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뉴스
"
먹이
"(으)로 총 1,272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렙타일
과학동아
l
2015.05.28
줄어드는데, 이럴 때 조금만 먹고도 살아갈 수 있게끔 몸집을 축소시키는 것이다. 반대로
먹이
가 풍부해지는 라니냐 때는 다시 몸집을 키운다. 바다이구아나들이 이렇게 몸집을 줄일 수 있는 비결은 뭘까. 과학자들은 엘리뇨가 심했던 1992년부터 1993년 사이에 바다이구아나들의 몸집이 최대 20%까지 ... ...
장수하는 식습관,
먹이
사슬 중간단계 생선이 몸에 좋다? 이유 보니
동아닷컴
l
2015.05.27
식사를 하면서 매일 생선을 조금씩 먹는다. 가장 좋은 생선종류는 멸치나 대구처럼
먹이
사슬의 중간단계에 위치한 생선들이다. 이런 생선 종류는 수은을 비롯한 유해물질에 상대적으로 덜 오염되기 때문에 보다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 장수하는 식습관 네 번째는 원재료를 식별할 수 있는 상태로 ... ...
[광화문에서/윤신영]‘잡식 가족’을 許하라
동아일보
l
2015.05.19
팔자는 매한가지였지만 그래도 돼지의 삶의 질이 달랐다. 감독과 아들은 돼지에게
먹이
도 주고 더운 날 물도 뿌려주며 접촉을 늘려갔다. 돼지가 그저 ‘고기’의 공급원이 아니라는 것을 느끼게 되자 아들도 점차 엄마의 마음을 이해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런 교감도 도축장으로 가야만 하는 ... ...
인공 빛이 당신을 살찌게 만든다
2015.05.12
가장 적게 먹은 것으로 나타났다. 12시간, 16시간 동안 빛을 쪼인 쥐는 하루 평균 3g 이상
먹이
를 섭취했지만 24시간 동안 빛을 쪼인 그룹은 3g이 채 되지 않았다. 하지만 쥐의 체중은 오히려 24시간 동안 빛을 쪼인 그룹이 가장 많이 증가했다. 체지방을 비교하자 세 그룹 간의 차이가 더욱 확연히 ... ...
딱따구리와 동고비의 못 말리는 자식 사랑
2015.05.08
물어 나르는 아빠 동고비를 본 적이 있다”면서 “둥지에는 들어가지 않고 입구에서
먹이
를 건네는데, 흠뻑 젖은 몸이 새끼에게 도움이 되지 않음을 아는 모양”이라고 말했다. ... ...
양자택일의 상황, 내가 골랐나 무의식이 골랐나
2015.05.06
뇌 신호가 활성화된 뒤 실제로
먹이
를 선택한 것이다. 하지만 8번에 한 번 꼴로 먼저
먹이
를 선택 한 다음에 뇌파가 변하는 모습도 관찰됐다. 생각보다 행동이 앞서 나타난 것이다. 렌즈를 4초간 노출시킨채 촬영한 도로 사진. 운전을 하는 상황에서 우리의 의사결정이 얼마나 복잡한 지 짐작할 수 ... ...
물고기 떼 한 입에 호로록~ 흡입하는 고래, 비결이 뭐니
2015.05.05
고래가
먹이
를 먹는 모습을 그래픽으로 나타냈다. - 브리티시컬럼비아대(UBC) 제공 코끼리와 대왕고래(Balaenoptera musculus)는 둘 다 거대한 몸집을 자랑하지만 음식을 먹는 모습은 사뭇 다르다. 코끼리는 풀을 입에 넣고 야금야금 씹는 반면 대왕고래는 한 번에 거대한 물고기 떼를 ‘호로록’ 삼켜 ... ...
‘멍~ 때리는 동물?’ 파충류는 억울해
과학동아
l
2015.04.29
때 과연 어떤 묘수를 발휘해 사냥을 할지 알고 싶었다. 이를 위해 뚜껑이 덮인 그릇 속에
먹이
인 곤충을 넣고 아놀도마뱀 앞에 둬봤다. 위에서 먹잇감을 덮치는 아놀도마뱀의 사냥법은 전혀 통하지 않았다. 결과는? 놀랍게도 실험에 참가한 도마뱀 중 3분의 2가 새로운 사냥법을 스스로 터득했다. ... ...
티라노사우루스도 노아의 방주에 탔을까?
과학동아
l
2015.04.28
동물은 환경 변화에 매우 민감해서 조금만 변해도 죽어버리곤 합니다. 코알라처럼 특정
먹이
만 먹는 동물도 있고요. 육식동물은 다른 동물을 잡아먹고 살아야 하지요. 무엇보다도 전 세계에 있는 동물을 어떻게 다 모을 수 있었다는 걸까요? 남극까지 가서 펭귄을 데려왔을까요? 이에 대한 대답이 ... ...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
과학동아
l
2015.04.27
해도 촉각이 남다르다”고 설명했다. 녀석들은 민감한 부리를 모래나 진흙 속에서
먹이
를 찾을 때 적극 활용한다고 한다. 모래에 부리를 박아 모래 알갱이 사이에 있는 극미량의 물로 압력파를 발생시키는데, 먹잇감이 있는 경우 압력파에 교란이 생기면서 탐지가 가능하다. 귀가 특히 밝은 새들도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