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실
실상
진실
실질
현실
실태
실천
d라이브러리
"
실제
"(으)로 총 6,11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참고래, 땅에서 꺼내던 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보는 정도거든요. 이경리 연구사는 “골격표본을 만들면 많은 사람들이 참고래의
실제
크기를 느낄 수 있고, 이렇게 큰 생물과 함께 살고 있다는 생각을 가질 수 있다”고 말했어요. 현재 고래연구센터 뒷마당에는 혹등고래와 밍크고래가 참고래처럼 골격표본이 되는 날을 꿈꾸며 잠들어 있답니다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생물다양성을 지키는 첫걸음 기자단 혜택 소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유명한 이유는 바로 ‘캐비어’라는 철갑상어 알 때문이에요. 빨판상어도 역시
실제
로는 상어가 아니에요. 등에 빨판이 있어서 주로 상어나 바다거북 등 대형 동물에 붙어서 사는 바닷물고기지요. 빨판상어와 상어는 한쪽은 이익을 얻지만 다른 한쪽은 이익도 불이익을 얻는 것도 아닌 ... ...
튜링의 논문은 현대 수리생물학자에게 어떤 의미일까요?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면역 항암제’와도 관련 있는 분야입니다. 저 같은 수학자는
실제
종양이 어떻게 자라는지 수학을 통해 시뮬레이션 하거나 종양의 원인을 수학 모형을 이용해 찾아냅니다. 제 연구와 튜링 모형이 직접적으로 관련 있지는 않지만, 종양이 어떻게 커지고 전이되는지 ... ...
초콜릿 강에서 찾은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예측 불가능한 현상 따위는 절대 일어나지 않는다는 뜻이거든요. 그래서 많은 수학자가
실제
현상을 좀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연구에 힘쓰고 있습니다. 영국의 수학자 아담 타운센드도 그중 한 사람입니다. 타운센드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 이용해서 초콜릿 분수에서 돔을 타고 ... ...
[과학뉴스]실험실에서 키운 망막 오가노이드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생물학과 교수팀이 줄기세포를 망막 오가노이드로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 오가노이드는
실제
장기와 비슷한 구조와 세포 구성, 기능을 지닌 ‘미니 장기’다.연구팀은 망막으로 분화하는 데 필요한 영양소와 화학물질을 공급해 줄기세포를 2주간 배양했다. 그 결과 줄기세포는 20~60개의 작은 세포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7000만 도에서 72초까지 달성했다. 하지만 ITER를 핵융합발전기로 바로 사용할 수는 없다.
실제
발전용 장치를 장착한 핵융합실증로(DEMO·데모)를 지어 검증을 마쳐야 한다. ITER로 핵융합 발전의 가능성이 확인되면 이후 DEMO를 통해 핵융합 반응부터 전기 생산에 이르기까지 핵융합발전소 운영의 전 ... ...
[수학뉴스] 잠자리 날개 무늬, 진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과 닮았을까?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점들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영역을 다각형으로 그린 거예요. 결과를 비교해 보니
실제
잠자리 날개 무늬와 매우 비슷했답니다.곤충의 날개 무늬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아직 과학적으로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어쩌면 수학이 큰 역할을 하는 게 아닐까요? 이 연구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뿌리혹세균은 질소 자원인 암모니아를 식물에 제공하는 댓가로 콩 뿌리에서 공생한다.
실제
로는 동물도 다양한 미생물과 공생관계를 맺고 있다. 우리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사례는 소와 같은 초식동물이다. 초식동물은 식물 속 셀룰로오스를 분해해 당분을 얻는다. 하지만 이들의 소화기관은 ... ...
[팩트체크] 리만 가설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함숫값 으로 갖는 함수 Li(x)를 찾아냈어요. Li(x)의 함숫 값은 말 그대로 ‘대략적’이라서
실제
개수를 나타 내는 함수 π(x)와는 오차가 있었어요. 소수의 개수를 완벽하게 알려주는 식은 찾기 어려우니까 수학 자들은 우선 오차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는 식 을 찾는데 힘썼지요.리만은 ‘제타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둘레도 넓이도 같은 두 삼각형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이미 답이 정해져 있는 문제를 푸는 것이 수학인 것으로 느끼기 쉽습니다. 하지만
실제
연구는 이 논문처럼 ‘이런 문제를 한번 생각해볼까?’, ‘이 문제를 일반화해볼까?’ 같은 식으로 떠올리는 것에서 출발합니다. 이렇게 누구도 생각하지 못한 좋은 문제를 떠올리고 그것을 풀어내는 것이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