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비
활동사진
시네마
필름
영상
영화관
스크린
d라이브러리
"
영화
"(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K-Pop 스타도 깜짝 놀란 홀로그램 콘서트의 비밀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컴퓨터 작업을 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그렇다면 홀로그램 콘서트의 영상은 이런
영화
속 홀로그램과 같은 걸까?홀로그램이란?홀로(holo)란 그리스어로 ‘전체’를, 그램(gram)은 ‘정보’를 뜻한다. 즉 홀로그램이란 ‘전체 정보’란 의미로, 어떤 물체의 3차원 입체 정보를 완벽하게 보여 주는 ... ...
아바타 기술에 수학이 있다!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하반신 마비 환자가 뇌를 컴퓨터와 연결해 아바타를 조종하는 기술은 이제 더 이상
영화
속에만 존재하지 않는다. 일명 ‘뇌-컴퓨터/기계 인터페이스(BCI 또는 BMI)’라고 불리는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실제로 지난 2012년 미국 브라운대 연구진들은 전혀 몸을 움직일 수 없는 환자들이 ... ...
이보다 수학을 사랑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세계에 빠진 박사의 맑은 영혼에 흠뻑 빠져 들었다. 박사의 수학에 대한 순수한 애정은
영화
의 엔딩에 흐르는 윌리엄 블레이크의 시 ‘순수의 전조’에 잘 표현돼 있다 ... ...
[과학뉴스] 화성 탐사에는 비행접시가 딱?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모양의 새로운 비행체 ‘저밀도 초음속 감속 장치(LDSD)’를 개발해 시험비행에 나선다. SF
영화
에나 등장할 법한 둥그렇고 납작한 비행접시 모양은 화성대기권 진입 시 공기저항을 크게 하기 위해 특별히 디자인됐다. 화성은 대기밀도가 지구의 1%에 불과해 탐사선이 착륙할 때 속도를 줄이기가 쉽지 ... ...
사랑하면 정말 ‘힘’이 난다… ‘옥시토신’ 때문에!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
영화
‘비포 미드나잇’의 한 장면. 중년이 된 셀린과 제시는 다시 사랑의 일체감을 느낄 수 있을까.]흔히 사람들은 ‘사랑이 힘이 된다’고 말한다. 중년 부부일지라도 서로 믿고 의지해야 힘이 나기에, 사랑은 소중하다. 그런데 이 말이 과학적으로 증명됐다. 미국 UC버클리 연구팀은 옥시토신이 ... ...
인공지능 ‘Her’, 아직은 시기상조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통과하는 프로그램이 나올 수 있을 것 같다는 분위기가 중요한 것”이라고 말했다.
영화
‘그녀’의 주인공인 시어도어는 대화를 통해 연인처럼 상처를 어루만져주는 인공지능 운영체제인 사만다와 사랑에 빠지고 행복해진다. 상대가 알고리듬에 따라 작동하는 프로그램이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 ...
"SCV good to go, Sir"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분석해 본격적으로 우주광산 개발에 나선다는 것이다.구글의 창업자인 래리 페이지와
영화
‘아바타’의 제임스 캐머런 감독도 소행성의 광물을 채굴하기 위해 2012년 플래니터리 리소시스를 세우고 우주망원경 ‘아키드(Arkyd)-100’을 띄워 소행성을 탐사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우리나라도 ... ...
PART 3. 서해에도 쓰나미가 온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때는피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쓰나미 이야기가 나온 김에 한 가지 더. 쓰나미 재난
영화
로 인기를 끌었던 해운대처럼 거대한 파도가 선 채로 몰려오는 일은 없다. 일본 쓰나미 영상에서 봤던 것처럼 어마어마한 물이 밀려들어올 뿐이다. 파도가 벽처럼 섰다가 무너지는 것은 파고와 수심의 비가 4: ... ...
말레피센트 사악한 요정의 비밀
수학동아
l
2014년 06호
태어날 때부터 나쁜 사람이 어디 있겠어. 다 사연이 있다고. 무슨 사연이냐고? 그건 비밀!
영화
를 통해서 확인하라구. 그나저나 수학자들 중에도 억울하게 마녀 누명을 쓴 사람들이 있더군. 이들만큼은 내 손으로 명예를 회복해 주겠어!수학 실력이 뛰어나 마녀로 오인 받은 히파티아히파티아는 400년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작물은 벌써 사람들의 밥상에 오르고 있어. 맛있는 튀김을 만들 때 쓰는 콩기름,
영화
감상의 단짝인 팝콘, 우리가 좋아하는 과자에도 유전자변형 작물이 벌써 사용되고 있대. 만약 친구들이 먹는 음식에 유전자변형 씨앗이 사용됐는지 아닌지 알고 싶다면 포장을 보면 돼. 단 유전자가 남지 않는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