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
실개천
속
나
d라이브러리
"
내
"(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1억 원 우주관광 티켓의 비밀
과학동아
l
201409
인젝터’ 기술이다. 인젝터는 수백 개의 작은 분무 노즐을 이용해 연료와 산화제를 뿜어
내
는 액체로켓엔진의 핵심부품이다. 핀틀 인젝터는 1950년대 NASA 제트추진연구소가 개발한 것으로, 대형 노즐 하나를 사용해 기존 인젝터보다 싸고 안정적이다. 스페이스X의 개발자 탐 뮐러가 바로 핀틀 인젝터를 ... ...
‘답정너’ 위로하는 방법 있다
과학동아
l
201409
마련이다. 예를 들어 자존감이 낮은 아이는 교사나 부모가 지나치게 칭찬하면 그
내
용을 받아들여 기뻐하는 효과는 잘 나타나지 않았다. 오히려 교사나 부모가 주의 깊게 살피는 문제 학생으로 확인됐다고 생각하며, 더 의기소침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위로라고 하면 무조건 긍정적이고 고무적인 ... ...
뇌과학으로 해결하자! 굿바이 학교폭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9
있다면 친구들이 먼저 다가가면 어떨까? 그 친구가 어른이 되어서도
내
속마음을 맘껏 털어놓을 수 있는 어마어마한 베스트프렌드가 될지도 모르잖아 ... ...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컴퓨터
과학동아
l
201409
발표됐다. 기사에는 양자컴퓨터가 보여야하는 계산속도의 획기적 증가가 없다는
내
용이 실렸다.양자컴퓨터가 아닐 확률이 크다는 말이다. 디-웨이브를 고가에 구매한 사람들이 무슨 생각을 할지 궁금하다. 학계에서는 양자컴퓨터가 실용화되기까지는 아직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말랑말랑 미끌미끌 해조류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9
배에서 꼬르륵 소리가 나더라~. 어서 해조류로 만든 맛있는 요리들을 만나러 가자!바다
내
음 향긋한 해조류, 영양도 만점!해조류에는 몸에 좋은 성분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요. 김은 한 장에 달걀 2개에 들어 있는 만큼의 비타민A가 있어 눈 건강에 아주 좋은 음식이에요. 또 해조류 중에 가장 많은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
수학동아
l
201409
주고받았지만, 사물인터넷 시대에는 기계끼리 자동으로 정보를 주고받는다.예를 들어 국
내
한 통신사가 개발한 ‘지브로(ZiBro)’는 무선주파수 인식시스템과 블루투스로 작동해 반려동물의 실종을 막아 준다.이뿐만 아니라 고속도로 하이패스나 홈 CCTV 등 상용화된 사물인터넷 사례는 많다.미래에는 ... ...
INTRO. 110km에서 슈퍼맨처럼 날아오르다
과학동아
l
201409
15분간 천천히 우주공항으로 활강해
내
려왔다. 2시간에 걸친 짧은 여행이 끝났다. 지금
내
왼쪽 가슴에는 ‘민간 우주인 뱃지(Commercial Astronaut Wings)’가 달려있다. 직접 우주선을 조종한 것은 아니지만, 대기 밖을 다녀온 전 인류의 0.00001%도 되지 않는 사람 중 하나임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제 나는 ...
아프리카에서 가장 무서운 것은?
과학동아
l
201409
잘못하다간 남편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할 수도 있죠. 분만이 다가오면, 자전거로 아
내
를 실어 나를 수 없어요. 상상해보세요. 한밤중에 아이를 낳아야 하는데 6~7km를 걸어가야 한다면 말이에요. 병원은 우리에게 너무 멀어요.”말라위의 사례는 여전히 지구의 많은 나라에서 질병이 단순히 질병의 ... ...
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1409
계속 보시려면?에볼라 쇼크INTRO. 에볼라의 모든 것PART1.전염의 시작BRIDGE. 에볼라가 보
내
온 편지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플라스미드 백신의 원리플라스미드 백신의 원리 ... ...
나의 에디슨은 그렇지 않아!
과학동아
l
201409
”기사에 에디슨이 회의적인 태도를 바꿔 영혼이 존재할지도 모른다고 인정했다는
내
용이 실려 있었지만, ‘어디까지나 증거가 있을 때’라는 전제 조건이 붙어 있는 얘기였습니다. 증거가 있다면야 당연히 이야기가 달라지지요. 그래서 제가 지난 칼럼에 “귀신 같은 건 없다”고 쓰는 대신 “귀신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