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심
두려움
무기력
소동
비겁
불실
변절
d라이브러리
"
겁
"(으)로 총 2,152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4배체 유전자 개구리, 세계 최초로 해독한 과학자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배체 종에 도전해 보자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산 넘어 산, 쉽지 않았던 7년간의 공동연구
겁
없이 도전했지만 4배체 동물의 유전체를 해독하는 것은 말처럼 쉽지 않았다. 유전체를 해독할 때는 수십 개에서 100여 개에 이르는 짧은 염기 단위로 잘라(단위 염기서열) 각각 읽어낸 뒤 이를 이어 붙여 전체 ... ...
[현장취재] 왕귀뚜라미 대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귀뚜라미들은 싸울 생각이 없어 보였어요. 대부분 한 녀석이 시비를 걸어도 다른 녀석이
겁
을 먹고 도망가기 바빠 싸움은 좀처럼 일어나지 않았지요. 딱 한 번 두 귀뚜라미가 빠르게 더듬이를 부딪쳤는데, 한 번의 펜싱으로 승부가 결정나 버렸어요. “우리 동물행동학자들의 실험이 사실 이래요.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피에로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해결하시고요. 최종 미션은 어질러져 있는 식탁 위의 재료들을 순서대로 나열하는
겁
니다! 문제를 맞히면 갓 구운 맛있는 빵을 드립니다!”비주얼 과학 개념 이해하기우리가 마시는 음료수는 산성? 염기성?우리 주변에는 수많은 용액이 있어요. 용액이란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 고르게 섞여 있는 ... ...
[숲이야기] 광릉숲에서 만난 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시력이 떨어지거나 호흡곤란으로 사망할 수도 있답니다.또 살모사는 동작이 느리고
겁
이 없기 때문에 사람을 만나더라도 피하지 않고 오히려 노려보거나 공격행동을 취해요. 따라서 살모사를 발견하면 재빨리 그 자리를 피하는 것이 가장 좋답니다. 다른 독사도 마찬가지랍니다.독사를 피하기 위한 ... ...
Part 4. 상괭이를 지키는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반가운 소식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상괭이들을 찾아다니며 도와주는 사람들이 있다는
겁
니다. 이런 소식을 듣고 가만히 있을 수 없겠죠? 네 발에 마이크, 수첩, 볼펜, 카메라를 들고 현장으로 달려가 봤습니다.상괭이 프로젝트서울환경연합에서는 ‘상괭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어요. 이 ... ...
[Editor’s note] 수학과 함께 연말을 보내요~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신청하세요.이 날 드리는 선물이 어디서 어떻게 왔는지는 이번 특집 기사를 보시면 알
겁
니다. 후훗. 크리스마스와 연말을 맞아 수많은 선물이 오가는 과정에서 어떤 수학을 찾을 수 있는지 살펴보세요. 2016년의 마지막 호도 최대한 알차게 꾸몄습니다. 기획 기사에서는 위상수학이 바꿔 놓을 미래 ... ...
[재미] 마왕의 등장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이번에는 내가 물러나지만 이게 끝은 아닐거다!”“으아악!”단은 탑이 무너지는 소리에
겁
을 먹고 두 팔로 머리를 감싸 안은 채 소리를 질렀다. 얼마나 지났을까? 아무런 소리도 나지 않는 적막함에 단은 고개를 들었다. 탑은 완전히 무너져 내려 더 이상 형체를 알아볼 수 없게 됐다. 그렇게 마왕과 ... ...
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지도만은 아닙니다. 전문적인 화산 연구기관이 없는 나라도 OECD 국가 중에서 우리뿐일
겁
니다.” 손영관 경상대 지질학과 교수는 기관과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현실을 강하게 비판했다.실제로 국내 지질학자 중에서 정확히 ‘화산학(Volcanism)’을 전공한 학자는 거의 없다. 화산학으로 학위를 해도 ... ...
Intro. 미래의 모습 위상수학에 묻다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있나요? 강으로 가봅시다. 많은 다리가 있지만, 이처럼 구멍이 숭숭 뚫린 다리는 없을
겁
니다. 그런데 미래에는 모든 다리가 이런 모양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는 2016 노벨 물리학상의 주역으로 ‘핫’한 위상수학과 관련이 있다고 하는데요. 이상한 모양으로 다리를 만드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
[수학 뉴스] 반칙하는 놈 잡아내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교수가 게임이론의 응용 분야인 ‘조사 게임’을 한 단계 발전시킨 연구 결과를 발표한
겁
니다. ‘조사 게임’이란 규칙을 지켜야 하는 피조사자와 반칙을 적발하는 조사관이 어떻게 행동할지 예측하는 수학 모형입니다.피조사자는 규칙을 어기면 보상을 받지만 들키면 벌을 받습니다. 조사관은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