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물리학상과학동아 l201411
- 걱정해 주기도 했다. 칸델라 광도의 SI단위. 기호는 cd이다.백라이트 자체로 빛을 내지 못하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뒤쪽에서 빛을 비춰주는 조명을 말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과학상 2014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PART 2. 물리학상PART 3. 생리의학상INTERVIEW 1. 올해 노벨상 ... ...
- 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과학동아 l201411
- 않는다면 미래에 우리는 아무것도 할 수 없을 것이다.노벨상을 받아서 가장 좋은 점은 내가 하고 싶은 연구를 마음껏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도 계속 하고 싶은 분야를 연구할 계획이다. 지금도 주위 연구원들이 퇴근한 뒤에 실험실에 몰래 들어가 혼자 실험을 하곤 한다. 작년부터 ... ...
- [과학뉴스] “신종헌터는 생물역사의 기록자”과학동아 l201411
- 점은 생물역사에는 기록자의 이름, 즉 신종헌터의 이름도 함께 남는다는 것”이라며 “내가 2004년 발견한 새로운 박테리아 문(問)인 ‘렌티스페레’에는 늘 나의 성 ‘CHO(조)’가 따라붙는다”고 말했다.과학동아 카페는 과학 지식에 목마른 일반인과, 현장의 최전선에서 활동하는 과학자가 직접 ... ...
- [hot science] 카톡 정말 믿어도 될까과학동아 l201411
- 카카오톡의 발표대로 서버에 복호키가 저장되지 않으면 서버를 압수수색해도 대화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 비밀의 방은 비밀키를 서버에 남기지 않는 ‘디피-헬만’ 키 교환 방식을 사용한다. 디피-헬만 방식은 시스템에 과부하를 주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적용하기는 힘들다. 그래서 텔레그램도 ... ...
- [과학뉴스] ‘다단계 점프’로 화성에 간 인도과학동아 l201411
- 꼽은 최 실장의 답변은 새겨봄직하다. 정부는 6년 후인 2020년 달 탐사선을 보내겠다는 청사진을 그렸다. ‘안 되면 되게 하라’보다는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라는 속담이 더 필요할 때다 ...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과학동아 l201411
- IT기술에는 문외한이었다. “처음에는 ‘스마트폰 카메라에 격자로 ‘기스’를 내볼까?’라고도 생각했어요. 정말 농담 안하고요.” 오 연구원이 쑥스러운 듯 ‘허허허’ 너털웃음을 터뜨리며 말했다. 수소문 끝에, 외부 업체와 협력해 미세 패턴을 확대해 표시해주는 앱을 개발할 수 있었다. ... ...
- [life & tech] 더럽혀진 선행은 선행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411
- 않을까 싶다. 선한 행동은 귀하고 조금이라도 더 자주 일어나는 게 세상에 도움이 된다. 내가 잘못됐다며 비난한 선행이 사실은 전혀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었고 숨겨진 의도라고 의심되는 것들 또한 전혀 다른 방법으로도 실현될 수 있었다고 생각하는 것은 어떨까? 모두 눈치 보거나 변명할 필요 ... ...
- PART 3. 생리의학상과학동아 l201411
- 설렘에 며칠 동안 잠을 설쳤다.심사 당일, 오키프 교수는 70세에 가까운 나이에도 아직 풋내기였던 나의 논문을 꼼꼼하게 살펴보며 예리한 질문을 던졌다. 인상 깊었던 점은 자신의 이론에 반대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었던 실험 결과에 대해서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나와 동등하게 토론에 임하던 ...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11
- 사라졌으며, Y 염색체의 몰락은 끝이 났고, 앞으로도 이 상황이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근거로 연구팀은 Y 염색체에 있는 12개의 유전자가 심장, 폐, 혈액과 같이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을 합성하는 기능이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즉 Y 염색체가 단순히 자손 번식을 위한 수단만은 ... ...
- [불규칙적인 움직임] 여러분, 브라운 운동 멈추고 정렬하세요!과학동아 l201411
- 위해 사회자가 장내 정리를 위해 말한 문장이 압권이었습니다. 역시 과학자답달까요?“장내에 계신 여러분, 브라운 운동을 멈춰 주십시오. 곧 발표를 시작하겠습니다.”보통 행사라면 나오지 않을 단어가 하나 보입니다. ‘브라운 운동’입니다. 브라운 운동은 1827년 영국의 식물학자 로버트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