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균
병원균
균류
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병원체
d라이브러리
"
세균
"(으)로 총 1,21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의 수명한계는 115~120년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사망했다. 그 시절에는 폐결핵 장치브스 이질 콜레라 인플루엔자 홍역 수두 등 각종
세균
성 전염병이 창궐했던 시대이며 이런 전염병에 의해서 많은 사람들이 40세 전에 사망했다.근래에는 이런 전염병으로 사망하는 사람들은 훨씬 줄어들었고 좋은 생활환경과 최신의 의료시혜 등의 힘을 입어 ... ...
약의 부작용 약화(藥禍)를 하려면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수 있는 약이다. 그러나 페니실린에 대한 과민성이 생긴 사람에게는 사용할 수 없다.
세균
감염을 치료하기 위하여 페니실린을 사용할 경우 페니실린쇼크 같은 부작용으로 생명을 잃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페니실린이 감염증에 대하여 아무리 효과적이라 하더라도 페니실린 과민환자에게는 ... ...
항생제 KR 10664 개발한 김완주 박사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것입니다."김박사의 신약은 자궁내막염 방광염 부스럼 등에 잘 듣는 항생제다. 항생제는
세균
을 죽이는 게 주임무이므로 살균력이 '우열'을 판가름한다. 하지만 살균력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있다. 독성이 적고 내성균이 등장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다.이 신약을 개발하는데 동원된 인력규모나 ... ...
극한 상태에서 사는 생물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미생물 등 극한속에서 살아가는 생물은 많다. 이런 생물중에는 태고의 생물이라는 고
세균
(古細菌)의 일종이 있다는것도 밝혀졌다. 인류가 탄생하기 훨씬 이전부터 이런 생물은 생존하여 왔던 것이다 심해저의 열대광상에 오아시스를 형성하고 있는 생물들은 어쩌면 혼돈속의 지구상에 생긴 최초의 ... ...
AIDS보다 무서운 질병 유행성출혈열과의 한판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중지하라"는 내용이었다. 또 북한방송도 남조선에서 이호왕이라는 미생물학자가 미국의
세균
전 무기연구를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내 자랑을 늘어놓는 격이지만 아뭏든 한국학자가 세계 최초로 유행성출혈열의 병원체를 발견하고 그 이름을 한탄강의 이름을 따 명명한 것은 우리 의학사에 처음 있는 ... ...
우리의 실정은 어떠한가? 신물질이 탄생 되기까지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완전한 신물질이 등잘할 것으로 보인다. 예측이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면 심장병약이나
세균
용 항생물질이 국내최초로 접수되는 '완전한' 신물질이 될 것이다.신물질 연구, 더욱 절실해져인류문명의 발달에 커다란 공헌을 해온 원동력은 무엇일까? 그 힘은 자연자원을 현명하게 이용하는 방법을 ... ...
세계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해외 여행자를 노리는 감염증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사전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것 같다.당국의 집계에 의하면 전염병 발생현황은 현재
세균
성이질 37명 장티푸스1백84명 일본뇌염3명 유행성이하선염8백24명이다. 세계적으로 공포의 화제가 되고있는 선천성면역결핍증(에이즈) 환자는 지금까지 38명이 발견되어 그중 4명이 사망하고 1명은 출국했으며 3 ... ...
인류최초의 발견─불의 사용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수 있게 해주었다. 이것은 식량공급을 크게 늘리는 결과를 가져온 것이다. 불은 음식속의
세균
이나 기생충을 죽여 질병을 감소케 했다.마지막으로 인류는 진흙을 구워 단단하게 하는 법을 배웠다. 이리하여 도자기가 생겨나게 되었다. 모래를 가열해 그것으로부터 유리를 만들게 됐으며 광물을 ... ...
꽃이 오래 피게 하려면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곧 폐쇄된다. 또한 물관벽에서 생기는 이상물질도 물관을 폐쇄한다.물관 폐쇄와 관련된
세균
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우선 물을 바꿔야 한다. 또 유기산등을 이용하여 물의 산도를 pH4 정도로 낮춘다. 그리고 하이드로퀴놀린이라는 화학물질을 물 1ℓ에 0.2g의 비율로 소량 희석해주면 큰 효과가 ... ...
아직도 널리 쓰이는 민속요법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효과가 있으나 간장에 담그는 방법은 오히려 화상 부위에 손상을 주거나 이물질 또는
세균
의 침입이 우려되므로 좋지않은 방법이다. 딸꾹질의 의미세번째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민속요법은 딸꾹질이 있을때 ‘물을 마신다’였다. 딸꾹질은 횡경막의 경련으로 인해 발생되는 일시적인 증상인데,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