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누가 내 보이스톡을 끊었는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mVoIP가 무료통화 서비스이기 때문이다. 물론 정해진 범위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한계
는 있지만 mVoIP로 통화하면 별도 통화료가 들지는 않는다. mVoIP를 쓰는 사람이 많아지면 이동통신사의 음성통화 수익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특히 대다수 스마트폰 사용자가 쓰는 카카오톡의 보이스톡이 달가울 ... ...
몸속 구석구석 3D로 본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생각해요. 기술을 바탕으로 한 벤처는 좋습니다. 그러나 아이디어만으로 창업한 벤처는
한계
가 많아요. 아이디어가 뒤처지면 더 이상 할 게 없거든요. 그러나 기술 벤처는 성공할 가능성도 높고 설령 실패해도 얻는 게 많아요.”10년뒤 생각하면 의대보다 공대“요즘 똑똑한 친구들은 법대나 의대를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붙을 때의 메커니즘을 유심히 관찰하고 있는 서 교수가 또 어떤 큰일을 낼지, 생체모방의
한계
는 어디일지 자못 궁금해진다.[딱정벌레 날개 원리가 들어있는 테이프.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미세한 섬모가 촘촘히 박혀 있다. 분자 사이에 반데르발스힘이 작용해 옆으로 잡아당길 때 잘 안떨어진다.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정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이름 무향실험실소속 오필드연구소특징 가청
한계
이하(-9.4dB)의 ‘침묵’ 세계 기록.날짜 2004년 1월 24일가장 ‘예민한’ 실험실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예민한 실험실도 있다. 우주의 중력파를 검출하기 위한 중력파검출기다. 그 대표주자인 미국의 ... ...
구조역학이 만든 생생한 그래픽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높았지만 연기자나 연기자가 입고 있는 옷의 움직임은 없거나 부자연스러워 어색한 게
한계
였다. 퀄로스는 변형이 자유로운 천이나 직물의 움직임까지도 자연스러운 표현으로 시뮬 레이션할 수 있는 물리적 모델이다.‘즉좌굴’ 모델 개발옷에 주름이 생길 때 힘과 에너지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 ...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우주도 인간의
한계
를 넘을 수 없다.이런
한계
는 컴퓨터의
한계
라기보다 인간의
한계
다. 사실 탄생 100주년에 즈음해, 필자는 튜링이 사회적인 소외 속에서 꿈꿨던 우주를 생각하고 있다. 튜링이 컴퓨터로 재현하려 한 우주는 물리적이고 비인간적인 공간이 아니라 아픔이 없는 순수한 공간이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된다. 광압과 물질유입이 균형을 이루게 될 때가 블랙홀로 유입되는 물질 양의 최대
한계
다. 그런데 계산을 해보면 블랙홀이 그렇게 최대한 빨리 물질을 빨아들여도 태양질량 10배의 블랙홀이 태양질량 10억 배의 블랙홀로 자라기 위해서는 10억년이 지나야 한다. 그런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우주의 ... ...
손 대면 톡 하고~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다른 사람이 응답 차원에서 함께 신체접촉을 해주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이 결론에
한계
가 있음을 인정했습니다. 재미있게도 부부가 됐을 때는 이런 행동의 일치가 정점에 다다르지만 신체접촉의 빈도는 줄어든다는 사실도 드러났습니다.깊은 사이일수록 여자가 적극적누가 신체접촉을 ... ...
시로 읊고 퍼즐로 푼다! 수학 삼국지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못했다.엄격한 신분제도로 인해 승려나 왕족만이 수학을 연구할 수 있어 발전에
한계
가 있었기 때문이다. 또 수학을 시로 표현한 것도 발전을 저해한 요소였다. 시로는 수학적인 내용을 표현하기 힘들었기 때문이었다.아시아 최고의 수학자는?!서양 수학에 가우스, 오일러, 라이프니츠 등과 같이 ... ...
Part 2. 생각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그러나 최근에는 올바른 구조 없이 단순히 신경망의 크기를 늘리는 것만으로는
한계
가 있다는 생각이 지배적이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현재의 인공지능은 상황에 따라 여러가지 방법들을 혼용하고 있다.완전한 인공지능을 만들기 위해 과학자들은 아예 사람의 뇌와 같은 방식으로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