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하늘
허공
천계
안테나
안테너
공간
d라이브러리
"
공중
"(으)로 총 1,353건 검색되었습니다.
2 악천후 불문, 저공 침투 가능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공증전용 무장으로 20mm 구경의 발칸포를 장착하고 있으며 휴대탄발수는 5백12발이다.
공중
공격용 유도탄은 사이드와인더 스패로우 알람 등을 장착할 수 있고 총 8발의 공대공 미사일이 장착가능하다. F-15E에는 공대지 유도탄과 함께 5발의 핵폭탄도 탑재할 수 있다. ■F-16 전투기/기동성 ... ...
헬륨기구 타고 세계일주 대모험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부딪쳐 목숨을 잃기도 했다. 그로부터 2년 후 기구비행의 선두주자였던 벤 아브루조도
공중
에서 산화했다. 이번 '지구풍'의 선장인 뉴먼은 미국에서도 대단한 부호인데 절친한 사이였던 아브루조의 죽음을 헛되이 하지 않기 위해 지구순회 비행에 나서게 됐다고 밝히고 있다.또 하늘에 오래 머물러 ... ...
남해안 철새도래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과학교사들의 생생한 현장학습을 위한 생태계탐사가 1월24일부터 5일 간 겨울 철새도래지인 남해안 일대에서 개최됐다. '과학동아'와 '동아문 ... 육지에 올라와 암벽에만 똥을 싼다는 것을 눈으로 확인한 것도 큰 수확. 가마우지의
공중
변소가 된 암벽은 새하얄 정도로 새똥 범벅이 돼 있었다 ... ...
플라스틱 용어 이것만은 알아두자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볼 수 있다.ABS 수지PS의 일종으로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부타디엔(butadiene) 스틸렌의
공중
합체. 미국 유에스러버(현 유니로열)사가 1940년대에 개발했으나 1954년에야 공업생산이 이뤄졌다. 내충격성 내약품성 광택 전기적특성 가공성 등이 우수하며 가전제품(각종 케이스) 자동차부품 문구 헬멧 ... ...
(1) 21세기는 무선통신 천국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극초단파에서는 우선 UHF 텔레비전방송(500~752㎒)을 꼽을 수 있고, 특히 8백㎒대역이 현재
공중
이동통신전화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대역이다. 그림1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주파수의 재이용과 셀분할개념으로 이루어진 셀룰러(cellular)전화시스템은 차량탑재전화기나 휴대형전화기같은 이동국과 어떤 ... ...
(2) 전자기학을 확립해온 사람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88~108㎒)을 점유하고 있다.VHF방송에 12개의 채널이 정해진 것은 임의적인 것만은 아니다.
공중
에서 하나의 전파가 이동할 때 다른 전파와 부딪쳐 혼신, 감쇄 등의 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려면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주파수 구간이 있어야 하는데 이를 흔히 주파수 대역(帶域)이라고 부른다. 우리나라의 ... ...
클레오파트라의 바늘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금속 불순물들과 아황산가스가 반응하여 부식의 피해가 더 크다.중국에서는 산성비를 '
공중
귀(空中鬼)'라고 부른다는데, 굴뚝과 자동차에서 뿜어낸 오염물질들이 어느새 산성비로 변하여 도시의 곳곳을 파괴하고 실내에까지 숨어 들어와서 귀중한 물건들을 망가뜨린다니, 환경오염을 잘 모르는 ... ...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중생대에 번창한 육지의 대형 파충류다. 어룡(魚龍)과 익룡(翼龍) 등 바다와
공중
에서 살았던 파충류까지 공룡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있으나 이는 다르다.1억5천만년 이상 지구를 지배했던 공룡이 갑자기 멸종된 이유는 무엇일까. 도대체 어떤 사건이 일어났길래 갑자기 사라졌을까. 여기에는 약 ... ...
특집1 알루미늄보다 가볍고 철보다 강한 '꿈의 소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사용하는 것으로 역할분담을 해왔으나 그 구분이 모호해지면서 한치의 양보없는 '
공중
전'을 펄치고 있는 것이다.알루미늄 산업의 거인 미국 알코아사와 티탄산업의 선두주자 미국 타이메트사는 항공기의 경량화를 자신이 책임지겠다고 호언하고 있는데, 그들은 듀랄루민의 일종인 특수합금(polished ... ...
심해 잠수정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실을 수 있으며 장기간 항해도 가능하다. 원격탐사(remote sensing) 방법은 주로
공중
에서 관측하며, 기구(氣球) 비행기와 인공위성 등이 사용된다.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이 방법은 넓은 수역을 관측하며 동시성(同時性)도 높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이지만 주로 해면(海面)에 대한 정보에 국한된다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