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하늘
허공
천계
안테나
안테너
공간
d라이브러리
"
공중
"(으)로 총 1,353건 검색되었습니다.
3 통신·방송용 상업위성 세계 구석구석 연결, 동시생활권으로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현재 유텔새트 I계열 위성 2기와 II계열 위성 2기가 운용중이며 유럽내의 모든 회원국간의
공중
통신서비스 (전화 전신텔렉스 데이터 전송 및 TV 전송)를 제공하며 위성운용 지원에 필요한 감시와 제어 및 기타 지상에 필요한 설비를 운용하고 있다.이밖에도 아랍지역 간에 아랍위성통신기구(ARABSAT)가 1 ... ...
지의류 생태계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협곡이나 바위틈에서 수집할 수 있다. 가끔 사막의 바람이 이 지의를 끌어올려서
공중
높이까지 운반한다. 그 파편은 비처럼 떨어져서, 땅위에 1인치 두께로 덮인다. 이러한 지의를 하늘에서 떨어진 빵이라고 쿠르드족은 말한다. 몇몇 학자들은 이것이 성서에 나오는 만나(manna)라고 한다. 이스라엘 ... ...
비틀대는 한국과학기술의 「싱크탱크」 활로는 없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있기 때문에 원천 및 공공기술과제는 'G7'에 흡수되지 못한채 연구비가 중단되어
공중
분해되고 있는 것이다.일례로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수행하던 극한기술과 초정밀측정기술은 국책과제 1차년도사업이 끝나는 올해로, 고온초전도체 기술개발은 내년도를 기점으로 연구가 종료될 운명에 놓여 ... ...
쓰레기 속에서 진주 찾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그런데 새로 발명된 팽이는 축을 자석으로 만들고, 실로 매단 쇠고리에 축을 흡착시키면
공중
에서 마찰도 적게 돌아가도록 만들어 졌다.주위를 살펴보면 이같이 익살스럽고 흥미있는 발명이 의외로 많다. 벙어리장갑은 양말에서 비롯된 발명이고, 다섯 발가락을 분리한 양말은 장갑에서 비롯된 ... ...
오존측정용 과학로켓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싣고 올라가는 것도 아니며 올라가는 시간과 내려가는 시간을 포함해 5분 동안만
공중
에 머물면서 지상에 관측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KSR420S라 명명된 이 로켓은 시스템이 상대적으로 간단한 반면에 부여된 임무는 매우 뚜렷하다. 로켓의 상단 부분에는 오존측정장치가 실리게 되는데 이 측정기는 ... ...
머리좋은 생물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문어는 감금상태에서 빠져나오는 길을 찾는데 천재적이다. 탱크위로 올라가고 잠시
공중
을 날다시피까지 한다. 또한 물체를 집는 등의 일을 가르쳐주면 배우기도 한다. 최근 나폴리동물연구원의 연구원들은 문어가 보다 큰 뇌를 가진 생물들만이 갖는 능력이라고 믿어왔던 보고 배우는 능력이 ... ...
4. 한국체육과학 연구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종목의 시뮬레이션에도 이용된다. 동역학과 실전 데이터를 이용해 컴퓨터로 여러가지
공중
동작을 미리 모의실험함으로써 훈련 효율을 높이고 선수들의 부상도 사전에 예방하는 이중효과를 거둔다고 한다.야구 커브볼의 과학적 분석과 신발 스포츠웨어 등 운동용구에 관한 연구도 이 연구실에서 ... ...
4 속도 따라 엔진이 변신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정확한 FBL(Fly-By-Light)이라는 광섬유 신호처리 방식이 점차 실용화된다는 점이다. 항
공중
진국 도약 가능성항공기술은 항공기 고유 기술 뿐만 아니라 기계 전자 재료 광학기술 등의 최고봉을 응집시키고 이들을 상호 보완시키는 대표적인 종합기술이다. 더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가전제품 자동차 ... ...
화면속에 뛰어들어 실제체험 느끼는 가상현실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나타나 대중적인 인기를 독차지하고 있는 영국의 W 인더스트리사(社)는 제트전투기의
공중
전 게임 (Virtuality 1000 SD)을 선보였다. 액정표시창(液晶表示窓)이 장착된 아이폰과 광섬유가 깔려있는 손장갑을 낀 사람은 게임에서 3백60°의 3차원 시야에 나타난 적기를 조준경의 십자선(十宇線)에 맞추고 ... ...
3 날틀에서 점보기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사는 정평구선생이 따오기 모양을 한 비차를 만들어 날개로 배를 치며 바람을 일으켜
공중
에 떠올라 백척을 능히 날 수 있었다. 그러나 맞바람(양각풍)이 불 때는 앞으로 날아갈 수가 없으며, 회오리 바람(광풍)이 불 때는 날지 못하고 떨어진다."또 호서지방의 노성에 사는 윤달규선생도 비차를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