구조물도 3D 프린팅으로다운사이징 기술이 각광받는 이유는 향후 의료나 우주탐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가령 nm 수준에서는 간격을 조정하는 것만으로 색을 변하게 만들 수 있는 ‘나노구조색’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박홍규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2016년 ‘나노레이저 ... ...
- [동아리탐방] 수학 보드게임 들고 전국으로! 거제연합수학동아리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아이들에게 게임 방식으로 수학을 가르치면서 큰 효과를 봤다”며, 뿌듯해했다. 김민지 양은 “나중에 교사가 된다면 동아리 경험을 살려 학생들에게 교과 내용을 활동 중심으로 가르쳐 보고 싶다”는 바람도 생겼다. 각자 다른 학교를 다니고 있지만 1년 동안 거제연합수학동아리라는 이름으로 ... ...
- 한국 인공태양 완공 10년, 1억 도로 타올랐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연료 1g으로 석유 8t(톤)을 태워 만들어내는 전기에너지와 같은 양의 에너지를 만들 수 있을까. 스스로 빛과 열에너지를 만드는 태양이라면 가능하다. 강한 중력이 작용하고 ... “이제 핵융합 연구는 ‘꿈의 인공태양’이 아니라 현실과 가까워지는 인공태양으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