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상"(으)로 총 3,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많은 파쇄대 단층에서 보통 전기전도도가 높게 나타난다. 이것을 여러 번 반복 계측·영상화하면 백두산 하부 수십 km에 걸쳐 마그마가 개미굴처럼 퍼져 있는 모습을 지도로 제작할 수 있다(Part 2. 참조).국내에서는 정현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탐사개발연구센터 책임연구원팀이 지하 16km까지 볼 ... ...
- [News & Issue] 그날 서해대교엔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흡착설비에 관한 실험적 연구(울산)’, ‘시동커패시터에 대한 실험적 분석(전북)’, ‘영상기록 장치를 활용한 발화지점 판정에 관한 연구(강원)’가 장려상을 수상했다 ... ...
- Part 3. 진단부터 치료까지 프랙탈 의학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결과가 나왔다. 멱함수 법칙은 프랙탈의 대표적인 특성 중 하나다. 폐의 부풀기가 다른 CT 영상 세트들을 분석한 결과, 구멍 크기는 달라졌지만 멱함수 그래프의 기울기는 같았다. 또 사람마다 기울기는 달랐지만 모두 멱함수 법칙을 따랐다.프랙탈을 활용하면 폐기종 환자의 몇 년 뒤 사망위험도 알 ... ...
- Part 1. 유럽 최고 드론업체 ‘패럿’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2.4GHz와 5GHz 두 가지 대역의 와이파이를 이용해 초당 30프레임의 720p 해상도를 가진 동영상을 헤드셋에 스트리밍한다. 패럿의 일부 드론은 드론, 스마트폰, 헤드셋에 하나씩 있는 안테나를 두 개씩으로 늘린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통신방식도 지원하고 있다. 안테나를 여러개로 늘리면 ... ...
- [과학뉴스] ‘플라시보 효과’ 뇌과학으로 입증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관절염으로 만성 통증을 앓고 있는 환자 17명에게 가짜 약을 처방한 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MRI)으로 뇌를 관찰했다.그 결과 절반이 플라시보 효과를 보이며 통증이 크게 줄었다. 이 때 뇌의 중전두회 영역이 활성화됐다. 중전두회 영역은 의사 결정 과정과 집행 기능에 관여한다.연구팀은 결과의 ... ...
- Part 2. 내 안에 펼쳐진 나만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있는 셈이다. [포스텍 3세대방사광가속기로 찍은 건강한 쥐의 폐(93쪽)의 일부를 확대한 영상. 폐포로 이어지기 직전에 기관지(노란색)에서 세기관지(파란색, 빨간색)가 뻗어 나오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황정은 박사가 기관지 네 개의 패턴을 관찰한 결과, 기관지가 예상보다 훨씬 더 프랙탈 법칙을 잘 ... ...
- [News & Issue] 최순실 PC,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데이터 파티션에 저장되는 정보이기 때문에 복구가 불가능하지만, 사용자가 찍은 사진, 영상, 작성한 문서 등 유저 파티션에 저장되는 정보는 복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공교롭게도 최 씨의 태블릿 PC로 가장 많이 언급되는 모델은 삼성 ‘갤럭시 탭 8.9’ 모델이다. 안드로이드 3.2 버전으로 출시된 ... ...
- [News & Issue] 대통령 담화문에서 배우는 올바른 사과 비법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최근 실험참가자 40명의 뇌를 fMRI(기능적자 기공명영상)로 촬영하면서 책임을 인정하거나 부정하는 공개 사과문을 읽게 했다. 실험 결과, 책임을 인정하는 사과문을 읽은 사람은 공감을 담당하는 ‘사회적 뇌’ 부위가 활성화됐다. 반면 책임을 부정하는 ... ...
- Part 2. 가상현실(VR) 드론의 미래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쉽게 호환할 수 있는 가상현실헤드셋이다. 여기에는 VR드론이나 일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인간이 더욱 생생하고 실감나게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특수 렌즈가 들어갔다. 트로펜하건 매니저는 “시야각이 100°로 사람 눈(120°)과 유사하고 별도로 초점 거리를 조정하지 않고도 가까운 곳과 먼 ... ...
- [수학뉴스] 수학, 잠든 그림에 숨결을 넣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화판의 나뭇결 방향으로, 나머지는 그에 수직인 방향으로 붙였던 겁니다. 그래서 엑스선 영상에 나타난 선이 물감의 틈인지 화판 뒤에 붙은 나무 조각의 결인지 구분하기 어려워진거죠. 도브시 교수는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만들어 이 둘을 구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이 새로운 방법은 앞으로 더욱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