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화"(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우주멀미는 괴로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화성에 도착할 때까지, 우리는 몇 달 동안의 긴 시간을 무중력 상태에서 생활해야 했다. 영화에서 무중력 상태는 그저 신기하고 재미있게만 보였지만, 막상 실제로 생활하려니 어려운 일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우선 허공에 떠 있다 보니, 어느 쪽이 위쪽이고 어느 쪽이 아래인지 개념이 사라지기 ... ...
- [특별인터뷰 2] “수학동아는 매달 저를 설레게 해요”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안창호 선생님은 수학을 지긋지긋하게 생각하는 학생들에게 ‘너희가 좋아하는 영화에도 수학이 있다’는 사실을 알려 줄 수 있는 게 매스미디어 기사의 장점이라고 말했다.놀이로 수학 전도사를 꿈꾸다!“2년 전 처음으로 학교에서 수학동아리를 맡았어요. 학교에서도 처음으로 수학동아리를 ... ...
- [시사] 살아 움직이는 미로 메이즈 러너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로를 쉽게 탈출할 수 없었던 이유는 뭘까? 그 이유는 영화에서 직접 확인하자.루카스가 제안하는 미로 탈출 전략➊ 막다른 길이 나올 수 있으니 계속 앞에 뭐가 있는지 생각하며 걷는다. 만약 막다른 길에 도착했다면 바로 앞 갈림길에서 반대쪽으로 간다.➋ 새로운 ... ...
- [과학뉴스] 식물인간도 영화 볼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활성화됐다. 20세 여성 환자 한 명은 감각영역에서 활성패턴이 나타났다. 오언 교수는 “영화를 보는 동안 식물인간과 건강한 사람의 뇌활성 패턴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임상에 적용하면 의지를 표현할 수 없는 환자들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 ...
- [과학뉴스] 티라노 때려 눕힌 공룡, 사실은 수영 선수?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영화 ‘쥬라기공원 3’에는 티라노사우루스를 물어 죽이는 거대한 공룡이 나온다. 이 공룡의 이름은 스피노사우루스. 물고기의 등지느러미처럼 생긴 거대한 등비늘을 가진 공룡이다. 그런데 등비늘만 물고기와 유사한 것이 아니라, 실제로 물고기처럼 수영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스스로 판단해 화기를 발사하는 ‘킬러로봇’이 곧 현실화된다고 한다. 과연 이런 ‘터미네이터’는 인간의 통제를 벗어나 재앙을 가져올까, 아 ... 볼 수 있다. 이제 인류는 ‘터미네이터’의 악몽에서 벗어날 때를 맞았다. 마침 올해는 영화 ‘터미네이터’가 나온 지 딱 30년이 되는 해다 ... ...
- [과학뉴스] ‘먹방’보다 액션영화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토크쇼를 볼 때보다 36% 더 많이 먹고, 얻은 칼로리도 46% 더 높았다.연구팀은 액션영화를 볼 때 음식에 대한 주의력이 산만해져 자기도 모르는 새 계속 먹게 된다고 분석했다. ‘아일랜드’는 1분에 장면이 평균 24.7번 바뀌고 소리는 24.5번 바뀌는 등 장면전환이 매우 빠르다. 반면 ‘찰리 로즈 쇼’는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말하지 말라. 더구나 그대들은 경계 너머의 경계가 또 있을지 모르지 않은가…. 영화 ‘동사서독’ 이야기로 시작했으니 그 이야기로 끝을 맺자. 모래 언덕 너머 무엇이 있는지 보고자 길을 떠난 주인공이 지평선의 끝에서 만난 것은, 또다른 모래 언덕과 지평선이었다. 경계 너머는 또다른 경계였다. ... ...
- [life & tech] 과학자와 예술가의 만남 2014 아티언스 오픈랩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그렇게 해서 탄생한 작품이 ‘456개의 채널’이다.과학자가 직접 찍은 단편영화영화와 시나리오 작업을 해온 심소연 작가는 과학자에게 무엇이든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찍게 했다. 참여열기가 예상 외로 뜨거웠다. “재밌다 느껴지면 몰입도가 대단하셨어요. 연구하시는 것처럼 여러 개의 버전으로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그들의 '미개한' 삶에 한 가닥 밝은 빛을 비춰준다. 영락없는 북서 유럽인의 얼굴을 한 영화 속 에이라는, 당시 학계와 사회가 모두 생각하던 현생인류 의 모습이었다. 하지만 이런 얼굴만 현생인류의 얼굴은 아니다. 납작 한 이마를 가지고 있거나 납작한 코를 가지고 있는 사 람, 턱이 뾰족하지 않은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