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도중
사이
틈
중도
동안기후
기후
d라이브러리
"
동안
"(으)로 총 9,454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깊은 곳에 사는 물고기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2
해구 주변을 탐사했어요. 그 결과 수심 약 8143m에 사는 물고기를 발견해 발표했어요. 그
동안
심해어가 발견된 가장 깊은 곳의 수심은 약 7700m였어요. 이번 발견으로 더 깊은 곳에서도 물고기가 산다는 사실을 알게 된 거예요.이번에 발견된 물고기는 이전에 발견된 심해어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어서 ... ...
생체 센서? 이젠 몸에 붙여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2
심하게 움직이더라도 몸에서 떨어지지 않아요. 미끌미끌한 쥐 심장에도 약 3시간
동안
이나 붙어 있으면서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었지요.연구팀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즉, 페트병에 쓰이는 플라스틱으로 두께 1.4㎛(마이크로미터, 100만 분의 1mm)의 아주 얇은 필름을 만들어 그 안에 ... ...
동물들이 싸움을 싫어하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2
생기고, 그 이후에는 더 이상 경쟁이 일어나지 않지요. 이후 무리 내의 평화는 아주 오랫
동안
유지된답니다. 경쟁을 한 뒤에는 경쟁자와의 승패를 기억해 같은 경쟁자와 다시 싸우는 것을 피하기 때문이에요.개체의 수가 아주 많은 큰 무리에서는 모든 경쟁자와의 승패를 기억하기가 어려워요. ... ...
아프리카 치과의사 ‘이뽀븡 아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2
‘이뽀븡 아야’입니다.의료봉사에 참여하려면 마을 네 군데를 거쳐 와야 합니다.그러는
동안
주민들이 겪고 있는 문제를 좀 해결해 주세요. ”미션1 땅을 공평하게 나눠라!이뽀븡 아야의 부탁을 받고 처음 도착한 마을에서는 형제 네 명이 유산으로 물려 받은 땅을 나누는 문제로 싸우고 있었다 ... ...
PART 1. “2015년, 지금은 빙하시대”
과학동아
l
201502
뒤 4000년 만에 사라지곤 했다. 그렇지만 혹시 더 급진적인 변화도 가능할지 모른다. 1000년
동안
급속한 빙하기를 겪었던 영거드라이아스기의 사례는 이런 걱정이 기우가 아닐 가능성을 말해준다. 혹시 최근의 온실가스 증가는 영향이 없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매머드왕국의 최후PART 1 ... ...
[과학뉴스] 컴퓨터, 포커왕 등극
과학동아
l
201502
결정을 내린다. 현재까지 승률 100%다. 보울링 교수는 “어떤 사람이 하루에 12시간씩 70년
동안
단 한 번도 잘못된 결정을 하지 않고 포커를 친다고 해도 케페우스를 이길 수 없을 정도로 신뢰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 ...
[Life & Tech] 막춤의 5가지 비밀
과학동아
l
201502
33명을 대상으로 춤을 추는 실험을 진행했다. 클리닉은 학생들에게 5분씩 하루에 3번, 4주
동안
춤을 추게 한 뒤 뇌 기능을 비교했다. 그 결과 33명 중 27명의 뇌 기능이 향상됐다. 특히 자신의 의지와 무관한 행동을 조절하는 기저핵과, 정서적인 불안감을 담당하는 변연계가 춤을 추기 전보다 활성화 ... ...
[Life & Tech]음주단속 걸렸다면 채혈, 호흡 뭐가 유리할까
과학동아
l
201502
”“말이 안 된다. 단속에 걸린 뒤 채혈까지 30분에서 몇 시간 가량 차이가 있다. 그
동안
당연히 술이 깨지 않겠는가?”인터넷에서 두 주장이 팽팽히 부딪혔다. 음주단속에 걸려 채혈 측정을 해본 이들은 채혈이 더 불리하다며 자신의 억울한 사연을 털어놓았다. 실제 경험담인만큼 설득력이 높은 것 ... ...
[Knowledge] 최정의 86억은 거품일까
과학동아
l
201502
선수들은 FA 때 기존의 활약을 보상받는다.또 하나 고려해야 할 것은 이 선수가 계약 기간
동안
얼마나 높은 WAR을 기록할 수 있는가를 예측하는 것이다. 구단 입장에서는 이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때 고려해야 하는 것은 ‘나이’다. 아무리 날고 기는 선수라도 가는 세월은 막을 수 없는 법이다.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투명하고 안전한 전자피부
과학동아
l
201502
뽑아 투명 전극을 만들었다. 웨어러블 제품에 적용하려면 전극의 탄력도 좋아야 했다. 그
동안
개발된 스프링 구조의 전극 소재는 너무 두꺼워서 빛 투과율이 좋지 않았다. 연구팀은 거미줄을 본 딴 평평한 그물구조의 소재를 만들었다. 신축성과 투명성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은 셈이다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