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뉴스
"
먹이
"(으)로 총 1,307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해커’를 아십니까
2015.07.19
모이는 축제다. 이들은 항암 성분이 포함된 맥주를 개발하거나 미생물에게
먹이
를 적절하게 제공하는 스위치를 개발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한다. 바이오해커의 목표는 어디로 향하게 될까. 애초의 바람처럼 누구나 생명공학 기술에 수혜를 입을 수 있는 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을지, ... ...
종이 판다 아닌 야생 판다가 풀밭에 있다면?
2015.07.12
하는 이유가 판다의 장내 미생물에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판다는 대나무가
먹이
인 만큼 초식동물의 장에서 많이 발견되는 장내미생물이 있어야 하지만 오히려 육식동물과 잡식동물처럼 대장균과 스트렙토코코스(Streptococcus)가 많았다는 것이다. 당시 연구를 진행한 지아오얀 팡 ... ...
파도따라 밀려온 ‘독한 놈들’ 일단 피하는 게 상책
2015.07.11
바닥이나 자갈 바닥을 느릿느릿 기어 다니는 청자고둥이 생존을 위해 빠르게 움직이는
먹이
를 잡을 수 있도록 진화를 통해 얻은 무기다. 청자고둥 중에서도 물고기를 잡아먹는 종은 ‘글라콘트리판-엠’이라는 독을 지니고 있는데 이 독은 특히 강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자고둥의 강한 독을 ... ...
[수도권]서울대공원 “도전! 멸종위기 금개구리 복원”
동아일보
l
2015.07.10
수천 개의 알을 확보했다. 금개구리 올챙이의 입이 다른 올챙이보다 작은 것을 고려해
먹이
급여도 성공적으로 조절하고 있다. 금개구리 올챙이는 작은 열대어 사료와 배춧잎을 주로 먹는다. 이 주무관은 “다른 개구리도 몇 차례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증식에 성공했다”며 “방사 시기는 금개구리 ... ...
아픈 야생동물, 약
먹이
는 게 좋을까?
2015.07.08
새는 생존율이 높았지만, 늦게 태어나는 새끼는 생존률이 낮았다. 또 늦게 태어나는 새는
먹이
부족 등으로 2차 감염 위험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나 그랜로스-윌딩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야생동물의 군집에서 감염병의 전파를 연구했다는데 의의가 있다”며 “기존 질병 연구에서는 ... ...
“바다뱀 찾아 주시면 사례금 100만 원 드립니다”
2015.07.08
국내 자생종인지 열대지방에서 유입된 종인이 확인할 계획이다. 또 바다뱀을 기르며
먹이
등 생태도 연구할 생각이다. 박 교수는 “바다뱀은 세계적으로도 57종만 확인된 특이 종”이라면서 “바다뱀은 생물다양성 측면에서도 중요하지만 맹독성 생물인 만큼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서도 ... ...
멕시코만 원유 유출 5년, 생태계 살아났나?
2015.07.06
반면 우리나라 태안이나 멕시코만은 따가운 햇빛이 기름을 분해하고 미생물이 활발히
먹이
로 삼으면서 빠른 회복세를 보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물론 기름유출로 큰 피해를 본 생물들도 많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큰돌고래로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기름유출로 상황이 악화된 것만은 ... ...
고양이 오줌 냄새가 겁 없는 쥐 만들어
2015.07.06
고양이 오줌 냄새를 두려워하지 않는 쥐는 고양이가 오더라도 피하지 않아 고양이
먹이
가 되기 마련이다. 연구팀은 고양이 오줌 냄새 중에서도 쥐에게 영향을 미치는 냄새 물질은 ‘펠리닌(L-Felinine)’이라고 밝혔다. 이 물질은 이전 연구에서 암컷 쥐의 임신을 방해하는 등 쥐의 생식에 미치는 ... ...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06.30
보금자리를 꾸미는 방식으로 성장한다. 하지만 먼 후손인 연체동물이 이 생물막을
먹이
로 삼기 때문에 스트로마톨라이트를 만들기란 쉽지 않다. 다만 염도가 높은 특수한 조건에서는 연체동물이 살 수 없기 때문에 스트로마톨라이트가 만들어진다. 샤크베이 말고도 살아있는 스트로마톨라이트를 ... ...
대나무 없인 못살아! 판다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6.30
그래서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뒤 판다는 대나무를 많이 먹을 것인지, 아니면 다른
먹이
를 찾아 살고 있는 터전을 떠날 것인지 결정해야 했어요. 최종적으로 판다는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지 않고 중국 서부에서 대나무를 먹고 살기로 결정했고, 지금과 같은 초식 동물이 됐답니다. ※ 더 많은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