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최강 IT기술 이제는 바다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경계를 만날 때마다 굴절이나 반사가 일어나기 때문에 공기 중에서 사용하던 방식에는
한계
가 있다. 큰돈을 들여 개발한다 해도 바다 속 통신 기술이 시장성이 과연 있을지는 또 다른 문제다.GIST의 한러 MT-IT 융합기술 연구센터장 김기선 교수는 이런 바다 속 통신 기술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 ...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변신로봇이 팔을 들수 있을지 몰라. 하지만 더 무거운 걸 들거나 큰 힘을 쓰기에는
한계
가 있어.사람의 팔은 자기 무게의 수십 배에 달하는 무게도 들 수 있단다. 동물에게는 유연하고 힘 센 근육이 있기 때문이지. 변신로봇에게도 사람 같은 근육을 만들어 준다면 사람처럼 몸을 자연스럽게 움직일 ... ...
수학으로 우사인 볼트를 더 빨리 뛰게 만들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7월 런던 올림픽을 앞두고 세상에서 가장 빠른 사나이 우사인 볼트가 자신의 100m 세계신기록인 9초 58을 9초 40으로 앞당기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 9초 40에는 미치지 못한다. 이번 런던올림픽에서 볼트가 자신의
한계
는 물론, 통계적인
한계
까지 뛰어넘는 기적을 만들어 낼지 기대해 보자 ... ...
종이 한 장으로 접는 예술, Origami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불린다. 그가 증명하고 발견한 종이접기에 관한 수학과 공학 이론은 종이접기의
한계
를 넘어섰다는 평을 받고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랭 박사의 작품 ‘나비’의 제작 과정을 자세히 살펴 보자! 특별인터뷰로버트 제이 랭 박사의 작업실Happy Folding!"오리가미 세계에 오신 여러분을 진심으로 ... ...
[시사] 난쟁이 행렬과 평균의 진실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어렵다. 이런 착시가 일어나는 이유는 ‘산술평균’ 때문이다. 이번호에서는 산술평균의
한계
를 짚어 보고, 파레토의 법칙과 지니계수도 알아보자.펜의 ‘난쟁이 행렬’우리나라의 1인당 *GDP는 2만 591달러(2011년 국제통화기금 경제전망보고서)다. 이 돈을 원화로 환산하면 1년에 1인당 2300만 원 ... ...
낙엽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황촉규’ 식물의 뿌리를 으깨어 즙을 낸 것으로 종이가 잘 엉기게 한다. 학생들이
한계
에 부딪힐 때 도움을 줬던 분이 바로 박지원 선생님이었다.“전주 한지 박물관에 한지를 만드는 체험활동이 있어요. 거기라면 닥풀이 있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결국 닥풀거래처를 알아냈습니다.”종이를 ... ...
100배 더 정확한 핵 시계 등장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연구진을 이끈 플람바움 호주 NSWU 교수는 “이번 원자 핵 시계 개발로 정확도에 있어서
한계
를 보이고 있는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
수능 과학탐구를 정복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과목을 중심으로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기초가 없으면 성적을 올리는 데는
한계
가 있다.수능 과탐! 이렇게 정복하라1) 학교 공부와 교과서가 기본이다. 수능은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을 측정하는 시험이므로 기본 핵심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 ...
쏠라 포스! 해를 품은 에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않은 민물로, 생활 용수나 산업 용수로 많이 쓰지만 지하수나 강물로는 양이 부족해
한계
가 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의 곽희열 책임연구원은 태양열 집열기를 이용해 바닷물을 뜨겁게 데운 후, 바닷물을 담은 통의 기압을 조절해 끓는점을 낮춰 물을 빠르게 증발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높은 ... ...
차세대 원전, 바다를 넘보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생산함)에 유리하다”는 장점은 바로 이런 바탕에서 가능했다.하지만 대형 원전은
한계
가 많다. 우선 작은 나라나 도시에 활용하기에는 부담이 많다. 입지도 자유롭지 않다. 오늘날 많이 사용하는 원전은 물을 냉각재와 감속재로 이용하는 수형 원자로다. 우리나라 원자로의 대부분인 가압경수로와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