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분
차별
분할
갈라내기
선별
분류
분리
d라이브러리
"
구별
"(으)로 총 1,704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인도 생존법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알고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가장 안전한 방법은 독버섯인지 아닌지
구별
이 안가는 경우에는 먹지 않는 것이 최선이다.약용식물쑥:쑥은 거의 모든 곳에 자생하는 것으로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특히 섬에 나는 쑥은 약쑥으로 이용된다. 쑥은 지혈작용을 하므로 다쳐서 피가 날 때 ... ...
1. 신비한 고래의 생태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능력은 눈의 역할을 하는 초음파 수신기관이 형태나 재질에 따른 미세한 파동의 차이를
구별
해낼 만큼 발달돼 있다는 것을 뜻한다.더욱 흥미로운 점은 돌고래가 매우 장난을 좋아한다는 점이다. 이들은 종종 시속 70km로 헤엄치며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며 배와 수영시합을 한다. 또 거의 모든 물체, ... ...
여름에 보는 천체 베스트 10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되지만 2천 광년이나 떨어져 있어 망원경 속에서 매우 작아 보인다. 쌍안경으로는 별과
구별
하기 어렵지만 8인치 망원경이면 타원형의 속이 빈 고리가 뚜렷하게 보인다. 중심별은 너무 어두워(15.4등성)작은 망원경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5. 작은여우자리와 M27(아령성운)행성상성운, 크기=8x4′ 광도=7.6 ... ...
전갈이 뜨면 오리온은 지고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일직선으로 놓여 충이 된다. 밝기는 7.8등급, 시직경 2.3초로 망원경으로 보아도 보통 별과
구별
하기 쉽지 않다. 사진은 지난 5월 31일 새벽에 찍은 염소자리 모습니다. 쌍안경으로 찾아보면 지난 2개월 사이에 해왕성이 약간 이동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8월 3일에는 염소자리 중앙에 있는 ... ...
호박속 공룡 DNA는 진짜일까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다른 DNA에 의해 오염된 것을 추출한 가능성이 높다는 것과 어느 시대의 DNA인지를
구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지금까지 발견된 호박 속의 고대동물 DNA는 믿을 수 없다는 것."우리들은 지난 3년 동안 고대동물의 DNA를 추출할 수 있다고 믿는 과학자들이 이뤄낸 성과를 같은 방법으로 검증했다. ... ...
맛과 냄새의 조화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있다.특히 미각과 후각은 생명체가 생명현상을 유지하기 위해 영양소와 독성분을
구별
해내기 위해 발달된 감각이다. 사람들은 모두 단맛을 좋아하는데 이것은 진화과정 중 숲에서 살 때 과일을 주식으로 삼던 흔적으로 해석된다. 쓴맛을 싫어하는 것은 대개의 독성 성분이 쓴맛을 가지므로 이를 ... ...
DNA는 생물 블랙박스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사람의 유전체 중 염색체 6번에 위치한 MHC(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의 유전자들이 인종
구별
, 개인식별, 골수이식 대상선정 등에 사용된다. MHC 유전자 분석결과도 인류가 크게 두 부류로 나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미토콘드리아의 유전 정보근래에 와서 색다른 연구보고가 나와 과학자의 관심을 ... ...
날개 있는 공룡?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현대의 새에서 솜털로 불리는 털과 닮았다. 하지만 연구자들은 이 털과 조류의 털을
구별
해내기는 어렵다면서 최종적인 판단을 보류한다고 밝혔다.한편 늑골에 2개의 달걀 모양의 찌꺼기가 포함돼 있는 것으로 미루어 이 동물은 확실히 육식동물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찌꺼기는 아마 마지막 ... ...
인간과 동물 어떻게 대화하나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냄새로 감지해내는데, 이는 생물학적으로 동일인으로 간주되는 일란성 쌍둥이를 개가
구별
하지 못하는 것으로 증명된다.그러나 교도소 탈주범을 좇는 영화의 장면처럼 개가 물건에 남아 있는 사람 체취를 통해 실종자를 찾는 것은 아니다. 산악사고처럼 1분 1초가 급한 상황에서 실종자의 물건을 ... ...
입맛의 생리학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매운 맛은 미각이 아니라 통각에 속한다. 대체로 사람은 최대 2백가지의 복합적인 맛을
구별
할 수 있다.여기서 하나의 질문에 답해보자. 수입 과일인 자몽의 맛은 쓴가? 아니면 그저 달달한가? 어떤 사람은 자몽의 맛이 매우 써서 사람들이 왜 이런 과일을 먹는지 모르겠다고 생각할 것이다. 이번에는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