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논문"(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남성 생식 연구를 허하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교수팀은 ‘한국모자보건학회지’ 2016년 1월호에 발표한 ‘임신 전 남성 관리’라는 논문에서 “과거에서 현재까지 대체로 정액검사가 양호하면 남성들에게 ‘불임 면죄부’를 줬다”고 밝혔다(정액검사는 세계보건기구(WHO)의 기준에 따라 ‘총 사정액 1.5mL 이상, 1mL 당 정자 수 1500만 이상, ... ...
- Part 3. 인체, 백신을 기억하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존재한다. 결론적으로 신생아는 한 번에 1만 개의 백신을 수용할 수 있다.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최근 아이들에게 권장되는 11종의 백신에는 130개 미만의 항원이 들어 있다”며 “결국 백신은 아이 면역체계의 약 0.1%를 사용한다. 심지어 B 세포는 지속적으로 새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를 소모하는 ... ...
- [과학뉴스] 예쁜꼬마선충으로 항암제 독성 평가한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강경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강릉분원 천연물연구소 시스템천연물연구센터 박사팀이 예쁜꼬마선충(C. elegans)을 이용해 항암제 독성을 평가하는 기술을 ... 데에도 요긴하게 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환경독성’ 6월호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doi:10.1002/tox.2240 ... ...
- [Future] 건강한 전통? 생존의 문화? 흙 먹는 ‘토식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해를 줄 수 있다고 밝혔다. 즉, 납 노출의 안전한 수준은 현재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혈중 납 농도가 이처럼 높은 건 토식증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며 “현재 토식증에 대한 아무런 가이드라인이 없다. 향후 정책을 통해 흙 섭취를 반드시 줄이게 해야 한다”고 ... ...
- [Issue] 편리한 현대의 딜레마, 포장지 속 과불화화합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있는 전구체 물질이 검출됐다. 14개 중 10개에서는 그 양이 200nmol/cm2을 초과했다.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미국 제조업체들이 2011년부터 자발적으로 탄소가 8개(C8)인 과불화화합물(탄소사슬이 길수록 발수력이 뛰어나지만, 잠재적인 유해성도 크다)을 사용하지 않기로 했는데도 불구하고 이 같은 ... ...
- [Career] 에너지를 생산하는 ‘밥솥’을 만든다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좋게도 이 교수는 “며칠 뒤 잠깐 한국에 올 일이 있다”고 했다. 지도 학생들의 박사 논문 심사 때문이었다. 어렵사리 만난 이 교수와 미국 생활과 연구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맛있는 ‘에너지’를 짓는 밥솥“연구년이라서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1년간 연구하고 있어요. 올해 8월이면 ... ...
- Part 1. 백신을 못 믿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부정직하고 무책임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랜싯은 해당 논문을 영구 철회했다. 해당 논문은 지금도 랜싯 사이트에서 내려 받을 수 있는데, ‘철회됐다(retracted)’는 문구가 커다랗게 찍혀 있다. 2010년 5월에는 웨이크필드 박사의 의사면허도 박탈됐다.이렇게 실상이 낱낱이 밝혀졌음에도 백신에 대한 ... ...
- Part 4. “나 하나쯤이야” 무너지는 집단면역 생태계과학동아 l2017년 07호
- W.W.C 토플레이와 G.S 윌슨이 ‘위생학 저널’에 쓴 ‘감염의 확산 집단면역의 문제’라는 논문에 처음 등장했다.집단면역, 어떻게 작용하나백신을 맞지 않아 면역력이 없는 집단에 감염병이 등장하면 순식간에 질병이 확산된다. 그러나 집단이 백신을 맞아 면역력을 가지고 있으면 감염병의 유행은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뿐인데 날개와 다리에 눈을 만들어 내다니 대단하죠?이 논문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논문 마지막에 “다리와 날개에 생긴 눈이 실제로 눈의 기능을 하는지는 알 수 없다”고 적혀 있습니다. 무척 중요한 지적이죠. 제 아무리 강력한 핵심 유전자라고 해도 (그래서 엉뚱한 곳에 눈을 만들어 놓았다고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최석정의 직교라틴방진이 보드게임으로! 1258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조합론’의 효시로 꼽기도 하는데, 유럽에서는 오일러가 1776년 직교라틴방진에 관한 논문을 써 가장 먼저 연구했어요. 그런데 최근 들어 우리나라의 최석정이 오일러보다 61년 먼저 연구했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조선시대에 영의정까지 올랐던 최석정은 1715년 ‘구수략’이라는 수학책에 9×9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