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른쪽"(으)로 총 1,888건 검색되었습니다.
- 난제의 비밀을 찾아서#2 수의 세계는 넓고 난제는 많다수학동아 l2010년 05호
- 마방진을 만들어 보자! ★홀수차 마방진 만드는 규칙!1. 윗줄 가운데 칸에 1을 쓴다.2. 오른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움직이며 차례로 숫자를 쓴다.3. 칸을 벗어났을 때는 반대쪽으로 이동해 쓴다.4. 이동할 칸에 먼저 숫자가 있을 때는 아래 칸으로 이동해 쓴다.5. 모서리에 막혔을 때는 아래 칸으로 ... ...
- 수 세기의 지혜, 진법의 발견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선은 1, 10, 100, 1000의 자리를 나타내고 그 사이는 5, 50, 500을 나타낸다. 왼쪽은 907, 오른쪽은 825를 나타낸 것이다.셈돌을 이용해 두 수를 더하면 다음과 같다. 5를 나타내는 칸에 돌 2개가 있으므로 5와 5를 더해서 10의 자리에 셈 돌을 올린다. 100의 자리에는 셈돌 7개가 있으므로 그 중 5개를 1개로 바꿔 ...
- 미로대회 우승자는 누구?수학동아 l2010년 05호
- 길을 찾는 소형 로봇입니다.노버트 위너 박사가 연구한 이론을 그대로 따라 왼쪽 혹은 오른쪽으로만 움직이며 길을 찾아 냅니다. 처음 가는 길은 시간이 많이 걸리지만 반복해서 길을 가면 길 찾는 속도가 빨라지지요.참, 갑자기 생각났는데요. 컴퓨터 게임에서도 미로를 찾아볼 수 있어요. 악당을 ... ...
- 4차 마방진 만드는 방법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쓰면 된다. 즉, 첫 번째 칸에 1을 써야 하는데 직선이 지나고 있기 때문에 반대편인 오른쪽 가장 아래 칸에 쓴다. 2와 3은 그대로 쓰고 4는 다시 반대편에 쓴다. 이렇게 16까지 쓰면 가로, 세로, 대각선의 합이 각각 34인 4차 마방진이 완성된다.마방진은 숫자의 신비를 널리 알기기 위해 만들었다는 ... ...
- 문화재를 되살려라! 문화재보존과학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알 수 있지. 그래서 이번에 복원할 때에는 원래 글씨로 바꿔서 복원했단다(작은 사진 오른쪽). …여기까지 설명해 준 현판이 갑자기 조용해졌어. 우리가 떠날 시간이 다 됐다는 걸 눈치챘기 때문일 거야. 다른 문화재를 만나느라 오래 대화를 나누지 못해서 서운했던 걸까? 하지만 현판아, 우리 유물 ... ...
-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수학동아 l2010년 05호
- - 23도 43분 57초= 125도 86분 70초 - 23도 43분 57초= 102도 43분 13초 60진법 뺄셈법에 익숙하다면 오른쪽과 같이 쉽게 풀 수도 있다. 60진법의 계산을 계산기에 입력해서 풀려면 오히려 복잡하다. 계산기는 10진법 기준으로 만들어 졌기 때문에 분과 초를 모두 도로 바꿔야 한다. 그러면 126.4528과 23.7325 ...
- 빗자루 타고 하늘로 슝~!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4호
- 또한 태양에서 나오는 태양풍을 돛처럼 생긴 막으로 받아 비행하는 상상 속의 우주선(오른쪽)처럼, 미래에는 반중력을 이용해 하늘이나 우주를 나는 우주선이 탄생할지도 모른다 ... ...
- 스피드 레이서 슈마허수학동아 l2010년 04호
- 파란 칸에선 왼쪽으로 가야 한단다. 할 수 있겠지?”“그럼요. 저기 삼거리에서 오른쪽이요.”3 두근두근 그랑프리 예선 일당들로부터 무사히 빠져 나온 일행.“미안합니다. 사실은….”슈마허는 원래 촉망받는 자동차 레이서였다. 그러던 어느 날 팀을 후원하던 후원자가 연락을 끊어돈을 빌려 ... ...
- 구석구석 내 몸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4호
- 해요. 인체치수 자의 까만 부분에 손을 약 5~8초 대면 왼쪽은 정상 체온(36.5℃)일 때, 오른쪽은 약 38℃의 고열일 때 파란 그림이 나와요.(*의료용 기구가 아니니 열이 날 때는 체온계로 정확한 체온을 재세요.)와우! 섭섭박사의 인체연구실에서 놀다 보니 어느 새 내 몸이 신기한 탐구의 대상으로 ... ...
- 화석대소동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4호
- 단서랍니다. ▲ 화성에서 온 운석 ALH84001의 모습(왼쪽)과, 운석 속에서 발견한 미세 흔적(오른쪽).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의 길이는 100㎚보다 작다(1㎚=10-9m).무늬가 예쁜 돌에 미화석이?미화석은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찾아볼 수 있어요. 모든 퇴적암에는 생물, 특히 미생물이 함께 묻히기 때문이지요.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