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뉴스
"
인간
"(으)로 총 6,98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이 만든 화학물질, 자연에서 분해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7
자연에서 분해되지 않는 화합 물질 실리콘. 게티이미지뱅크 과학자들이 실리콘과 탄소의 결합을 깰 수 있는 효소를 개발했다. 쉽게 분해되지 않아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실리콘을 생분해할 수 있는 단서를 자연에서 찾아냈다는 평가다. 프랜시스 아놀드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 교수 ... ...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얼굴, AI가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24.01.27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웰 교수는 “
인간
이 더 이상 AI 얼굴을 가려낼 수 없으므로, AI 사기꾼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며 “큰 문제가 생기기 전에 AI 기술의 투명성이 높아져야 한다”고 말했다. 정답공개. 과학동아 제공 ... ...
사자·코끼리 생태도 바꿨다…사바나 먹이사슬 '싹' 바꾼 개미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megacephala)들이 인도양에서 아프리카 지역으로 유입되면서 공생관계가 깨지기 시작했다.
인간
에 의해 케냐에 처음으로 상륙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확실한 경로는 알려지지 않았다. 큰머리 개미들은 개미알을 먹어치우는 등 토종 아카시아 개미들을 공격했다. 토종 개미가 새로운 개미에 밀려 자취를 ... ...
'생애 단 3주' 잠까지 줄이며 교미하는 작은 포유류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결과를 얻고 국제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2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수면은
인간
을 포함한 대부분 동물군에게 필수적인 생존 행위로 간주된다. 그럼에도 상황에 맞춰 수면을 줄이는 동물들이 발견되고 있다. 앞서 2012년 레스쿠 교수 연구팀은 수컷 도요류가 3주에 걸친 짝짓기 시기의 95%는 ... ...
인간
의식의 기원 찾는 과학자들...두번째 결론 곧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인간
의 고유한 특성으로 보지 않는다. 감각을 처리하는 정도에 차이만 있을 뿐 동물 등
인간
이 아닌 존재에게도 의식이 있을 수 있다는 관점이다. 우주만물에 정신이 존재한다고 여기는 범심론을 지지할 수 있다. 전역신경작업공간이론은 뇌가 감각신호를 선택하고 정보로 만들어 뇌의 분리된 ... ...
'사랑의 호르몬' 옥시토신, 괴롭힘·패배 기억 형성에도 관여
연합뉴스
l
2024.01.25
사회 불안 같은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쥐도
인간
처럼 복잡한 사회 집단에서 살면서 영역 다툼을 하고 짝짓기를 위해 싸우는 등 갈등을 겪는다. 이 과정에서 패한 쥐는 이후 상대방을 피하는 등 자기방어 행동을 한다. 연구팀은 경쟁 관계 생쥐를 한 공간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
2024.01.24
도움이 될 전망이다. 현재 조수라발핀의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박테리아와 항생제(
인간
)의 싸움에서 결국은 박테리아가 이길 것이라고 말하고 실제 그런 쪽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그렇다고 손 놓고 있을 수는 없다. 박테리아에 감염하는 바이러스인 박테리오파지를 치료제로 쓰는 파지요법 ... ...
코로나 변이에 맞서 진화하는
인간
면역시스템
동아사이언스
l
2024.01.22
백신을 맞은 후 또 오미크론에 감염돼도 기억-T세포의 반응이 강화돼 감염병이 중증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종식 이후에도 새로운 '변종'들이 산발적으로 출현하고 있어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바이러스가 제 모습을 바꿔 공격력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
의 쓰임새에 따라 달라진 식물 분포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1.21
분석했다. 분석 결과 식물종의 분포는
인간
의 쓰임새와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인간
이 특별한 쓰임새로 사용하는 식물일수록 그 지역에서 식물종의 풍부도가 증가했다. 예를 들어 양봉이나 양잠을 생업으로 삼는 사람들이 사는 지역에선 꿀벌과 누에가 좋아하는 꽃이 다양하게 자라났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계획대로 일이 되지 않는 이유
2024.01.20
시간 맞춰서 과제를 제출하는 사소한 일부터 다리를 만들고 빌딩을 세우는 큰 일까지
인간
이 하는 거의 대부분의 일들이 처음의 예상을 벗어나기 마련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일이 마무리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늘 과소평가 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를 계획 오류라 부른다. 우리가 늘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