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멸망시나리오② 10km급 천체가 떨어져 겨울이 찾아왔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생긴 충격파는 열과 바람으로 퍼져나가 충돌 지점에서 1500km 떨어진 곳에 있는 생명까지 모두 즉사시켰다. 잠시 충격파가 만든 굉음이 지구를 지배했다. 몇 분 만에 규모 9~11의 지진이 지구 전역에 발생했고 심지어는 충돌 지점의 지구 반대편에서도 땅이 수m씩 흔들렸다. 충돌지에 면한 멕시코만에는 ... ...
- 사라진 골목의 시계장인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있는데, 나는 예지동 현장에서 단 한번도 압조라는 명칭을 들어본 적이 없다. 기술자들은 모두 오시도리란 명칭을 썼다”며 “반면 2010년대 후반 학원에서 시계기술을 배웠던 한 연구 참여자는 영어 명칭인 ‘세팅레버’란 명칭을 사용했다”고 말했다.작업 문화도 바뀌었다. 신진 시계기술자들은 ... ...
- [논문탐독] 청정 수소 생산의 첫걸음 일체형 전극 소재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여겨지던 촉매 중 하나입니다. 이는 앞서 설명한 AEMWE의 세 가지 성능 저하 요소를 모두 개선한 결과로 풀이됩니다. 우선 그 자체로 높은 효율을 보이는 촉매를 개발했으며, 촉매층과 기체확산층을 통합해 셀 내부의 저항도 최소화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물질 전달 저항은 빈 공간이 많은 구조의 ... ...
- [이달의 책] ‘어션테일즈(The Earthian Tales)' 외과학동아 l2022년 02호
- 그 안의 콘텐츠들은 경계가 없다. 천선란 작가의 한 소설에 나오는 말처럼 ‘이곳에 있는 모두가 서로에게 외계인’이기에 어떤 선도 긋지 않는다. 외계인을 비롯한 소수자, 약자에게 절대적으로 우호적인 세계다. 어션테일즈는 1년에 4호가 나오는 계간지다. 외계인의 투고도 환영한다고 하니,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18화. 해롱호, 낯선 행성에 불시착 하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2호
- 되겠어요. 밖에 나가서 불을 피울 거라도 찾아봐요!”우주선을 고쳐야 하는 루띠만 빼고 모두가 주변을 수색하러 나왔습니다.“헉! 밖에 나오니까 더 추워! 엄청 추워! 추워 죽겠어!”“선장님, 엄살 부리지 마세요. 불을 피우지 못하면 용용에게 정말 큰일이 생길지도 몰라요.”딱지가 재촉했습니다.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광고가 나를 쫓아와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여러분을 쫓아다니게 된답니다. 우리가 디지털 세상에서 검색한 것이나 클릭한 것은 모두 데이터로 저장돼요. 만약 이런 질문에 ‘동의’를 누르면 여러분의 데이터는 쇼핑몰이나 광고업체에 넘어가죠. 그럼 광고업체는 수많은 사람들의 데이터 중 자기 회사의 물건을 검색했거나 특정 제품의 ... ...
- [매스미디어] 해적: 도깨비 깃발수학동아 l2022년 02호
- 배가 수면 아래에서 튀어나오는 장면부터 파도치는 바다, 바닷속에서 나오는 불기둥 모두 컴퓨터 그래픽으로 구현했지요. 물결치듯 움직이는 바닷물과 불은 흐르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유체’라고 합니다. 이런 유체의 운동은 컴퓨터 그래픽에서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 ...
- [그래픽뉴스] 지구상에서 다리가 가장 많은 동물 등장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세계에서 가장 다리가 많은 노래기가 발견됐다. 유밀리페스 페르세포네(Eumillipes persephone)라 이름 붙은 이 노래기는 무려 1306개의 발이 달린 것으로 확인됐다. 본래 노래기는 ‘1000개의 발(millipede)’이라는 뜻인데, 이름과 달리 이제껏 발견된 노래기는 모두 발의 개수가 750개가 채 넘지 않았다. ...
- 인류멸망시나리오③ 1만5000개의 핵무기가 터졌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겪은 마지막 빙하기에 지구 평균 기온이 5℃ 하락했던 것을 감안하면, 냉각의 속도와 폭 모두 인류가 겪어본 적 없는 수준이었다. 육지만 따로 떼어놓고 보면 변화는 훨씬 급격했다. 폭발 다음 해에 북반구의 여름 평균 온도는 유라시아 대륙에서 30℃ 이상, 북아메리카 대륙에서 20℃ 이상 하락했다. ... ...
- [드론으로 본 제주] 독특한 화산의 흔적과학동아 l2022년 02호
- 6%를 차지하지만, 제주 전체에 사는 생물의 46% 이상이 산다. 북방한계, 남방한계 식물이 모두 자라는 독특한 숲이며 천량금을 비롯해 법정보호야생식물인 개가시나무, 희귀식물인 빌레나무 등 600여 종의 식물이 분포해 있다. 제주의 허파로 불리는 이유다. 곶자왈은 지질구조도 특이하다. 울퉁불퉁한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